續 알기쉬운 한의학 - 신재용생활한방 4
신재용 / 동화문화사 / 1989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교과서처럼 음양오행론, 장상론, 병후론 등이 각각 나누어져 장을 이루고 있어 언뜻 보면 어려운 책인 듯한 인상을 준다. 물론 비전공자인 내가 보기에 아주 쉽다고 할 수 없지만 제목에서 말하듯 그 대강은 '알기쉽다'.

이 책을 읽어서 한의학에 대한 지식이 늘어났는지 어떤지는 자신할 수 없지만 한의학이 사람을 사랑하는 학문이라는 느낌이 든다. 손가락을 보고, 얼굴빛을 보고, 웃음소리를 듣고, 밥 먹는 습관이나 성격을 보고, 또 환자의 호소를 들으면서 병을 파악한다. 환자에 관한 한 병을 파악하는 데 필요하지 않은 것은 없다. 온 몸을 살피고, 마음을 살핀다. 그래서 증상이 같아도 다른 병임을 찾아내고, 그 반대도 알아 낸다. 그리고선 어떤 때는 침을 주고, 어떤 때는 약을 주고, 어떤 때는 청취자가 되고, 어떤 때는 생활습관을 바꾸도록 시킨다. '그 병에 그 약'이라는 공식이 왜 없겠냐만은 '그 사람에 그 약'이 더 올바른 처방이 되는 것이다. 아픈 데만 보고, 병만 보면 알기 어려워도 사람을 보고 전체를 보면 쉬워지는 것이 한의학인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방일기
지허 스님 지음 / 여시아문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책을 들면 스님들이 쓰신 이야기책이 많다. 스님들이 이렇게 할 이야기가 많은가 싶은 생각이 든다. 어떤 책은 왜 쓰셨을까 싶은 책도 있지만 [산중일기]나 [선방일기] 같은 책은 읽다보면 그들에게는 일기에 불과한 것이 왜 책으로 엮어져 나왔는지 금방 알 수가 있다.

어떻게 생활이 수행이 되는지, 어떻게 생각을 끊고 하나에 전념하는지, 어떻게 고통을 이겨내며, 어떻게 병을 이해하며, 얼마나 고독한지, 위선이 어떤 것인지 보여주고 있다.

나는 선방 스님들의 일상을 직접 볼 기회가 있었다. 하루종일 가만히 앉아 계시는 스님 한 분이 푹 쓰러진다. 쉬지 않고 육체적으로 일하는 후원의 일을 맡아하는 사미니 스님들은 쓰러지지 않는데 가만히 앉아 계시던 분이 더 많이 아팠다. 잘못 공부해서 아픈 것이 아니라 가만히 있기가 움직이는 것보다 더 어렵기 때문이다. 가만히 있는 것이 더 익숙해질 때까지는.

글 중에 본능을 억제하는 것과 견성의 관계에 관한 대화가 나온다. 사실 선방생활이란 먹고 싶을 때 먹는 것이 아니고, 자고 싶을 때 자는 것이 아니며, 서고 싶다고 서는 것도 아니고, 말하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심지어 생각조차 끊으려고 애를 쓰고 있지 않는가. 그것이 견성에 유익한 것인가? 나는 모르겠다. 그러나 집에 물건들을 가지런히 정돈을 해두면 찾아 쓰기 쉽고, 이사하기 좋고, 버리기도 쉽고, 챙기기도 쉽듯이 생활 전체가 정돈이요, 또 매일 반복되는 일상에 대해 무관심할 수 없으니 모든 존재에 대한 경계와 자비가 함께 일어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더욱이 그럼으로써 몸과 생각이 어떻게 호흡하며 살아가는지 더욱 선명히 볼 수 있으리라.

요즘은 재가자들을 위한 선방이 꽤 있다. 한 달이나 석 달쯤 선방에 앉아 있을 수 있다. 생에서 한 달이나 석 달이 그렇게 긴 시간일까? 그런데도 내게는 시간이 없다. 돌아보면 죄다 핑계들이다. 새벽에 앉아 진언을 하면서 생활 가운데 맑음 있으라 하며 나를 또 위로한다. 위로받을 내가 아직도 우두커니 앉아 있다. 문득 내가 일기를 써도 읽는 이에게 이런 유익함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생활이 수행이 되고서야 가능한 일일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침형 인간 - 인생을 두 배로 사는
사이쇼 히로시 지음, 최현숙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정말 바쁘다. 바쁘지 않으면 좀 뒤처지는 느낌이다. 너무 바빠서 혼자 가만히 있기가 어렵다. 물론 나처럼 좀 게으른 사람이 할 말은 아니다. 그렇지만 일이 있어 바깥에 나가지 않아서 집에 있는 날에도 소포가 오고, 교회에 나가라고 사람들이 찾아오고, 전화가 온다. 한 시간 정도를 기도해도 꼭 기도중에 초인종이나 전화벨이 울린다. 이런 일을 겪지 않으려면 사람들이 찾아올 수 없는 한밤중이나 새벽이 좋다. 아침형 인간은 새벽을 선호하고, 저녁형 인간은 한밤중을 선호한다.

