-
-
귀신전 1
이종호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책을 가까이 두고도 읽지 못하는 나날이 계속되었다. 워낙에 공포물을 무서워하는 탓에 낮에만 읽기를 계속하였기 때문이다. 2권정도 되어서는 해가 진 이후에도 읽을 만큼 재미가 있었다. 눈으로 보는 공포도 공포지만, 이상한 기운이 느껴 질만큼 상상되는 공포가 아마도 제일이라고 생각하는 나다. 한 장면 한 장면 오로지 내 상상만으로 만들어 내야하는 과정이 조금 힘들기도 했지만, 생각보다 그리 무서운 느낌은 들지 않아 다행이었다. 소름이 쫘악 끼치는 장면이 있기도 했지만, 그들도 살아있을 적 이러저러한 사연으로 이승을 떠돌 뿐이라는 퇴마사들의 이해어린 시선의 영향 때문인가 오히려 안쓰러운 존재가 되었다.
여러 사연을 간직한 영들은 저승으로 떠나지 못한다. 이승에 오래 머물수록 좋지 않은 것은 영 뿐 아니라, 산 사람들이다. 이들의 한을 풀어주고 천도 시키는 것이 이 소설의 주인공들이 하는 일. 책 속의 수정은 귀신전이라는 책을 집필하는 작가다. 사람들에게서 제보를 받거나 취재를 통해 영들을 만나고, 좋은 마음으로 떠나는 일을 돕는다. 직접 영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여러 등장인물이 함께 일을 한다. 법사로써 부적을 사용하며 직접 악귀와 싸우는 등 하는 선일, 무녀인 엄마의 능력을 가진 공표, 우직한 성격을 지닌 용만, “레테의 강”이라는 카페를 함께 운영하는 찬수 등 제 각기 활동하는 듯 보이지만, 영에 대한 이상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귀신을 볼 수 있는 사람들 인 것이다. 혹은 느낄 수 있거나.
귀신이되었다라는 것은, 이승에 연연한다는 것으로 한을 풀거나 제 자신의 죽음을 인정하지 못해 해코지를 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것이 오래될수록 악귀가 되어 천도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이 글의 액막이 인형 이야기, 주술을 걸어 바늘로 인형을 찌르는 장면은 사극에서 종종 보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글에서도 오래전 저주를 받은 아이가 죽음을 당한다. 천연두에 걸려 죽은 아이는 죽어서도 시신이 이용되는 아픔을 겪는다. 그 이후로 저승으로 가지 못한 아이는 산 사람의 목숨을 가져간다. 아이의 원통함에도 절절했지만, 귀신이 등장하는 장면에서는 무섬증이 절로 인다. 이상한 소리가 들려주는 공포란 읽어본 자만이 알리라. 이 소설의 특징은 귀신들의 모습에 대한 묘사보다는 주로 소리와 기운에 대한 묘사가 주를 이루는데, 오싹오싹한 것이 주위를 두리번거리도록 만든다.
오래도록 책을 읽고 있노라면 소설 속에 깊이 빠지게 되어, 주인공들의 의뢰인들(주로 산자들로써 피해를 당하는)의 기분을 공감하게 된다. 결국 공포를 함께 느끼게 된다는 말이다. 종종 느껴지던 오싹한 감정들이 이 책을 읽은 후로는 귀신이었던가...하는 생각마저 들게 되어, 좋지 않은 기분까지 덩달아 느낄 수도 있다. 이상한 소리에도 놀라는 반응마저 가져올 수 있겠다.
다행인 것은 무서운 이야기를 읽고 있지만, 무서움이 그나마 반감하는 것은, 이야기에 담긴 감동에 있다. 한을 풀어주는 과정을 통해 귀신의 사연을 들어주고, 그들도 고통 받고 있었음을 넌지시 알려주기 때문에 그렇다. 다른 공포물과 다르면서도 특별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의뢰인들의 사연하나하나에 슬픔이 있다. 그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애처로운 기분이 들어버리는 것이다. 공포물을 본 뒤 눈도 감지 못할 정도의 공포 때문에 힘든 일은 없을 듯하다. 흥미롭고 감동이 있는 이야기에 더불어 공포적인 요소를 더한 재미난 소설이라는 생각 때문에 절대적인 공포를 느끼길 원하는 이들에게는 권할 수 없는 책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공포물에 유독 약한 내게는 즐거운 책읽기가 될 수 있었다. 곧 3권도 출간할 예정이라고 한다. 기대가 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