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멋진 여우 씨 동화는 내 친구 48
로알드 달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퀸틴 블레이크 그림 / 논장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여우 씨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욕심 많고 심술 사나운 못된 사람들을 한바탕 골탕을 먹이는 솜씨가 대단합니다. 배꼽을 훔쳐갈 만합니다. 또한 어려운 상황에서도 끝가지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여우 씨가 멋져보였습니다.

여우 씨에게 뜻밖의 시련이 불어왔습니다. 바로 세 명의 농장 주인- 보기스, 번스, 빈-이 여우 씨를 잡으려고 안달이 났습니다. 가족을 책임져야할 여우 씨는 세 사람과 목숨이 오가는 싸움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그동안 안정적(?)으로 먹잇감을 농장에서 구했는데 이제 굴속에서 옴짝달싹 할 수도 없게 됩니다. 농장에는 여전히 사람들이 먹고도 남을 닭과 오리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세 사람은 아주 고약합니다. 자기들만 배부르게 먹으면 그만입니다. 여우 가족들을 위해서 인정을 베풀지 않습니다.


대신에 어떻게 하면 여우 씨를 잡을 수 있을까, 못된 생각만 합니다. 고심 끝에 굴삭기로 여우 굴을 파헤칩니다. 그러나 이것마저도 힘들어 총을 들고 여우 굴을 지킵니다. 여우 씨를 배고프게 하려는 속셈입니다.


과연 쫓고 쫓기며 궁지에 몰린 상황에서 여우 씨는 어떻게 탈출할 수 있는지 사뭇 궁금해졌습니다. 굴 밖으로 나가면 총알 밥이 될 것이고 굴 안에 있다면 굶어 죽을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 순간 여우 씨는 기발한 생각을 합니다. 도망을 가는 대신 오히려 세 명의 농장을 향하여 굴을 파는 것입니다. 그리고는 성공적으로 먹잇감을 가지고 와서 이웃 동물들과 함께 즐거운 잔치를 벌입니다.


이 책에서 가장 재밌는 부분은 세 사람이 이런 사실을 모른 체 굴 밖에서 미련하게 기다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더구나 지금까지 기다리고 있을 거라는 말에 웃음이 절로 나옵니다.


여우 씨에게 다시 한 번 박수를 보냅니다. 앞서 말했듯이 위험한 순간에서 벗어나려고 달아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은 위험과 맞설 수 있는 용기와 지혜입니다. 남들이 보기에도 일방적인 싸움이어서 여우 씨가 끝내는 포기할 거라 생각할 수 습니다. 그러나 결과는 여우 씨가 통쾌하게 세 사람을 바보로 만듭니다.


앞으로는 세 사람이 여우 씨에게 배려해주길 바랍니다. 여우 굴을 지킨다는 것은 남을 배려하지 않는 일입니다. 이제 그만 농장으로 돌아가길 바랍니다. 멋진 여우 씨 마냥 멋진 세 사람이 되어 오래도록 기억되었으면 합니다.


이 우화는 우리 삶의 한 단면을 코믹하면서도 진솔하게 보여주고 있어 흥미롭습니다. 이로인해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 가를 멋진 여우 씨가 깨닫게 해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축 속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이재인 지음 / 시공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과학을 주제로 하는 책들이 아주 많아졌다. 과학이 어렵다는 편견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매우 흥미로워졌다. 그동안 우리가 과학에 대해 거리감을 두고 있는 접근 방식의 문제점 때문이었다. 바로 주입식 교육 탓이다.

우리가 흔히 ‘열 길 물속을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을 모른다.’고 입버릇처럼 말한다. 그런데 왜 그럴까? 일찍이 영국의 유전학자 홀데인은 사실을 받아들이는 4단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1단계: 그건 말도 안 되는 이야기다.

2단계: 흥미 있는 이야기긴 한데 틀린 이야기야.

3단계: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게 중요한 건 아니지.

4단계: 난 항상 그렇게 말했었지.


