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에서

                                                                - 마   종   기 -

 

1
동생이 죽어 묻힌 외국의 공원묘지,
일 년이 지나도 풀이 잘 자라지 않는다.
한글로 이름 새긴 비석에 기대 앉으면
땅 밑의 너, 땅 위에는 낮은 하늘이 몇 개,
여기가 과연 느슨한 평생의 어디쯤인가.

2
네가 떠난 후에도 매일 날이 밝고 밤이 어두워졌다. 어쩌다 잘못 꺾어든 길에서 너는 끝이 났
지만 고맙다. 지난 수십 년, 착한 동생으로 내 옆에서 살아준, 가끔은 건방진 내 마음의 발길
에 차여 아파했을 너. 멍도 풀고 한도 풀고 하늘도 풀어서, 우리가 다시 만나 기뻐 뛰며 울 날
까지 - 건강해라. 깊고 깊은 숨 속에서 건강하거라.

3
묘지 근처의 모든 공기는 언제나 생각에 잠겨 있다.
묘지 근처의 공기는 언제나 먼 곳을 보고 있다.
조용하고 가득한 냄새만 사방에 번진다.
일 년이 지나도 갈색빛을 지키는 땅바닥에
나는 너무 아프다고 중얼거린다.
멀찍이서 울던 새 한 마리 갑자기 입을 다물어버린다.
묘지의 공기가 힘 죽이고 땅 밑으로 스며들고 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水巖 2005-10-13 21:28   좋아요 0 | URL
매년 가을만 되면 가슴을 앓고 있다는 그분에게 마음의 평화가 있기를 빕니다.
언젠가 여드레 살다간 조카를 애도한 저의 졸작을 읽고 통곡을 하셨다는 이 분을 생각하면 저도 눈물이 날것만 같군요.

물만두 2005-10-13 21:33   좋아요 0 | URL
정말 수암님께 많은 위로 받으셨으면 합니다...

숨은아이 2005-10-13 23:01   좋아요 0 | URL
음, 동생한테, 이제부터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2005-10-25 04: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秋 夜 一 景

                                                        - 백          석  -



                     닭이  두  홰나  울었는데
                     안방  큰방은  홰즛하니  당등을  하고
                     인간들은  모두  웅성웅성  깨어  있어서들
                     오가리며  석박디를  썰고
                     생강에  파에  청각에  마늘을  다지고


                     시래기를  삶는  훈훈한  방안에는
                     양념  내음새가  싱싱도  하다.


                     밖에는  어디서  물새가  우는데
                     토방에선  햇콩두부가 고요히 숨이  들어  갔다.

 

  분위기가 순 토속이다.  그리고 그 분위기는 글자 그대로 외부 정경 묘사로 돼 있다.  설명은 여기서도 철저히 배재돼 있다.  그래서 그런지 몇 개의 낱말이 별나게 돋 보인다.  "오가리"  "석박디"  "당등"등이다.  그들 하나하나가 독특한 미적 분위기를 빚는다. 낱말이 그대로 시 속에서 독보의 걸음마를 할 수 있다는 적절한 예가 된다. 풀이씨[用言]가 필요 없게 된다. 다음의 시는 그 극단적인 예다.

 

- 김춘수가 가려 뽑은 金春洙 四色詞華集 에서

 


      홰즛하니 :  어둑어둑한 가운데서 호젓한 느낌이 드는
         오가리 :  박이나 호박의살을 길게 오려 말린 것.
         석박디 :  섞박지. 김장할 때 절인 무우와 배추, 오이를 썰어 여러가지 고명에 젓국을 조금
                       쳐서 익힌 김치.

         당등 :  장등(長燈). 밤새도록 등불을 켜고 끄지 않음.
         숨이 들다 :  두부를 만드는 과정에서 간수를 넣었을때 곧 두부가 엉겨드는 현상을 이룸.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돌바람 2005-09-26 23:53   좋아요 0 | URL
크아, 이렇게 끄집어내니 또 운치 있습니다. 천년 전의 시인 포조가 되살아나 한국 땅 토속 언어로 답하였거니...

가을이 오니---이하

오동나무 잎에 부는 바람에 괴로운데
스러진 등불 아래 베짱이는 싸늘한 가을날 우는구나
푸른 대쪽에 쓴 나의 시를 읽어서
좀먹지 않게 해 줄 이 누구인가?
이런 저런 생각에 이 밤 애간장 꼿꼿해지는데
차가운 빗발 사이로 옛 문인의 향혼香魂이 나를 위로하네
가을날 무덤 속에서 귀신이 되어 포조 시를 읊조리면
한 맺힌 피는 천 년 내내 땅속에서 푸르리라

2005-09-26 23:55   좋아요 0 | URL
음..끄덕끄덕..돌바람님 여서도 뵈오니 반갑구만유.

水巖 2005-09-27 00:05   좋아요 0 | URL
와, 돌바람님, 멋진 가을 시이군요. '차가운 빗발 사이로 옛 문인의 향혼香魂이 나를 위로하네' 이 구절 참 좋은데요.
chamna님, 밤이 깊어갑니다. 예전 국민학교 다닐때 그런 노래 있었죠.
- 깊어가는 가을 밤에 .... -

백석 시를 읽을때면 백석 시를 무지 좋아하던 알라디너 한 분이 생각납니다.
모두 안녕들 하겠지만....
 


