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를 좋아한다. 내 독서 주 종목은 에세이다. 그 사람이 삶을 대하는 태도와 자신과 맺는 관계를 주로 본다. 그런 시선을 배우기 위해 읽는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중요한 건 태도이고 관계다. 에세이(라고 쓰지만 나는 일기를 쓰고 일기가 주는 장점을 스스로 안다)를 쓰는 나는 나를 대상화한다. 글씨(언어)가 된 것 끄집어 내진 것은 내 무엇(그 나 역시 관계의 구성물)이지만 이제 내가 아니게 된다. 쓴 나와 쓴 것을 읽는 나 사이에서 대화가 일어난다. 그래서 어떤 글은 기도와 닮았다. 믿음을 잃어버린 채로, 기도마저 없는 사람에게는 내밀한 일기가 필요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곧 삶이라는 무의식적 믿음이 강했던 나는 일기를 쓰며 나와 대화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그것들이 퇴적되어 실체처럼 느껴지는 내면을 알아차린 후, 역할이 아닌 삶을 고안하는 데 집중했다. 특히 1세계의 여성들이 쓴 에세이들은 많은 도움이 되었다. 냅, 솔닛, 게이, 랭… 그러다 비비언 고닉을 만났을 때…는 아마도 겪어야 했을 또 다시 무너지는 시기였다.
불안, 고독과 우울의 한 가운데를 허우적거릴 때, 어떤 부표처럼 고닉의 문장들이 떠 있었다. 붙잡았다. 바다 위 몰아치는 폭우 속에서 문장들과 같이 흔들렸다. 어느 덧 폭풍이 멈추었고, 물결은 찬찬히 일렁였으며, 내가 짊어지고 가는 나.의 무게와 위기 앞에 부족한 근력.을 낱낱이 마주보게 되었다.
자기 직면, 매일의 반복, 환상을 포기해! 스스로에게 집중해, 권위에 기대지마, 그리고 흔들릴 것. 끝까지 의심할 것. 더 흔들릴 것. 몰아세울 것. 포기하기 힘든 나의 나르시시즘. 그것이 보인다면. 포기하지 않더라도. 포기하게 되더라도. 같이 흔들어 볼 것.
“말하고(쓰고) 있는 자신이 누구인지 망각하지 않으려는” 비비언 고닉의 글쓰기 작법서가 출간되었고, 일기를 멈추지 않기 바라는 아름다운 이가 선물을 보내주셨다. 함께 온 커피를 내리고 18페이지까지 읽다 말고, 고닉에 대한 나의 붙잡음이 틀리지 않았음을 직감한다.
…
“(13) 익숙한 것을 꿰뚫고 들어가기란 당연한 듯 쉽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오히려 힘들고 또 힘든 일이다.”
어떤 글이 더 의미가 있는지
어떤 삶이 더 가치가 있는지
나는 여전히 알지 못하며,
내 삶을 누구에게도 추천하지 않지만,
자기 자신을 쓰며 결국 자기 자신이 되는 사람들에게 깊고 단단한 존경심을 느낀다.
나는 해내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