이처럼 우리는 당연한 사실에 대해 브레이크를 걸지 않았다. 하지만 한 번쯤 사실에 대해 브레이크를 걸어 본 사람이라면 앞서 말한 사실이 왜 그런지를 과학적으로 설득력 있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빛의 굴절과 전반사를 알면 된다. 즉 열 길 물속을 알 수 있는 것은 빛의 굴절이요, 한 길 사람 속을 모르는 것은 전반사라는 원리 때문이다.


저자는 제목에 나와 있듯 건축 속 재밌는 과학을 찾아 탐험을 한다. 건축과 과학이 만난다? 접근도 독특하고 내용 또한 신선했다. 저자는 건축 속을 두루 살피면서 빛을 반사해보기도 하고 굴절시켜 보기도 한다. 때로는 소리에 있어 반향내지 속사임의 회랑이라는 현상을 체험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우리는 과학의 다양한 법칙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사람 몸을 206개 뼈가 지탱하고 있듯 하나의 건축에는 과학적인 원리가 적용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을 간과하고 오로지 건축의 겉모습에만 치중한다면 우리는 건축의 아름다움과 실용성에 대해 정작 아무것도 모르게 된다. 가령, 빌딩 숲에서 먼로 바람이 왜 생기는지? 공연석 의자가 왜 푹신한지? 은행 문이 왜 회전문인지? 방 안의 문이 왜 안쪽으로 여닫는지?


이 책을 통해 우리는 과학적인 원리를 흥미롭게 배울 수 있다. 혹, 이해하기 어려운 과학 용어가 드문드문 나오더라도 걱정이 없다. 복잡한 과학 용어를 그림으로 이미지화 되어 있어 보는 재미를 한층 부풀려주고 있다. 더불어 머릿속이 한결 시원해지는데 굴뚝 효과를 직접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의 또 다른 매력은 저자가 보여주는 전방위적 지식들이 적재적소에 안성맞춤이라는 것이다. 이로 인해 과학에 대해 문외한이더라도 과학과 친해질 수 있는 가장 빠른 길로 안내하고 있다. 저자는 과학의 대중화를 위하여 독수리처럼 하강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사이클로드 곡선을 따라 독자들의 호기심을 만족시켜 준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回頭一笑百媚生(회두일소백미생)
六宮粉黛無顔色(육궁분대무안색)

고개를 돌려 한 번 웃으면 백가지 아름다움이 생기니
육궁의 미녀들 낯빛을 잃고 마네.

위 시는 백거이의 ‘장한가(長恨歌)’ 일부분이다. 여기서 고개를 돌리는 사람은 다름 아닌 양귀비다. 그리고 그 아름다움을 지그시 바라보는 사람은 당(唐) 현종이다. 그녀의 아름다움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경국지색(傾國之色)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이고 보면 지레 짐작할 수 있으리라. 그러나 가늠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아름다움 앞에서 때로는 모든 것이 안개에 가려져 정작 아무 것도 볼 수 없으리라.

우리가 1,500년 전 김대문이 지었다는 「화랑세기」에 나오는 ‘미실’이라는 신비스러운 여인을 만나려고 하는 것은 이러한 까닭이다. 하지만 그녀의 에피소드적 이야기를 따라가는 동안 처음의 설렘과 달리 그녀를 마주하기가 사뭇 거북살스러웠다. 단지 1,500년 이라는 세월을 뛰어넘어야 하는 부담감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그녀의 당돌함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움이 마치 색공지신(色供之臣)이라는 성(性)의 정체성에 파란을 일으키는 듯 했다.

사실 성만큼 우리의 감각을 마비시키는 소재는 드물다. 지금이야 어느 정도 성을 자유롭게 말하고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성을 말한다는 것은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리라. 그런데도 저자는 거침없이 성을 드러내면서 오히려 우리를 두렵게 만들고 있다. 1,500년 전 남녀 간의 사랑은 말초신경을 건드리면서도 당당했다.