                               비는  내리는데

                                          - 미도파 부근


                                                                   - 조   병   화 -

 

                        진종일을  비는  내리는데
                        비에  막혀  그대로  어둠이  되는  미도파  앞을  비는  내리는데
                        서울  시민들의  머리  위를  비는  내리는데


                        비에  젖은  그리운  얼굴들이
                        서울의  추녀  아래로  비를 멈추는데
                        진종일을  후줄근히  내  마음은  젖어내리는데


                        넓은  유리창으로  층층이  비는  흘러내리는데
                        아스팔트로  네거리로  빗물이  흘러내리는데
                        그대로  발들을  멈춘  채  밤은  내리는데


                        내  마음  속으로  내  마음  흘러내리는  마음
                        내  마음  밖으로  내  마음  흘러내리는  마음
                        사랑하는  사람을  막고  진종일을  비는  내리는데


                        가난한  방에  가난한  침대위에
                        가난한  시인의  애인아  .......  어두운  창을  닫고
                        쓸쓸한  인생을  그대로  비는  내리는데


                        아무런  기쁨도  없이  하는  일  없이  하루를  보내는데
                        하루가  오고  진종일을  비는  내리는데
                        비에  막혀  미도파  앞에  발을  멈춘  채  내  마음에  밤은  내리는데 

 

                                       - 제6시집-  「 서  울 」 (1957.11.20)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水巖 2005-09-13 23:30   좋아요 0 | URL
어느 해 여름 이 시가 어떤 신문인지 기억엔 없지만 신문에 실린것을 보고 오려 두었었는데 뫃아 두었다가 군대에서 시집을 타이프로 찍고는 쪽지는 버렸었는데.

두심이 2005-09-14 01:34   좋아요 0 | URL
비는 내리는데.. 할아버지 보고파 왔습니다.^^

아..소식이 너무 뜸했지요? 이사하고 나서 짐정리가 정말로 많이 바빴어요.
집을 줄여서 나오다 보니 짐을 버리고 온 것이 꽤 많아요.
속 쓰리고 배아프지만 꾸욱 참았죠.ㅎㅎ

잘 지내시겠죠?
궁금했었어요, 많이요..

이제 곧 추석이라 성묘도 가야하고 음식 장만도 해야하고..
또 당분간은 뵙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아요.

풍성하고 넉넉한 추석되세요~

水巖 2005-09-14 01:50   좋아요 0 | URL
하도 소식이 없어 이사짐속에서 잊어버린줄 알었우. 내컴퓨터가 이상한지 다음에서도 접근이 안되고 무척 궁금했군요.
일은 시작했는지, 친구들하구는 잘 지내는지, 강남쪽으로는 안 나오는지, 전시회는 통 못다녔겠군요. 많이 바쁘더라도 가끔씩은 들려 지낸 이야기라도 하고 가시기를, 이제 명절은 가급적 줄여서 보내야지요. 그 쪽 동네 전시회 있으면 서재에다 알려 둘게요.
 


                        넌 거기서  난 여기서

                                                           - 조   병   화 -


                    너와  나는  지금  편지도  없고
                    전화도  없고  기별도  없는
                    이승과  저승  같은  거리를  두고
                    너는  거기서  나는  여기서
                    나날을  보낸다.


                    가까운지  먼지  알  수  없는
                    아득한  곳에  아롱아롱
                    그저  아직  이승에  머물고  있겠지
                    하는  생각으로


                    캄캄하다는  건
                    보이지  않는다는  거다.

 

                                         제30시집  「외로운  혼자들」에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두심이 2005-08-27 01:35   좋아요 0 | URL
모처럼 일찍 잤는데, 자다가 깼습니다.^^

이 시..참 가슴아픈 시네요.
참 평범한 말들을 시인들이 이렇게 만들어 놓으니 꿈결같은 시가 되네요.

제 방에 데리고 갈께요~

水巖 2010-09-16 04:55   좋아요 0 | URL
누가 무어라고해도 난 이 시인의 시가 좋더군요. 내 중학시절의 S중학교 물리선생님이죠. 내가 떠난뒤 모교의 교수님이기도 하고,
 

 

                                 밤의  詩

                                                          - 김   춘   수 -

왜 저것들은 소리가 없는가
집이며 나무며 山이며 바다며
왜 저것들은
罪 지은 듯 소리가 없는가
바람이 죽고
물소리가 가고
별이 못박힌 뒤에는
나뿐이다 어디를 봐도
廣大無邊한 이 天地間에 숨쉬는 것은
나 혼자뿐이다
나는 목 메인 듯
누를 불러볼 수도 없다
부르면 눈물이
작은 湖水만큼은 쏟아질 것만 같다
-- 이 時間
집과 나무와 山과 바다와 나는
왜 이렇게도 弱하고 가난한가
밤이여
나보다도 외로운 눈을 가진 밤이여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깍두기 2005-08-21 01:09   좋아요 0 | URL
저 이밤에 깨어있는데 수암님 고맙습니다. 저 주신 걸로 알고 퍼가겠습니다^^

水巖 2005-08-21 01:13   좋아요 0 | URL
어제 일민미술관이랑 성곡미술관 안가셨나요?

깍두기 2005-08-21 01:17   좋아요 0 | URL
네, 잘 갔다왔어요, 덕분에요. 그것도 고맙습니다^^
(만화 페스티벌 아주 좋던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