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인의 고통 ㅣ 이후 오퍼스 10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 이후 / 2004년 1월
평점 :
품절
"현대의 삶이 지닌 주목할 만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전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는 끔찍한 참사들을 (그 현장에서 멀리 벗어난 채 사진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지켜볼 기회가 셀 수도 없이 많아졌다는 사실입니다. 잔혹한 행위를 보여 주는 이미지들은 텔레비전과 컴퓨터의 작은 화면을 거치면서부터 이제는 점점 더 진부한 것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렇다면 시청자들은 잔인하게 묘사된 폭력에 익숙해지는 걸까요, 아니면 뭔가 다른 반응을 보이게 되는 걸까요? 매일같이 쏟아지는 이런 이미지 때문에 시청자들의 현실 인식이 손상될까요? 그렇다면 저 멀리 떨어져 있는 분쟁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을 염려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타인의 고통”을 쓰기 시작했을 때 제가 갖고 있었던 궁금증이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중략> 저는 하루하루가 공포의 나날이고 전쟁이 진부한 일상이던 곳에서 거주하며, 이런 경험을 겪어 보지 않은 사람들, 이런 경험을 단지 이미지로만 아는 사람들에게는 전쟁이 어떤 의미일까 생각해 봤습니다.
저는 전쟁을 겪어 보지 못한 사람은 전쟁을 실제로 이해할 수 없지 않을까, 하는 인상을 받았죠. 그렇지만 저는 우리, 그러니까 전쟁을 겪지 않아도 되고 안전하게 살아왔던 사람들이 오늘날의 미디어 전문가들이 말하는 것처럼 그저 전 세계적 ‘스펙터클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것만은 아니라고 믿습니다.
“타인의 고통”은 사진 이미지를 다룬 책이라기보다는 전쟁을 다룬 책입니다. 저에게 이 책은 스펙터클이 아닌 실재의 세계를 지켜 나가야 한다는 논증입니다. 저는 이 책의 도움을 받아서 사람들이 이미지의 용도와 의미뿐만 아니라 전쟁의 본성, 연민의 한계, 그리고 양심의 명령까지 훨씬 더 진실하게 생각해 볼 수 있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
--------------------------------------------------
매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이 글을 읽으며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먼저 사진과 영상을 이용하여 전쟁의 참상을 알리는 자신들의 행동을 통해 사람들이 전쟁의 비극과 참혹함을 알 수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또는 매체를 접하는 사람들이 단지 그러한 이미지를 소비하는 것일 뿐 사진이나 영상 속의 인물들에게 동정심을 느끼는 것으로 마음속의 짐을 던다는 내용에서는 자신의 일에 회의를 느끼게 될 수도 있다.
글에 대한 반응은 크게 이 글의 내용에 긍정하는 사람과 부정하는 사람으로 나뉠 것이다. 긍정적인 쪽은 자신이 작업할 때 이 글에서 지적하고 있는 점을 항상 고민하고, 사진과 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진정성 ? 전쟁의 참상을 알리고 폭력성에 반대하는 ? 을 드러낼 수 있는 장면을 선택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부정적인 쪽은 자신들의 편집 과정을 거쳐 탄생하는 사진이나 영상을 통해서만이 비로소 사람들이 전쟁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런 통로가 없다면 ? 전쟁을 이미지로라도 확인할 수 없다면 ? 전쟁이 이토록 참혹하고 비인간적이라는 것을 알 수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이미지를 통해 타인의 고통을 소비하고 자신은 더 안전한 곳에 있음에 안도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보도 사진의 기능을 지나치게 확대하여 해석한 것이라고 반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