한밤중을 사랑하고도 우울증에 빠지지 않고 자신을 성실하게 돌볼 수 있다면 이 책은 그다지 유용하지 않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처럼 우울증을 앓는다면 아침을 활용해도 좋으리라. 우울한 사람들은 아침에 특별히 더 슬프다고 하던데 일찍 일어나면 좀 나은가 보다.

간혹 새벽에 거리에 나가면 놀라게 된다. 산에는 어르신들이 해도 뜨지 않은 산을 오르고 계시고, 신문배달원이 아니더라도 새벽에 일하러 나서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나만 자고 있었던 것 같은 민망함...

아침엔 신선한 무언가가 있다. 하늘도 그렇고, 나무도 그렇고. 가만히 앉아 명상이라도 하고 싶다면 한밤중보다는 새벽이 훨씬 맑다. 모두에게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이 책은 아침형 인간이 되면 좋은 점을 들어 아침에 일찍 일어나 보라고 나를 설득하고 있다. 누군가 저녁형 인간이라는 책을 써서 그것의 좋은 점을 든다면 그것도 유행이 될까? 자연의 흐름을 봤을 땐 여름에는 아침형 인간이 되고, 겨울에는 좀 덜 아침형 인간이 되어도 좋을 듯하기도 한데...물론 읽고나니 나도 아침형이 되고 싶어진다. 해뜨는 게 보고 싶어진다. 제대로 설득당한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절간이야기
조오현 지음 / 고요아침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자그마하고 예쁜 책이다. 아름다운 풍경사진과 때로 뒤통수를 치는 듯한 옛성현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어떤 책은 말하기가 무척 어렵다. 내게 이 책도 다소 그렇다. 이렇게 작고 예쁜 책을 읽고 나서 무언지 어두운 느낌을 받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앞의 선현들의 이야기는 밝다가 저자 스스로의 시에 이르면 그 심각함과 우울함이 배어나온다. 그러나 이런 나의 느낌은 너무나 주관적이어서 책을 평가하는 데 이르지는 못한다.

혹시 이 글을 쓰신 스님에게 글을 쓰는 것이 곧 수행이 되는 것이 아니라 수행하기 어려울 때 수행 외에 행하는 어떤 도구가 아니었을까 하는 그런 엉뚱한 데에 생각이 미친다.
그렇다면 나의 이런 글쓰기는 무엇일까? 그저 한권의 책을 읽었다는 표시일까? 느낌에 대한 반응일까? 나는 어떻게 책을, 혹은 사물을 바라보고 있는 걸까? 이 책을 읽다보니 저자가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 약간의 답답함을 느끼면서도 나 자신의 사고와 글쓰기에 대해서도 돌아보게 된다.

이 책은 내게는 조금 어둡게 느껴지며, 또 나의 어떤 부분을 비추고 있는 거울 같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 명심보감 1
최명환 지음 / 바른사 / 1995년 12월
평점 :
품절


친정에 갔다 조카의 책을 읽었다. 만화 명심보감이 두 권으로 되어 있었으니 아마 이 책이 맞을 것이다. 아주 저학년이 읽기에는 어렵지만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볼 만한 책이다. 만화에 나오는 이야기도 모두 고전에 근거한 이야기들로 만화로 엮은 명심보감 가운데 현대식으로 고쳐 이해를 도운 것보다 오히려 더 감동적이었다. 각 이야기의 뒷부분에 명심보감의 구절이 원문과 해석을 두고 있는데 이것도 읽은 이의 수준에 맞춰 봐도 되고 안 봐도 된다. 만화에 나오는 이야기만으로도 명심보감의 역할을 제대로 했다고 보여진다. 그러다 자꾸 책을 뒤적이다 보면 원문도 눈에 들어오고 해서 자연스럽게 명심보감의 구절을 익힐 수 있다. 재미있어서 금방 읽었다. 고전의 따뜻함을 쉽게 만날 수 있도록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