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에 읽은 책
나토리 호겐의 책은 예전에 읽었던 거지만
서재 정리하다 다시 읽은 책이다
세 가지 시리즈 모두가 삶에 실천적인 지혜이자 중심을 잡아주는 책이라 언제 읽어도 좋다.

호모 사피엔스의 등장은 인류의 다른 종들의 멸종을 가져왔다. 그래서 유발하라리는 호모 사피에스 종을 생태학적 연쇄살인범이라 한다.
호모 사피엔스가 세상을 지배하게 된 것은 다수가 유일하게 합동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대규모 협동 시스템은 세 가지 혁명을 가져왔는데 인지혁명과 농업혁명, 과학혁명을 말한다. 앞으로 도래할 혁명은 생명공학 혁명이 남아있으며 길가메시 프로젝트로 마무리 될 것이라 한다. 이것으로 인류는 몇 세기 안에 사라질 것이며 신인류인 사이보그가 인류를 대체한다는 것이 이 책의 골자이다. 한마디로 사피엔스는 멸종위기종이다. 유발하라리의 주장에 동의할 순 없지만 현대를 살아가는 동안 과학이 우리의 삶을 침범하며 위협하는 일에서 자유롭지 못함은 분명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문

딱히 좋은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코드가 잘 맞는 것도 아닌데
이상하게 끊지 못하고 습관적으로 만나는 사람이 있습니다.
헤어지고 나면 ‘아, 만나길 잘했구나‘라는 개운함보다
왠지 만나서는 안 될 사람을 만났다는 찝찝함을
매번 혹처럼 안겨주는 사람.

그런 사람은 차라리 없는 게 낫습니다.
그 인연은 단호히 끊는 게 맞습니다.
그럼에도 끊지 못하고 싫은데도 자꾸 만나다 보면
결국 안 좋은 끝을 보고야 맙니다.
그러고 나서야 헤어지게 됩니다

만나면 즐겁고
헤어지면 또 만나고 싶은
좋은 인연만 곁에 두세요.
지금보다 더 행복해지길 바란다면.
-이은재 #사랑의_중력을 읽다가

살아가면서 숱한 인연 가운데
지금 현재 인연을 맺고 있는 사람들이
모두 만나면 즐겁고
헤어지면 또 만나고 싶은 이들이다.
그 만족감과 행복은 상당하다.
물론 사람과의 인연을 끊는 것에는 상당한
결단력이 필요하고 어떤 면에서는
미움받을 용기가 있어야 가능하다.
하지만 정말 이 사람은 아닌데,
만나면 스트레스 받고
싫은데도 굳이 좋은 척 하며 끌려가다보면
그런 사람과는 안좋은 끝장을 보는 경우가 많다.
오래 전 안좋았던 인연의 사람들은
시간을 되돌려 다시 같은 관계를 맺어도
좋은 인연으로 남겨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런 사람들은 그냥 나와는 맞지 않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삶의 방향이나 가치나 의미자체가 다르기에
맞을 수가 없는 조각인연이다.
행복해지길 바란다면,
우린 모질게 불행의 관계를 끊을 필요가 있다.

#나와너
나는 ‘나‘이고자하고
나는 ‘나‘로서 빚어졌고
나는 ‘나‘라는 고유명사 자체이기에
나를 자신의 틀에 맞추길 원하는 사람과는
함께 할 수 없다.
그렇다고 ‘나‘에게 맞춰달라는 말이 아니다.
나라는 사람의 단독성, 글자 그대로
‘다른 무엇과 바꿀 수 없는 고유한‘ 나를
인정해주면 된다.
나를 ‘너‘로 만들고자하여
나를 ‘너‘로서 빚으려 하기에
나는 너를 만나 스트레스를 주고 받는다.
나는 ‘너‘와는 전혀 다르다.
그것만 이해해줘도
나 와 너
좋을텐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문
#천개의공감

정신 분석은
˝ 사랑 앞에서 좌절하는 사람들을 위한 학문˝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랑만 제대로 해낼 수 있으면 생의 많은 문제들이 해결됩니다. 사랑의 경험을 의식적으로 잘 치러내면 생애 초기에 내면에 형성된 왜곡된 정서들을 다시 체험하면서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습니다.
-천개의 공감 중에서

소설가 김형경은 심리상담가로서 독자들과의 상담치료를 바탕으로 여러 권의 책을 내었다.
그 가운데 『천 개의 공감』 이란 책이 있다.

마음의 치료는 진정한 자기를 아는 것으로 시작되는 천개의 공감은 작은 일에 상처 받고 자신감이 상실되어 스스로 못났다고 자학하며 직장에서나 가족들에게 상처받아 가슴에 아픈 멍울이 생긴 이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문제가 생기면 반사적으로
그 원인을 외부에서 찾는 습관이 있다.
외부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으려다보니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한 채 자살하거나,
정체성 혼돈으로 인해 방황과 일탈을 반복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모든 문제들은 외부가 아닌 내부의 문제,
자신에게 집중할 때 심리치료가 가능해 지는 것이다.

