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비비언 고닉 글에 빠져 있다. 

짝 없는 여자, 나와 게이, 레너드는 둘 다 뉴욕커다. 그들은 우정이 쌓이는 관계다. 그들이 주고 받는 대화는 깊어 만 갈 것이다. 관계는 어찌 될 지 모르겠지만. 뉴욕 거리를 걸으면서 짝 없는 여자는 삶을 느끼고, 그 느낌 방식대로 삶을 살아가고 있다. 

우리 대부분이 일상적으로 느끼고 살아가는 부분을 이렇게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다는 게 부럽다. 이럴 때 이런 기분을 정확히 알고 싶고 묘사하고 전달하고 싶은데, 도무지 제대로 끄집어 낼 수 없는데, 짝 없는 여자는 그걸 해 내고 있다. 

나에게는 마음을 뒤집어서 보여줘야만 되는 어려운 것들을 그녀의 글에서는 쉽게 발견되고 읽힌다.   

예순을 넘어서야 몽상이 아닌 현재의 삶이 보이는 걸까. 그녀가 살고 있고. 걷고 있는 '뉴욕'서만 가능할까. 그녀에게 영혼의 안식처 같은 뉴욕은 그녀와 뗄 수 없는 장소이다. 뉴욕에서 사는 사람의 삶은 사람들이 자기 표현력의 증거로 내는 목소리가 켜켜이 포개어 올려진 층층이 쌓인 무수한 목소리들을 다루는 고고학과 같은 삶이라 고백한다. 그래서 뉴욕과 일심동체인 그녀의 삶은 환상이 결코 아닌 온갖 갈등이었다고. 더 나아가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뉴욕을 있는 그대로 느낀다고. 그러고 보니, 영혼의 안식처나 대상이 있어야 한다.

1935년에 태어난 비비언 고닉은 구십이 가깝다. 우리 엄마보다 나이가 더 많은 그녀의 글에서 나의 편견은 길을 잃는다. 이 글은 예순 쯤에 쓴 글 같다. 글을 참 잘 썼다. 

왼쪽 정렬로 편집 되어 있어, 그녀의 문장과 잘 어울린다는 엉뚱한 생각까지 든다.

비비언 고닉의 글을 읽을수록, 남은 삶은 우아하게 살아야겠다는, 연결되는 지점이 도무지 어딘지 모르지만, 그런 다짐을 했다. 이제는 왕자가 없다는 정도는 알았으니까. 그리고 처음부터 왕자가 아니라 완두콩을 찾았다는 것 정도는 알 때도 되었다. 나도 예순이 넘었으니. 


Merry Christma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모두에게는 부모가 있다. 그래서 이 책을 강력히 추천한다. 번역도 참 잘했다. 아껴가며 읽은 글이다. 엄마와 나를 돌아본다. 엄마는 나에게 넘치는 애정으로, 난 조금의 애증으로 엄마를 대하고 있다. 엄마와 나 사이의 애정과 애증의 선분에서 직선으로 오가는 게 서로에게 교차되고 있다.   

40대 딸과 70대의 엄마는 뉴욕의 브롱크스에서 맨해튼까지 걸으면서 주고 받은 이야기에서 과거의 시간 배열은 일정하지 않지만 쫀쫀한 기억과 표현이 잘 버무려진 논픽션이다. 엄마와 딸, 가족, 이웃, 딸의 남자들의 이야기가 엄마와 걷고 있는 이 거리에서, 서로 주고 받는 이야기에서, 딱 알맞게, 적절하게, 세밀하게, 상세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전부 들어 있다. 특히, 상황과 사건에 처한 개인의 감정을 절묘하게 표현한다. 

엄마와 딸은 애정과 애증을 오가면서 단단히 결속되어 있다. 서로에게 딸이 되었다가 엄마가 되었다가, 즉 그 엄마의 그 딸이 있을 뿐이다.

엄마처럼 살지는 말아야지, 하는 말이 있지만 결국 그 엄마를 벗어나지 못하고 모든 것에 간섭하고 개입하는 엄마가 딸의 삶의 기준이 된다. 하지만 글 속의 모녀처럼, 서로가 끈끈한 가족 관계를 넘어서서, 온전한 한 개인으로서 바라볼 수 있고, 서로의 삶을 인정하거나 더 이상의 '항상'이라는 패턴을 벗어날 수 있는 관계까지 와야 한다. 나도 세월이 가면 그럴 수 있을까. 나이가 더 들면 그럴까,는 아직도 모르겠다. 아무튼, 시간은 우리가 제대로 살기 전에 가버린다는 점이다. 

딸들은 엄마에게 이렇게 말 할 수 있다. 엄마가 자신의 삶을 살 수 있었는데, 그러지 안 했다고, 왜냐하면 엄마의 시간과 인생은 딸들에게서는 늘 미래이니까... 곧 우리는 다시 오지 않을 시간으로 어떻게 보면 언제나 새로운 것만 있는 시간으로 그러다 과거로 시간은 흘러간다. 그래서 돌아보면 왜 하지 않았을까, 왜 못했을까,라는 의문이 생긴다. 살아보면 마음대로 안 되는 게 인생이니.  


*54쪽 부분 오타일까, 오빤 열여섯, 아빤 사순 후반이어서...  

