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시시즘의 고통 - 우리는 왜 경쟁적인 사회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가
이졸데 카림 지음, 신동화 옮김 / 민음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LGBTQIA+… 끝내 닿을 수 없는 구체성의 정체화라니… ) 초자아의 규제가 아닌 ‘자아이상’에 몰두하는 나르시시즘적 ‘도덕’으로 작동하는 후기자본주의에서 사회적 권위나 규정은 거부되고, ‘타자’란 그저 관객or동의자로만 존재할 뿐이다. (진보 마저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쟝쟝 2024-07-18 17:2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덧, 이 책은 쌩 철학책이다. 유행하는 유튜브들에 이끌려 성격장애 유형의 나르시시스트의 고통을 이해하려는 마음으로ㅋㅋㅋ 선택한다면 기대와 다른… 진한 맛의 프로이트 ‘나르시시즘’ 개념들과 신자유주의를 설명하는 순살뼈 발라진 알튀세르의 호명과 후기 푸코와 책의 논지를 보강하는 수준에서 적절한 참조점을 주는 스피노자, 헤겔(띠용ㅋㅋ)을 만나볼 수 있다. … (즐거웠지만 기대한 건 아니었다.)

나를 반사하는 거울로만 타자를 판단, 평가, 규정하고 경쟁/혐오/배제의 대상으로 삼는 일을 중단할… 수는 없을 것 같다. 현대 사회라는 조건에서 나르시시즘이나 ‘자아’가 없으면… 그건 그것대로 고통이니까. 반면교사, 타산지석 좋은 말 이지만. 그렇게 조심조심 가꿔야하는 ‘자아 중심성’은 결국 인간을 (불가능한) 고립에 닿게 만든다. 스스로가 준거가 되지만, 준거의 형식으로서 타자라는 관객이 필요한 나르시시즘의 사회에서도 타자와 관계는 (오직 그 용도일지라도…) 필요한 법. 그리하여 책의 결론은 어딘가의 폐색에 닿아버렸고, 그것이 내가 사는 민낯의 현실임을 마주 보게 되었다.

저자의 의도인지는 모르겠지만 책의 전반적 호명을 ‘우리는’으로 한다는 것이 인상적였다. ‘자아’이기가 버거운 사람들에게 필요한 말. 우리는. 그래서 한국 사회에서는 늘 잘못 이해되기 일쑤인 호명 ‘우리는’. 나는 어떤 긴장 속에서 ‘나는’을 사용하도록 한다. 아직은 ‘나는’이라는 셀프 규정이 필요하다고 여긴다.

다만 피할 수 없다면… 관객의 시선이 따뜻했으면. 하는 바람은 좀 있다. 나도 그런 관객이길 바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