그런데 저자는 왜 미실의 정체를 궁금해 하는 것일까? 미실이란 여인은 다소 상투적일 수 있다. 사랑으로 천하를 얻었으나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는 운명의 수레바퀴를 굴릴 수밖에 없는 여인의 일생은 신선한 충격이라고 하기에는 그리 좋아할 만한 사람이 몇 명 없을 것이다. 즉 선과 악의 이분법적인 잣대의 희생양을 보면서 쓸데없이 부풀어 오른 감각에 만족했던 것이 어제 오늘이 아니다. 하지만 저자는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미실을 다르게 본다. 결론적으로 미실을 한탄하지 않는다. 다시 ‘장한가(長恨歌)’의 또 다른 부분을 보면,

遂令天下父母心(수령천하부모심)
不重生男重生女(부중생남중생녀)

마침내 천하의 부모들 마음이
아들 낳는 것 중히 중히 여기지 않고, 딸 낳기를 중히 여기네.

이와 같이 백거이는 양귀비를 한탄하고 있다. 사랑으로 권력을 이랬다 저랬다 주무르는 모양새는 이처럼 몰락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김별아(저자)는 미실이 가지고 있는 아름다운 본능을 찾아 나선다. 아름다움이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을 노래한다. 그 노래 가락이 남녀 간의 사랑, 즉 음과 양이 만나는 소통의 길목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다. 그러면 모든 것이 부드러워지리라. 그것은 수치심이 아니다. 살아가는 자 혹은 살려고 하는 자 이 모두에게 기쁨이리라.

이 책을 읽고 보니 숨이 가쁘다. 미실이라는 신라의 여인은 분명 강했다. 이는 저자가 이미 이 책의 서두에서 밝혀 듯이 미실은 ‘자신이 보여주는 시대를 가장 충실하게 살아가는 배덕자’ 이기 때문이리라. ‘배덕자’ 라고 해서 거부감을 일으킬 필요는 없다. 허울뿐인 도덕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신비스러운 몸을 지닌 미실은 아름다움의 힘이 만들어 낸 미인이다.

그래서 저자가 오늘날 미실을 우리에게 생생하게 보여주려고 했던 것이 혹 ‘장탄가(長歎歌)’를 부르려고 한 것은 아니었을까, 라는 생각이 앞선다. 이는 충분히 사랑에 대한 아름다움답고도 새로운 모색 때문이리라. 사랑이 남녀 간의 애증에 따른 줄다리기를 부인하기는 힘들다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여자가 항상 밀리는 식의 상투적인 사랑 타령은 이제 그만했으면 하는 저자의 바람이었을 것이다. 여자의 사랑이 꼭 남자와의 몸짓에서 좌지우지 된다는 것은 모순의 멍에가 아니겠냐고 반문한다. 여자 또한 세상을 바라보는 나름대로 즐거움이 있는 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빈이 사랑한 천재들 - 클림트에서 프로이트까지 도시가 사랑한 천재들 1
조성관 지음 / 열대림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한 번쯤 여행을 하고 싶어 한다. 답답한 일상을 벗어날 수도 있고 낯선 곳에서 마주치는 희열도 있을 것이다. 어쩌면 이것이 여행이 우리에게 주는 특별한 선물일 것이다.


이 책은 제목에 나와 있듯 빈을 사랑한 천재들의 이야기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빈이라는 예술의 도시가 내게로 성큼 다가왔다. 더구나 클림트, 모차르트 등 6명의 천재들을 만날 수 있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다.


슈테판 츠바이크는 빈을 가리켜 ‘2000년에 걸쳐 국가를 초월한 수도’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만큼 빈은 예술과 낭만의 무대였다. 이 무대에서 6명의 천재들은 일부분에 불과하다. 이밖에도 많은 천재들이 빈에서 열정적으로 활동하였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빈을 사랑했던 천재들은 오히려 빈으로부터 사랑받지 못했다. 음악의 신동 모차르트는 명성에 어울리지 않게 그의 묘지는 쓸쓸하였다. 사람들은 천재의 도전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니체는『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에서 천재의 고뇌를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예술의 천재는 즐거움을 주기를 원한다. 그러나 그가 극히 높은 단계에 있으면 그 예술을 감상해 줄 사람이 없게 된다.”고 했다.


