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원한 제국 - 개정판
이인화 지음 / 세계사 / 2006년 9월
평점 :
내가 이 책을 처음 본 것은 1993년이었다.
그 당시에도 굉장한 관심을 받았던 책이라 기억한다.
13년의 세월이 흘러서 나의 생각과 나의 지식이 바뀌었음에도 이 책이 나에게 준 감동이나 충격은 13년 전과 다를게 없다. 아니 정치를 보는 눈이나 조선 붕당정치, 영,정조시대에 대한 배경지식이나 관심이 달라짐으로 인해 고민하게 되는 내용은 더 커졌다고 생각한다.
정조가 갑자기 승하하지 않았다면 노론과 남인의 운명이 바뀌었을까..
그랬다면 순조, 헌종, 철종 시대의 세도정치도 없었을까..
그랬다면 작가의 말처럼 10월 유신을 겪지 않았을까..
역사에는 만약이 없다지만.. 한번쯤은 만약에 정조가 일찍 승하하지 않았다면 하고 상상해본다.
만약에.. 만약에..
다른 역사 소설도 몇 번 접해봤지만..
영원한 제국은 다른 소설에 비해 역사적 배경 설명이 특히 뛰어난 것 같다.
특히나 노론과 남인에 대한 설명은 교과서 보다 이해가 쉬었다. 물론 노론에 대해 약간은 편파적인 시각을 가졌다고 생각되긴 하지만..
붕당정치는 그 처음부터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물론 정조 사후 100년에 이어진 세도정치는 재고할 필요가 없지만..
“조선은 왕이 통치하던 국가였는데 왜 저자는 제목을 영원한 제국이라고 했을까?”
이 질문에 대한 고민이 이 책에 대한 제일 멋진 리뷰인 것 같다.
절대왕정을 꿈꾸었던 정조와 글 속 이인몽에 이입된 이인화 작가 자신의 이상적인 제국에 대한 바램..
그래서 마지막 장면에 가슴이 아프다.
도원아.
......!
도원아.
예.
예.
예, 전하.
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