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드타이트 모중석 스릴러 클럽 29
할런 코벤 지음, 하현길 옮김 / 비채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식을 둔 부모, 알 듯 모를 듯한 부부관계 등 우리 삶은 언제나 미궁 속의 연속이다. 할런 코벤의 이 작품을 읽으면서 가족의 참 뜻이란 무엇인가, 가족의 신뢰와 붕괴는 관심과 애정이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로 속 남자 속삭이는 자
도나토 카리시 지음, 이승재 옮김 / 검은숲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화에서 영감을 얻어 쓴 이 작품은 흥미와 스릴, 추리감을 느끼게 했습니다. 미로 속에 15년 가량을 갇힌 주인공이 바깥 세상으로 나오면서, 주인공을 도가니에 빠뜨렸던 범인을 찾아 나서는 여정이 다양한 요소들이 가미되어 가독성을 더해 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명 높은 연인 스토리콜렉터 25
알렉산데르 쇠데르베리 지음, 이원열 옮김 / 북로드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누구든 돈에 휘들리지 않을 사람은 없을 것인데, 부패한 조직과 권력층이 많은 인물들과 함께 얽히고 설킨 스토리 진행이 스릴감 있어 가독성 있습니다. 무기 밀수 등과 관련한 이야기다 보니 스케일도 장대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속삭이는 자 - 합본 개정판
도나토 카리시 지음, 이승재 옮김 / 검은숲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토나토 카리시의 ‘이름 없는 자‘를 읽으면서 사건과 전개의 빠름과 흥미진진함이 ‘속삭이는 자‘까지 읽을 만큼 가독성과 흥미가 배가 됩니다. 이번 연쇄살인 사건을 두고 사건 전문가와 용의자, 그 주변 인물들에 대한 요소들이 흡인력과 스릴감, 번뜩이는 필치감이 현장감이 파노라마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늑대토템 1
장룽 지음, 송하진 옮김 / 김영사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대서사적 성격의 소설을 접했다. 유목민과 초원을 바탕으로 늑대라는 동물을 신성시하는 유목민들의 특별한 관념을 가감없이 그려내고 있어 인상 깊기만 했다. 마치 늦가을을 지나 초겨울 무렵, 드넓은 초원에 늑대떼들이 먹이감을 향해 질주(疾走)하는 모습이 뇌리에 역력하게 스치고 지나간다. 한반도야 어디 사막이 있고 초원다운 초원이 있을까. 그런데 중국 내몽골 지역은 고비사막과 가없는 초원이 펼쳐지는 가운데, 인간과 자연, 늑대가 앙상블을 이루면서 공존해 가는 모습은 자연 생태학적으로도 의미와 가치가 있는 보고(寶庫)가 아닐런지.

 

 토템이라는 주술적, 종교적 성격을 띤 정신적 문화가 어느 나라든 존재하고 있다. 이것은 동.식물을 상징으로 특정집단이나 인간에게 종교적으로 연결하기도 한다. 그래서 토템은 하나의 집단에서 국가에 이르기까지 대단한 위력과 마법과도 같은 커다란 힘을 발휘하기도 한다. 현세에서 내세에 이르기까지 집단과 인간에 미치는 영향력은 심대하기만 하다. 초원이 삶의 터전인 몽고지역은 탄생부터 죽음 그리고 사후에 이르기까지 늑대라는 동물이 상징하는 주술적 성격은 실로 어마어마한 것 같다. 몇 년 전 김형수 작가의 『조드 1,2』를 통해 몽고 지역의 유목민과 초원 그리고 늑대의 속성에 대해 간략하게나마 알게 되었는데 이번 작품은 올론 초원에서 펼쳐지는 늑대의 특성과 기질, 인간 사후  늑대에게 자신의 주검을 희사하는 부분까지 몽고 초원의 유목민은 늑대와 뗄레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인연을 갖고 있다.

 

 장융(姜戎) 작가는 11년간의 초원 체험 위에 20여 년간의 연구와 구상 그리고 6년간의 집필을 통해 이 소설을 완성했다고 한다. 장장 50만자(중국어)에 달한다는 점도 잊지 못할 정도다. 문화대혁명 당시 작가는 하방(下方)운동에 의해 내몽고 지역으로 강제 노동을 겪어야 했다. 당시 작가는 지식청년으로서 내몽고 지역에 들어가 직접 늑대의 기질과 습성 등을 면밀히 관찰하는 등 늑대와의 동고동락하는 모습은 감동을 주기에 충분하다. 몽고초원의 늑대가 유목민들의 정령과도 같은 이미지이고 상징물이 되어 버렸다. 오랜 세월 몽고 지역을 다스려 왔던 다양한 부족들과 칭기즈칸과 같은 무장들이 늑대와의 공생공존의 룰을 형성시켜 왔던 것으로 보여진다.

 

 이 글은 천전이라는 주인공이 지식청년으로서 올론초원에 터전을 마련하고 늑대를 기르고 훈련시키며 인간과의 관계 등을 조밀하게 그리고 있다. 장융 작가는 유목민과 늑대 토템을 그리면서 중화민족의 정신 문제를 그려 내고 있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불요불굴의 중화민족 정신'이라는 원류와 본질을 염황 선조의 유목 정신과 초원 정신에서 찾으려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작가는 중국 고대부터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늑대토템과 유목 정신을 세세하고도 설득력 있게 들려주고 있다. 늑대와 같은 강인함과 인내심이 강할 때는 중국이 강국의 면모를 보여 주었고, 그러하지 못할 때는 내우외환에 시달려야 했던 것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비단 늑대토템을 떠나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어느 정도 간파할 수 있는 매력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강인하고 진취적인 속성을 지닌 늑대토템은 중국 유가 사상을 앞지르고 있다. 특히 늑대는 모질고 잔인하고 물고 늘어지는 습성이 있다. 초원의 모든 동물들을 하나도 남기지 않고 싹쓸이 한다. 일종의 초원의 청소꾼 역할을 하는 셈이다. 그래서인지 유목민족은 유구한 세월 속에서 부지불식간에 늑대에 대해 경원시 내지 신성시하는 관념이 깊게 배여 있다. 자신은 죽어서 자신의 육신의 주검을 아낌없이 늑대에게 바친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하늘과 인간, 하늘과 동물, 인간과 초원 모두가 하나라고 믿고 있다. 나는 이 글을 읽으면서 중화민족의 요체는 무엇이고 어디를 향해 가는가를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