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이야기해서는 안 됩니다. 순전한 이기심에서 나온 것이라 해도 안 됩니다. 왜냐하면 마음을 쏟아버리고 나면 우리는 이전보다 더욱 비참하고 두 배나 더 고독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자기 속을 보이면 보일수록 타인과 더욱 가까워진다고 믿는 것은 환상입니다.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말없는 공감이 제일입니다. (p. 127)

 

 

 

 

 

 

 

 

 

 

틀린 선택을 했다는 것 자체가 잘못이라는 게 아니야. 선택의 결과는 스스로 책임지라는 뜻이지. 그 선택의 결과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 힘에 의존하기 시작하면, 너의 선택은 더욱 돌이킬 수 없는 방향으로 나아갈 거란 말을 하는 거야. (p. 1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머니 말에 따르면, 외로움이란 무거운 망치로 얻어맞는 것과 같아서, 유리는 산산조각 내지만 쇳덩이는 더 단단하게 한다고 했다. (p.58)


아모스 오즈의 <사랑과 어둠의 이야기 1>을 바쁜 중에도 틈틈이 읽어가고 있다. 시간이 없다고 미뤄두면 다시 펼치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님을 알기에 되도록이면 한 줄, 한 장이라도 매일 읽으려고 한다.  


읽다가 참 좋은 표현이다 싶어서 밑줄을 그었다. 그러고도 내내 마음에 남아서 이렇게 올려본다. 


외로움이란, 

무거운 망치로 얻어맞는 것과 같아서, 

유리는 산산조각 내지만 

쇳덩이는 더 단단하게 한다  


외로움의 밑바닥까지 내려가 본 자의 표현일 수 있겠다. 너무 외로워서 더욱 자신의 내면 속으로 갇히고 마는 그러한 상태. 삶의 고통 속에서 아직 영혼이 단련되지 않은 자들을 유리에 비유한다면 그들은 비로소 외로움을 통해 인생의 처절함을 경험할 것이고 무너져가는 자신을 보고만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게 깨어지고, 깨어지고, 또 깨어진 그 유리는 점차 쇳덩이가 되어 가겠지. 


그들은 외로움이 외부에서 오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실은 내 안에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지 못하고 외부로 더 깊이 나아가지 못하고 어떤 이유에서든 외부와 어울리지 못하게 하는 내 안의 상처가 외로움의 굴레에 가두고 마는. 


반면에 외로움이, 쇳덩이는 더욱 단단하게 한다는 말이 특히 와 닿는다. 정신이 유약한 자들은 외로움 속에서 산산이 깨어진다면 그동안 삶의 고통과 좌절 속에서 쇳덩이가 되어간 정신이 강건한 자들은 외로움 속에서 더욱 자신의 위치를 가늠하고 외로움을 인생의 브레이크 시기로 삼아 더욱 절대고독 속으로 들어가려 할 것이다. 왜냐하면 인생에서 이렇게 홀로 외로운 시기는 잘 찾아오지 않음을 알기 때문에. 그렇게 절대고독 속에서 홀로 외로움을 견딘 자들은 그 외로운 시간이 결코 외롭지 않다 여길 것이고 그 안에서 오히려 평안과 안정감을 누리는 특별한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인생에서 자주 만나게 되는 외로움, 모든 상황이 외로움 속으로 몰아갈 때도 있을 것이고 나 스스로가 외로움을 찾아 들어갈 때도 있을 것이다. 어떤 상황에서 만나는 외로움이든, 외로움을 벗삼아 인생을 힘있게 살아가는 쇳덩이가 될 수 있게 매일의 삶 속에서 나를 단련해 가야 할 것이다. 문제에 나를 던져놓지 말고 문제가 나를 이끌게 두지 말고 늘, 문제 너머의 답을 바라보며 지혜를 구하며 살자. 외로움이 찾아오면 그 안에서 안정감을 누리는 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정일의 독서일기 1 범우 한국 문예 신서 51
장정일 지음 / 범우사 / 2003년 1월
평점 :
절판


내가 읽지 않은 책은 이 세상에  없는 책이다.

