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에 읽은 책 중에서는 로베르트 발저의 산문들과 에밀 아자르의 자기 앞의 생이 인상 깊었다. 발저의 산문을 읽으면서 페소아의 불안의 책을 생각했다. 이런 산문들을 읽는 걸 나는 좋아하는구나, 생각하면서. 발저와 아자르의 글이 제일 먼저 떠오른 건 최근에 읽어서 그런 건지 모른다. 한 달 동안 읽은 책인데도 뭘 읽었나 돌아보니 아득하다. 읽은 지 몇 년은 된 듯한 책도 있다.쌍떼의 그림과 글은 만평 같은 느낌이라 읽으면서 몇 번이고 웃었다. 한 달에 한 권씩은 이렇게 웃게 하는는 책을 읽으면 좋겠다. 리어왕과 이원하의 책은 다시 읽은 책이다. 다시 읽으면 새롭게 보인다는데 처음 읽었을 때와 큰 차이는 없었다. 이원하의 시는 내가 끌리는 류는 아니지만 읽으면서 잘 썼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재지인들의 서재에서 본 책도 몇 권 읽었다. 내가 모르는 작가와 글을 만날 수 있었고, 모두 흥미로웠다.

 

이달에는 사경과 명상을 비교적 규칙적으로 했다. 정성 들여 쓰지도 않고, 앉아서 꼬박꼬박 졸아도 이런 걸 하면 생활에 무게 중심이 생긴 것 같은 느낌이 든다. 12월이 되자마자 아이들이 감기로 결석했다. 그러니 제일 먼저 사경과 명상이 밀린다. 나도 좀 일찍 일어나서 새벽을 활용하면 좋을 텐데 잘 안 된다. 되는 대로 계속할 생각이다. 책이 재미있지만 명상이 더 끌린다. 아무 생각을 안 하려고 무수한 생각을 일으키는 몸짓이 마음에 든다. 이런 마음에 비해 명상 시간은 너무 짧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0-12-03 20: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산책자는 많이 좋다 하여
사서 읽기 시작했는데...

얼마 읽지 못하고 덮었네요.

발저의 다른 책은 처음 보네요.

모두 내년에 만나야지 싶습니다.

이누아 2020-12-03 20:22   좋아요 1 | URL
발저의 다른 책인 세상의 끝도 다른 책이라고 하기 어려워요. 산책자처럼 산문 모음집이에요. 산책자와 겹치는 산문이 많아요. 번역이라 같은 글인데 느낌이 달라 대조해서 읽어보기도 했어요. 원서는 못 읽고^^

syo 2020-12-03 21:5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발저 좋죠?? 저는 뭔가 이상하게 잘 모르겠는데도 좋긴 좋아서 희한하다 그것 참, 이러고 있는 중이에요 ㅎㅎㅎㅎ

이누아 2020-12-03 22:29   좋아요 1 | URL
사람들은 자기를 닮은 사람에게 끌린다고 하던데...
˝지금 이 순간까지 내 인생은 이렇다 할 내용이 없었던 것 같고, 앞으로도 내내 별 내용이 없을 거라는 확신은 뭔가 무한한 것을 느끼게 해준다. 무한한 것은 불가피한 최소한의 일만 하고 잠이나 자라고 명령하는 그 무엇이다. 그래서 내가 이러고 있지 않은가.<헬블링의 이야기>˝ 같은 구절에서 syo님의 말투가 느껴진다면 제 착각일까요?^^

syo 2020-12-03 22:33   좋아요 1 | URL
오, 인용해 주신 구절은 뭐랄까, 오늘의 새싹 syo가 자라고 자라서 언젠가 떡갈나무 syo가 되면 쓸 것만 같은 문장이라는 관점에 한정해서 이누아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아이들이 학교에 간다. 단축 수업이긴 하지만 매일 등교하는 게 나에는 여유를, 아이들에게는 규칙적인 생활을 가져왔다. 요즘은 낮에 걷는다. 밤에는 반려견을 산책하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 된다. 더 쓰지 않아도 되는 여백을 걷게 된다. 낮에는 저녁 준비나 아이들과의 약속이 있어 시계를 봐야 하지만 해가 있다. 해가 내 어딘가를 살균해 주는 느낌이 있다. 어제 보니 나뭇잎이 많이 떨어져 있었다. 오토바이가 지나가자 그 바퀴에 휩쓸려 뒹구는 잎들. 어쩐지 쓸쓸해진다

