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노우 엔젤
가와이 간지 지음, 신유희 옮김 / 작가정신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그 손짓은 한없이 다정하고, 치유는 끝이 없으며, 아낌없이 주기만 할 뿐 앗아가는 법이 없다. 그것은 마치 깨끗하고 순수한 눈옷을 걸친, 천사와도 같은......" 일명 '스노우 엔젤'로 불리는 완벽한 마약-의존 약물이라고 표현되는-을 책은 이렇게 표현했다.
인체에 전혀 해가 없으며 부작용도 없는, 그러면서도 오로지 뇌 마약으로 작용해 인간에게 '여기가 천국'이라는 느낌을 줄 정도의 깊은 평화를 선물하는 약물이라. 이같은 '마약'이 존재할까, 과연 존재한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가와이 간지(河合莞爾)의 <스노우 엔젤(スノウ・エンジェル)>은 이처럼 '세상을 지배할 마약'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을 다뤘다. 책에는 마약밀매와 관련된 수사물에 그치지 않고, '마약'이라는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 그리고 '나쁜 정부'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 함께 녹아 있다.

전직 형사 진자이 아키라는 자신이 사랑했던 동료 형사 히와라 쇼코를 죽음에 이르게한 주범을 찾아 도망자 신세에 놓여 있다. 당시 다섯 명의 살해범을 그 자리에서 사살했지만, 그들을 사주한 진짜 범인을 잡기 위해 경찰 신분을 벗고 이름도 숨긴 채 9년 째 방황하고 있다.
하루하루 일용직 노동자의 삶을 보내면서 '도망의 이유'조차 아득해질 즈음, 전 상사였던 경시청 기자키 헤이스케와 우연히 마주치게 되면서 <스노우 엔젤>의 진실을 향해 수사를 시작한다. 기자키의 소개로 진자이가 만난 사람은 후생노동성의 마약 단속관, 속칭 '마토리'인 미즈키 쇼코. 공교롭게도 진자이의 품안에서 숨을 거둔 쇼코와 이름이 같다.
진자이가 잠입수사를 통해 얻어내야하는 것은 '스노우 엔젤'의 실체, 그리고 이 약물을 만들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을 검거하기 위한 증거 확보다. 수년 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사망한 백발의 샤로노프가 완성했던 '최후의 레시피', 바로 '스노우 엔젤'이 일본에서 출현하는 것을 막아야한다는 미션이다. 진자이는 스스로 마약판매상의 보조 노릇을 하면서 '스노우 엔젤'에 한걸음씩 다가가는 과정이 숨가쁘게 진행된다.

"요컨데 국가란 놈은, 어떤 국가든 국민의 건강보다는 돈이 중요한 거에요."
진자이를 고용한 마약판매상 이사 도모히코의 설명은 알코올, 담배, 설탕, 카페인 등 그 해로움이 약하더라도 의존성이 강한 성분을 국가의 이익을 위해 합법적으로 허용하고 있으니 '인체에 무해한 마약'이라면 같은 이유에서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궤변이지만, 궤변으로만 들을 수 없는 이유가 있다. 의존성 강한 물질을 팔아 챙기게 되는 국가의 세수가 어마어마하므로.
책에 등장하는 일본에서 소비되는 각성제는 5조 엔 정도. 일본의 1년 국가예산의 약 5%에 달하며, 지하경제이므로 비껴간 소비세만 무려 400억 엔 수준이라고 한다.

고령화 사회로 연금은 바닥나고, 실물 경제는 아래로만 향하고, 복지예산은 턱없이 치솟기만 하는 일본 정부의 고민은 바로 재원 마련이다. 이미 아베 신조가 주장했던 세 개의 화살에 더해 'G계획'과 'W계획'이 <스노우 엔젤>에 제시된다. 운 두 개의 화살에 대한 가정이 흥미를 끈다. 도쿄올림픽-코로나19로 인해 연기됐으며, 지금은 성공개최가 요원하지만-을 통해 국가 재건을 꿈꾸는 왜인들이 생각한 계획이 '도박과 의존약물'이라는 상상에 소설은 바탕을 둔다. 'G'는 도박, 'W'는 '하얀 석유'의 앞자리 영문 글자다.
미즈키와의 밀약을 통한 진자이의 분투, 그리고 마약상들과 머리싸움이 긴박하게 진행된다. 특히 죽은 쇼코를 향한 '도망자' 진자이의 내면 묘사가 치밀하다. '죄인을 용서하라'는 신의 메시지, 즉 종교에 대한 물음도 <스노우 엔젤>은 던지고 있다. 마약판매상 이사는 마약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법이 무르기 때문이란다.
" 죄인을 용서하라는 저주의 말 때문에 인간은 앞으로도 영원히 범죄라는 비극에서 빠져나올 수 없는 것이야. 세상에는 결코 용서해서는 안되는 죄도, 결코 용서해서는 안되는 인간도 셀 수 없이 많이 존재하는데 말이지." 일견 일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