*글을 잘 써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그래서 이 블로그를 자꾸 회피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성경을 기반으로 한 소설, [예수]는 기독교인이라면 픽션과 논픽션으로 오가는 글로 읽게 된다. 총 14장으로 구성된 소설은 14회로 마치는 드라마 같다.  

그래서 주인공들은 지금의 우리와 나의 모습으로 환원되고 대치 된다. 특히, 예수를 배반한 유다의 속마음이 인상적이다.

나는 예수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모태 신앙이지만 60년 이상 다닌 교회를 휴학 중이다. 교회라는 공간의 의미도(교회 예배만 드리고 오는 상황에서), 교회 출석과 신앙의 관계도, 성경 말씀과 현재의 삶에서, 예수가 나에게 주는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저자가 마지막에 한 말,

'나는 세상 것들에 강하게 얽매여 있는 평범한 그리스도인, 평범한 평신도에게 그리스도의 의미를 보여 주기 위해 이 작품을 썼다.' 


*모리스 젱델이 처음에 한 말,

'그리스도교는 본질적으로 그리스도 안에 머문다. 그리스도의 교리는 교리라기보다는 그분의 인격이다. 따라서 성경 말씀은 그 의미와 생명을 한번에 잃지 않는 한, 그리스도와 떼어놓을 수 없다. 비평가들은 통찰력을 가지고 끈기 있고 충실하게 초대 교회의 신앙을 집약한 책들을 연구하는 데 탁월하게 기여할 수 있었고, 실제로도 기여했다. 그러나 믿음 없이는 성경 본문에 담긴 삶의 비밀을 발견할 수 없다. 성경 본문의 영혼인 하느님의 현존이 발하는 빛 안에서 연속성과 움직임, 신비를 이해할 수 없다.'


겨울이 되었다. 새벽 기도 뿐 아니라 교회 행사에 모두 참여하는 동생과 김장하러 간다. 네 자매가 처음으로 모여 김장하기로 했지만, 계획은 계획일 뿐, 하기 전까지 끝난 게 아닌 우리의 계획, 우아한 백조들만 엄마를 돕기로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작별 곁에서]는 천천히 곱씹으면서 읽었다. 시간이 오래 걸렸다. 세 편의 글이 끊어짐 없이 이어진다. 현대사에 일어난 굵직한 세 건의 사건과 개인에게 일어난 일들이 함께 맞물려 있다. 우리는 살면서 '죽을 때까지 처음 앞에 선다.'는 말이 맴돈다. 그러고 보니 죽는 것도 처음이다. 작별보다는 이별에 더 가까운 글이다. 글 속으로 점점 빠져들면서 마음 깊은 수렁에 빠진 거 같았다. 아직도 마음에는 웅덩이가 몇 개 남아 있는지... 저자가 말한, 내 말이 구체적인 현장에 있지 않기에 계속 회상이나 추억 같은 것을 갉아먹고 살아가는 시간만 남은 걸까? 지금은 내게도 그런 것 같다. 

누군가, 무언가와 이별하고 버린다는 게 점점 어려워진다. 그래서 묵은 짐이 곁에 있고 감정도 찌꺼기로 남아 있다. 그 간 집안 정리를 했다. 머뭇거리고 주저하며 놓아 두었던 것들, 이유는 조금이라도 큰 물건은 신고하고 입금하고 버리기까지 해야 하니 그러한 것도 한몫을 하는 것 같다. 작고 낡았지만 손 떼 묻은 여행 가방, 입지는 않고 버릴까 말까 망설이던 옷들, 예쁜 커피 잔들, 책들 등등, 이것저것을 과감히 버렸다. 아울러 오래된 연락처는 삭제하고, 아직도 투자하라는 친구라 자처하는 번호는 차단했다. 그러나 회상과 기억과 연관된 사람에 대한 감정은 여전히 하루에도 수 번이나 다양하다. 매일 이별을 감행하자. 그래도 괜*찮*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 읽기는 타인의 눈으로 새로운 세계를 보게 되는 즐거움이 있다. 책을 통하여 다른 세계로 들어갈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자신의 존재를 확장하면서 타인의 관점으로 보고 생각하고 느끼기를 원하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책 읽기를 통해 나의 삶과 다른 다양한 타인의 삶을 경험할 수 있다. 하지만 나와 익숙하지 않은 다른 삶은 배제될 때가 많다. 그래서 책 선택의 폭이 좁고 한쪽으로 편향된 책 읽기만 지속된다.  그렇다면, 나에게 책 읽기의 목적은 무엇일까, 단지 '즐거움' 뿐일까...

부록에 나오는 현재 당신을 빚어낸 책 열 권을 든다면? 지금까지 다시 읽은 책은 어떤 것이며, 그 이유는? 세 번 이상 읽은 책은? 가장 영향을 준 동화는? 가장 좋아하는 작가는 누구이며, 삶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등등의 질문에 답해 본다.

시월이 다 지난다. 나무들은 다시 초록 옷을 입을 건데, 우리는 다시는 청춘으로 갈 수 없다. 그래서 책을 읽을까... 홍상수 영화 '우리의 하루'를  보았다. 고양이 이름도 우리, 우리도 우리다. 우리는 잠시 사라지기도 하고 죽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