 

오랜만에 시를 읽다 웃었다배수연의 '청혼'. ' 너의 외투 속을 날아다니는 작은 새/그 새의 둥지를 부수지 않고/너를 꼭 안아 줄 수 있을까'라는 의문은 연인에게만 해당하는 일은 아닐 것이다. 나는 아이들 마음의 둥지를 부수지 않고 안아 주고 있는 걸까. 떨어진 잎이 아니라 이제 막 피는 싹 같은 청혼이라 흐뭇해지는 걸까.

 

창밖의 나무들이 움직임 없이 서 있다. 그렇게 보이는 것뿐이다. 내가 알지 못하는 흔들림이 나무껍질을 뚫고, 잎을 떨어뜨리고, 쉼 없이 무언가 중얼거리고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월 중순에 9월 이야기다. 겨울 방학이 안 끝난 느낌이다. 아이들이 격일로 학교를 가기는 하지만 일찍 온다. 그래도 혼자 있는 시간인데 그때 집안일을 하게 된다. 아이들이 집에 있으면 이래저래 여유가 없다. 책은 읽는다기보다 그냥 본다. 북플로 서재지인들의 글을 틈틈이 읽었는데 북플이 자주 앱에 문제가 있다면서 닫힌다. 지우고 다시 깔아야 할까?

 

9월에 읽은 책을 떠올려 보니 제일 먼저 파트릭 모디아노의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문학동네, 2019)가 떠오른다. 조용히 앉아 숙고해 보진 않았지만 몇 년 전부터 기억이란 주제가 늘 맴돌고 있는 느낌이다. 서재지인인 피은경 님의 <톡톡칼럼>(해드림, 2020)을 읽으면서 이 책처럼 정식으로 출판을 하지 않더라도 서재에서 쓴 글 중에 싸이월드처럼 날아가기를 원하지 않는 글을 엮어 두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한 달에 한 번 접속할 마음의 여유도 없지만. 시는 틈틈이 읽으니 틈이 생긴다. 시집 한 권을 앉은 자리에서 다 읽어야 뭔가 느낌이 오는데 토막토막 한 두 편을 보니 흡수가 안 되는 느낌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10-08 23: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아이들이 개학한 후로 거의 책을 못 읽었다. 컴퓨터도 오랜만이다. 개학하면 시간이 날 줄 알았는데 일주일에 한두 번 학교 가서 방학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르지도 않는데 더 바쁜 느낌이다. 왤까?

 

8월에 읽은 책 중에 가장 좋았던 책은 막스 피가르트의 [침묵의 세계](까치, 2010)였다. 말이 침묵이 되고 침묵이 말이 된 느낌이랄까? 책을 빌려 읽는 중에 주문했다. 그랬으면 다시 읽어야 하는데 리뷰도 못 썼다. 8월에는 몇 권 안 읽었지만 읽은 책이 거의 다 마음에 든다.

 

비 온다. 갑자기 서늘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로나19 이후로 시집을 영 덜 읽는다. 읽어도 건성건성 읽게 된다. 시가 짧아서 바쁠 때 읽기 좋다지만 시집 한 권을 읽을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이 있을 때라야 시에 집중이 된다. 산문은 아이들과 함께 있어도 읽을 수 있는데 시는 왜 그런지 모르겠다. 그 덕분인지 그 탓인지 산문을 좀 더 읽게 되었다. 2학기에는 전일 등교를 한다는데 그때가 되면 한 번에 한 권의 시집을 읽는 사치를 누릴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