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되기 위해 지금을 포기하지 않을 것. 즉 지금을 가장 중요하게 여길 것.
이것은 어떤 인식을 통해 결론처럼 얻게 된 나를 다그치는 주문인데. (억울하지 않은 삶을 위해ㅋㅋ)
그것은 대체로 *지금 읽는 것에 집중할 것* 🤔으로 현실에서는 기능한다. 

(그 읽는 것이 너무 많다는 건 문제지만 읽고 있을 때는 집중함ㅋㅋㅋ 대신 완독은 포기했다)

드디어 한 달 만에 책상 앞에 앉았다.
잘 있었지, 얘(책)들아? 보고 싶었다... 캬캬...

  

읽을 욕심이 그득그득 찼다……. ㅠㅠㅠ 난삽하기 이를 데 없는 뒤메질 독서.
일단 해러웨이부터 살살 시작!!!! 한다.

헤겔이 마르크스를 짓누르고.
정희진과 함께라면 해러웨이 너무 겁먹을 필요 없고, 가부장과 자본주의는 여성의 광기에 기대고 있으며, 고닉의 관점으로 나는 나를 가르치고…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문장은 하아…압도적임. 각종 포스트구조주의 입문서들과 사랑하는 아렌트!💘

어디로 가는지 나는 모른다. 그러나 읽고 있을 때 행복하고 읽고 싶다는 게 내가 느끼는 가장 중요한 욕구.란 걸 이제야 안다.

해러웨이의 ‘회절diffraction개념에 밑줄을 그어둔다. 나라는 몸과 경험을 통과시켜서 풍부하게 읽어낼 수 있는 타인의 삶들. 반사(거울reflection-투사projection)에 멈추는 게 아니라 초점을 긴장시켜 더 깊고 다채롭게 해석하는 것. 그 즈음으로 현 시점 이해를 적어두려 한다.



물리학 이론, 분자 생물학 방법론의 이해보다 내게 중요한 것은 저자의 태도이며(그런 지식은 이번 생에서는 불가능😓) 겸손한 목격자 해러웨이의 특유의 태도(융합, 소설 읽기 방식, 상황적 지식, 부분적 관점 외에도)야 말로 배우고 싶은 페미니스트 지식인의 모습이다. 말이나온 김에 참고로 나는 스트래선과 해러웨이의 우정을 알고 있다.





스트래선이 「부분적인 연결들」에서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이미지를 도입해 인류학적 글쓰기의 의미를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했듯, 해러웨이는 「반려종 선언」에서 스트래선의 부분적 연결의 이미지를 도입해 종의 경계를 넘나드는 대화의 의미를 또 다른 방식으로 설명한다. *이들은 상대방에게서 배운 것을 단순히 적용하지 않는다. 오히려 배운 것을 부지불식간에 각자의 방식대로 사용한다. 이런 변용이 가능한 것은 두 사람 각자가 상대방의 논의 속으로 깊숙이 들어가 자신의 논의와 맞닿는 지점에 도달하고, 그 만남의 교훈을 내면화하며 스스로의 이야기를 다른 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관점을 얻었기 때문이다.* 이 두 사상가는 낯설지만 소중한 타자와의 관계 맺음 속에서 스스로가 변형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인류학자 스트래선이 멜라네시아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렇게 했듯. ‘견주’ 해러웨이는 반려견과의 관계 속에서 관계 맺음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낸다. - P192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4-03-24 16: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스트래선과 해러웨이의 우정이라니…
발견과 이해를 넘어서는 빛나는 통찰에는 진지한 우정이 필요하다지요.
좋겠다, 해러웨이..
좋겠다, 스트래선ㅋㅋㅋㅋㅋㅋㅋ

공쟝쟝 2024-03-24 13:19   좋아요 0 | URL
지성미 넘치고 다정한 우정 😛 부럽다…..

난티나무 2024-03-24 19: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색만 조금 다를 뿐 내 책상 위와 거의 흡사한 쟝님의 책상 위. 독서대에 세워뒀던 것까지 같음.ㅎㅎㅎ 이런 말이나 지껄이고 있음.

공쟝쟝 2024-03-24 20:32   좋아요 0 | URL
우리는 같은 책을 많이 올려놓는 지적열망을 감추지 못하는 사람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