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에 가면 자전거를 타면서 TV를 본다. 70개 넘는 채널을 이리 저리 돌리다가 맘에 드는게 있으면 정지한다.
오늘 SBS의 <돈이 보인다>는 프로를 봤다. <러브 하우스>가 낡고 초라한 집을 최신 인테리어로 확 바꿔준다면, <돈이 보인다>는 집이 아니라 생업의 공간인 가게를 바꿔준다.업종까지...
오늘의 의뢰인은 6평도 안되는 분식가게를 하는 부부였다. 하루 매출이 2만원도 안된다고 했다. 가게세를 몇달 내지 못해서 건물주인한테 가게를 빼라는 통지를 받았고, 초등학생인 딸 둘은 급식비를 못 내서 교무실에 불려 갔다가 둘이 마주쳤다고 한다. 전교에 급식비를 못낸 학생이 3명인데, 그 3명중 2명이 자매였단다.그 날 큰딸은 집에 와서 대성통곡을 했단다. 어린 마음에 얼마나 상처를 입었을까.... ( 이 부분에서 나도 눈물이 핑 돌았다.)
분식집은 낡고 좁고 지저분했다. 메뉴는 김밥부터 동태찌개까지 이것 저것 많고 뭐 하나 딱 맛있는게 없는 집.
<돈이 보인다>에서는 이 부부를 "대박집" (동태찌개 하나로 대박을 터뜨린 집)에서 실습을 시키고, 몇가지 테스트를 거친 후 분식집 자리에 최신 인테리어를 갖춘 동태찌개집을 차려준다.
개업한 날, 손님들이 넘쳐나고 동태찌개를 먹는 손님들은 하나 같이 엄지손가락을 치켜 올린다. 장사가 잘되면 중학생이 되는 큰딸 교복을 사주고 싶다고 말했던 부부는 좋아서 어쩔 줄을 모른다. 애들 엄마는 결국 울음을 터뜨린다.
<러브 하우스>,<체인징 유>,<꼭 한번 만나고 싶다>,<돈이 보인다>,<아시아 아시아> 이런 프로들.....이 프로들의 분명한 "순기능"을 인정한다. 분식집을 하던 가난한 부부처럼 가망 없던 가난에서 탈출할 구원을 만나기도 하고, 36년 전에 헤어졌던 오빠를 찾기도 하고, 이 추운 겨울에 불도 제대로 안들어 오는 침침한 방에 살던 할머니는 최신 주방에 뜨끈뜨끈한 방에 덤으로 전동식 휠체어를 선물 받기도 한다. 이 험난한 땅에 와서 온갖 설움을 겪던 방글라데시 노동자는 10년만에 꿈에 그리던 엄마를 만나기도 한다.
이런 프로가 없다면, 이런 프로가 있다해도 주인공으로 선택되지 않았다면, 결코 만날 수 없는 엄청난 행운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발 너무 심한 오버는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이런 프로들을 보면서 감동할 때도 있지만 화가 날 때가 많다. 진행자들이 출연자들의 눈을 가리고, 커튼을 내리는 장면을 슬로우 모션으로 몇번씩 반복하고, 36년 전에 헤어진 오빠를 만나는 애가 타는 동생에게 "오빠가 왔을까요? 불러 보세요! " 비트 강한 음악이 나오고 시청자들까지 조마조마하게 하면서 시간을 끌다가 오빠가 나오고, 저 방글라데시에서 온 노모가 커튼 뒤에서 부들부들 떨면서 10년 만에 만나는 아들을 기다려야 하고...
TV 프로는 재미있어야 한다. 시청률도 높아야 한다. 시청률 낮으면 없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쩔 땐 너무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프로에 출연하는 사람들이 어찌 보면 엄청난 행운을 "꽁짜"로 얻는 것 같지만, 결코 그 행운은 꽁짜가 아니다. 그 행운은 "정당한 출연료"다.
자신의 사생활을 완전히 드러내야 하고,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이 되어야 하고, 진행자가 커튼을 내릴 때 PD를 만족시켜 줄 엄청 놀라는 표정을 지어야 하고, 수도 없이 스스로 자신의 볼을 꼬집으며 "꿈 아니죠?" 말해야 한다.
이런 프로들이 없는거 보다는 있는게 좋다고 본다.
하지만.... "고맙지?고맙지? 눈물 나지?" 이런 식의 오버는 제발 좀 자제했으면 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