김형경 작가는 중년에 꼭 정립되어 할
덕목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는 자기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일
두 번째는 삶의 목표를 수정하는 일
세 번째는 천복을 기억하는 일
네 번째는 공동체에 회향하기
다섯 번째는 죽음을 기억하기

방학을 맞이하여 오래 전에 읽었던 책들을
다시 정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어느 날 내 블로그를 보는데 서평이
이미 천여 편을 훌쩍 넘기고 있었다.
그 가운데 정리 되지 않는 글들이 눈에 띄기도 하고
퇴고를 하지 않아 오타와 비문들도 몸에 난 두드러기처럼
불편하게 보였다.
기억하고 싶은 좋은 글들이 무덤이 되어 잠들어 있는 기분에
하루에 한 번은 얘들을 깨워 뭔가 의미있는 글들로
만들어보자라는 생각에 ‘하루 한줄‘을 쓰기 시작했다.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하였지만
역시나 작심하여 지키는 일에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도 김형경 작가가 제시한 다섯 덕목을 지키기에는
하루 한 줄의 목표는 매우 유용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문
#끄적끄적

눈앞에 있는 것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

다가오는 것들을
다가오는 그대로 맞아들이기

떠나가는 것들을
떠나가는 그대로 떠나보내기

얼마나 쉬운 일인가?
오,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이현주목사의 <대학중용읽기>에서

중(中)이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기울어지지 않으며,
지나침도 미치지 못함도 없는 것(不偏不倚無過不及)을 일컫는 것이고,
용(庸)이란 떳떳함[平常]을 뜻하는 것이라 주희는 설명하였다.
정자(程子)는 기울어지지 않는 것[不偏]을 중이라 하고
바꾸어지지 않는 것[不易]을 용이라 하였다.

어울리면서 휩쓸리지 않는다.(화이불류)
대인은 어울리되 한통속이 되지 않고
소인은 그와 반대로 한통속이면서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
어지러운 정치판을 보며 정치인들이
중용의 의미를 떠올려봤으면 싶다.
군자는 서로 조화를 이루어 살면서도
각자 개성을 유지하고 중심에 서서
어디에도 기울지 않는다(中立而不倚).
정당은 서로 헐뜯고 같은 정강정책아래
당원들이 쪼개져 싸우는 꼴을 보니
실망을 금할 수 없다.
친박으로 망한 자한당이 다시 친박으로 자폭하려 한다.
본시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문
#마음의창

인류 최초로 대기권 밖을 여행한 구소련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은 한눈에 보이는 지구를 내려다보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
˝ 하늘에 신은 없었다.˝
반면에 아폴로 12호를 탑승했던 미국의 우주비행사 제임스 어윈은 이렇게 말했다지요.
˝저 멀리 지구가 오도카니 존재하고 있다. 이처럼 무력하고 약한 존재가 우주 속에 살아가고 있다는 것, 이것이야말로 신의 은총이라는 사실을 아무런 설명 없이도 느낄 수 있었다.˝

미셀 투르니에는 ‘감동할 줄 모르는 사람은 비참한 사람‘이라고 하였다. 같은 것을 보고도 다르게 느끼는 차이는 사람들마다 마음의 창窓이 다르기 때문이다. 유리창도 닦아야 빛을 발하고 깨끗해지는 것처럼 마음의 창 또한 그렇다. 풍요로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주변의 모든 것들이 우리에게 주는 삶의 의미와 자연에서 전해주는 것들에서 감동 받는 훈련을 해야 한다. 삶에서 감동 받지 못하는 사람은 삶에서 늘 부정적인 것을 찾는다. 마찬가지로 자신의 삶을 긍정할 줄 모른다면 그것만큼 불행한 일은 없다.

시이불견 청이불문 (視而不見 聽而不聞)-마음에 하고자 하는 바가 없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가 않고, 맛을 봐도 그 맛을 모른다.

핑크를 무척 좋아하는 왕이 있었다. 궁궐의 모든 것을 핑크색으로 바꾸지만, 정작 구름과 태양, 나무를 핑크로 바꾸지 못하자 고민에 빠졌다. 지나가는 현자에게 고민을 말하니 현자는 왕에게 핑크색 안경을 만들어주고 떠난다. 핑크 왕은 세상의 모든 것들이 핑크로 보이자 무척 흡족해 했더란다. 자아라는 마음의 창은 자신이 무엇을 보고자 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나에게 어떤 안경을 씌울 것인지조차 내 마음의 창에 의한 것이다. 나를 사랑하는 꼭 그만큼이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있는 용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