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은 밥이다 - 엄마가 읽는 수학책 ㅣ 교사와 학부모를 위한 함께도서관 6
강미선 지음 / 주니어김영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가 어려서는 하나, 둘, 셋 세는 방법을 가르치고, 숫자를 가르치고, 조금 자라서는 간단한 덧셈을 가르치고, 구구단을 외우게 하고, 간단한 곱셈을 가르쳐주는 것 까지는 별 고민없이 해왔는데, 요즘 문장제 문제를 풀기 시작하다보니 그냥 연산의 방법만 가르쳐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분야도 그렇지만 '개념'에 대한 이해가 우선하지 않으면 금방 한계에 부딪히겠더라는 것이다. 곱셈의 방법을 가르치다보면 곱셈으로 계산하는 문제가 아닌데도 문제에 제시된 숫자를 그냥 곱해버리는 것을 보고, 더하기와 곱하기의 개념부터 다시 가르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언제 더하고, 언제 곱하는지. 곱하기의 의미가 무엇인지. 그러다보니 수학을 어떻게 아이에게 이해시켜야 하는지 도움을 얻기 위하여 찾아 읽게 된 책이다.
저자는 수학이란 단순히 연산을 가르치는 학문이 아니라, 건강을 위해서 끼니를 거르지 않듯이, 정신을 건강하게 하게 위해, 정신을 살찌우기 위한 '밥'이라고 비유했다. 밥을 잘 먹으면 뱃속이 든든해져 활력이 생기듯이 수학이 우리에게 그런 힘을 준다는 것이다. 생각이 풍요해지고 인생을 겁내지 않고 저벅저벅 나아갈 수 있는 힘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숫자를 제시하고 단순히 계산만 하면 되는 문제만 풀것이 아니라, 문장으로 제시된 문제, 즉 문장제 문제에 대한 훈련을 통해 문제가 무엇을 묻는지 파악하고, 그것을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게 중요하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 초등학생들의 수학 책의 대부분은 단순한 계산 문제가 대부분인 반면, 외국의 선진국 교과서에는 그런 문제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한다. 저자는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있는 능력 또한 무시해서는 안되고 중요하지만, 정확한 개념의 이해가 더 기본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 '상황'을 수와 연결시키는 것은 상상력을 필요로 한다.
- 저학년 때부터 '문장제 문제집'을 많이 보게 한다.
- 자발적인 공부: 자율성을 키우는 것은, "네가 스스로 하려는 노력을 좀 해라!" 하고 야단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게 아니라, 평소 생활에서 작은 일부터 아이가 결정하도록 놔두는 것에서 시작한다.
- 성공하는 수학 학습 스케줄
* 유아기에서 초등 저학년: 개념 학습 중심. 한가지 개념이라도 꼼꼼하게 파악하기
* 초등 고학년: 계산 연습. 기본적인 사칙연산에 능숙하기
* 중학교: 한 학기 선행을 통한 예습과 복습. 다양한 문제에 익숙해질 정도 (개념 1권 + 연습 1권)
* 고등학교: 1년 선행. 기본 서적으로 개념 잡고 EBS 문제로 연습하기
이 책만으로는 부족한 감이 없지 않아 있다는 생각이 들어 알아보았더니 엄마를 위한, 동일 저자의 초등 수학 관련 책들이 몇 권 더 나와 있다. 기회가 되면 읽어 봐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