가령, 클림트의 <키스>가 근래에 주목받은 작품이 되었다. 당시에는 몽환적 에로티즘이라고 해서 터부시되었는데 오늘날 황금빛 유혹은 강렬하다. <키스>에 그려진 여인의 관능미가 적지 않은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결국 예술을 위한 열정은 천재를 고독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6명의 천재들이 남긴 예술은 오늘날 고독하지 않다. 1995년『타임』지가 ‘지난 1000년의 가장 위대한 음악으로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이다. 그리고 청력 장애로 절망했던 베토벤의 <전원 교향곡>은 어떤가? 죽음을 예술로 바꾼 주옥같은 작품이었다.


이 책을 통해 빈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었다. 만약 해외여행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여행지 1호가 빈이 될 것이다. 저자말대로 피아커(마차)를 타고 포석이 깔린 중세의 좁은 골목길을 지나가고 싶어졌다. 말발굽의 편자가 화강암 포석과 맞부딪쳐내는 “또각또각”하는 소리가 매우 그리워졌다.


빈의 낭만에 대한 시선을 돌려 서울을 보면 숨이 막힌다. 지금으로서는 천재들은 서울을 사랑하지 않을 것이다. 건축가인 아돌프 로스 말대로 ‘문화적으로 낮은 민족일수록 장식과 치장에 더 헤프다’라는 경고를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그래서 우리 사는 서울에도 세기의 천재들이 머물다 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십장생을 찾아서
최향랑 글.그림 / 창비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십장생(十長生)이 뭐지? 이 책에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십장생이 생동감 있게 그려져 있습니다. 추운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소나무, 은혜를 갚을 줄 아는 사슴, 한 번 먹으면 늙지 않고 오래 살 수 있는 불로초, 이 세상을 깨끗이 하는 물 등 십장생들이 마법적으로 펼쳐집니다.

 

그러나 이 책이 십장생에 대한 이런 저런 설명을 하고 마는 고리타분 것은 아닙니다. 이 책은 제목에 나와 있듯 아이가 십장생을 찾아나서는 모험이 흥미진진합니다. 병든 할아버지를 낫게 해주려고 합니다.


그동안 할아버지는 아이와 둘도 없는 단짝이었습니다. 놀이터에서 놀아주고 방안에서는 말이 되어 아이를 등에 태워주었습니다. 그런데 할아버지가 그만 병석에 눕습니다. 아이는 할아버지의 건강을 위해 뭔가를 해주고 싶은데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때 신선이 타고 다니는 학이 나타나 아이의 걱정을 다독거려줍니다. 바로 십장생을 선물해주면 할아버지의 병이 회복될 수 있다는 기막힌 생각을 선물해줍니다. 그리고는 다른 십장생 친구들을 찾아나서는 여행의 길잡이가 되어줍니다. 아이는 십장생 하나하나 만나면서 십장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말해줍니다. 


이렇듯 열 개의 소중한 보물을 모으는 아이의 특별한 사랑이 가슴을 물컹거리게 합니다. 요즘같이 가족의 위기가 문제시되고 있는 데 아주 훈훈한 이야기입니다. 병든 할아버지를 낫게 하려는 아이의 마음이 향기롭게 느껴집니다.


어쩌면 굉장히 교훈적이고 그럴 듯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는데 작가는 참신한 상상력을 발휘하여 공감하게 만듭니다. 작가는 한국 민화의 멋을 십장생으로 독특하게 그려냅니다. 그리고는 우리 민족의 무병장수에 대한 염원이 시공을 넘나들며 우리들에게 소중한 지혜라고 합니다. 


십장생이라는 맛깔스러움 덕분에 아이 뿐만 아니라 이 책을 읽어주는 어른들도 즐거움을 충분히 얻을 수 있습니다. 재미와 감동이 십장생처럼 꿈틀거리며 우리 마음에 정성스럽게 수를 놓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