예를 들어 내가 아직까지 읽어보지 못한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는

내가 읽어보지 못했으므로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톨스토이도 다른 누구도 아닌 바로 내가 그 책을 읽어야 한다.

내가 한 권의 낯선 책을 읽는 행위는 곧 한 권의 새로운 책을 쓰는 일이다.

이렇게 해서 나는 내가 읽는 모든 책의 양부가 되고 의사(pseudo) 저자가 된다.

 

 

막연하나마 어린시절부터 지극한 마음으로 꿈꾼 것이 이것이다.

정선해서 골라 든 책을 안고 침대에 푹 파묻혀,

밑줄을 긋거나 느낌표 또는 물음표를 치면서

나 아닌 타자의 동일성에 간섭하고 침잠하는 일,

뒷장에 내 나름의 '저자 후기'를 주서하는 일.

나는 그런 '행복한 저자'가 되고 싶다. 
 

『장정일의 독서일기 1』 중에서

 

 


 

"내가 읽지 않은 책은 이 세상에 없는 책이다." 로 시작하는

「장정일의 독서일기」의 글이 살면서 자주 생각난다.

존재하지만 내가 읽지 않은 책은 없는 것과 같다.

나도 그렇게 생각하며 살았다.

때를 따라 찾아오는 존재감 묵직한 책들에 감사한 날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벼운 나날
제임스 설터 지음, 박상미 옮김 / 마음산책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는 삶의 한계를 받아들였다. 이 고뇌와 이 만족이 그녀를 우아하게 했다."

 

 

제임스 설터의 「가벼운 나날」에서 마음에 드는 문장을 만났다.

오늘도 그 문장을 음미하며 "그녀" 대신 내 이름을 넣어 읽고는 흐뭇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연인을 절망으로부터 지켜 내는 일이다. 그것은 연인이 무심코 "죽겠다." 라고 말할 때 "정말로 죽을 생각이 아니라면 아무렇게나 죽겠다고 말하지는 마요." 라고 말하는 일이고, 정전이 되었을 때 제일 먼저 연인에게 전화를 걸어 이쪽도 역시 캄캄하다고, 나는 당신과 같은 어둠 속에 계속 있을 것이라고 말해 주는 일이며, 잠을 못 자는 연인에게 밤 아홉 시에 달려가 함께 배드민턴을 치자고 말하는 일이다.
_ 황정은, 『百의 그림자』, 신형철 해설 中
  
*
  
며칠을 꼬박 신경숙의「외딴방」을 읽고, 뒤이어 읽어내려간 소설이「百의 그림자」다. 황정은의, 특유의 느리고도 차분한 목소리 덕분에 소설 속 은교의 목소리를 따라가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 그녀의 목소리를 입혀도 어색하지 않은, 왠지 그녀를 닮은 주인공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무재와 은교의 대화가 마음에 들었다. 은교씨... 무재씨... 하면 어김없이, 네... 하고 대답하는 그들의 대화, 그리 특별할 것도 없는 그들의 대화가 그렇게 마음에 들 수가 없었다. 사랑한다는 말 한마디, 열정적인 감정 하나 섞여 있지 않지만 사랑은 이렇게 시작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사랑은 이렇게 담담하고도 애틋하게 녹아들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으니까. 
해설을 읽고나면 그만 할 말이 없어진다. 신형철의 해설은 더욱 그렇다. 내 생각은 간데없고 신뢰하는 평론가의 생각을 그대로 내 안에 담고 마는 것이다. 나의 두서없던 생각들, 그리고 생각지도 못했던 부분들을 조목조목 펼쳐가는 그의 해설. 그래서 이 소설이 더 좋았는지도 모르겠다.


2014.10.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