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읽기 / 가난한 책읽기
종이를 보면
종이를 보면 늘 멈춘다. 글종이도 빈종이도 쪽종이도 알림종이도, 내 손에 닿으면 어김없이 책 사이로 스윽, 책살피로 바뀐다. 어릴적에 딱지치기를 되게 즐기긴 했으나, 종이를 딱종이로 접으면 언제나 아까웠다. 그냥 깨끗하고 반듯하게 모으고 싶었다. 하루종이(일력)도 달종이(달력)도 버리기 싫었다. “어머니, 1984년으로 넘어가면 1983년 달력은 역사가 되잖아요. 나중에 1994년에 돌아보거나 2004년에 돌아보면 무척 재미있을 테니, 버리지 말고 하나 남기면 어때요?” “에그, 그러면 집이 쓰레기장 되게? 달력이 뭐가 된다고 모으게?” 어쩐지 ‘과자 담은 자루’도 버리기 싫었다. 구멍가게에서 하나에 80원에 팔던 초코파이를 담은 비닐자루를 깨끗하게 헹궈서 책으로 누르고 펴서 몰래 모았다. 어머니는 내가 모으는 종이에 과자자루를 낱낱이 찾아내어 말끔히 버렸고, 나는 다시 모으고 어머니는 또 샅샅이 찾아내어 버렸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오래된 칸(책장)을 그냥그냥 다 버리려고 했다. 나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버리려던 오래된 칸을 짐차를 불러서 모두 건사했다. “아니, 쓰레기를 왜 돈들여서 가져가려고 해?” “그래도 우리집에서 서른 해를 넘게 함께 지내던 살림이잖아요. 제가 시골로 가져가서 잘 쓸게요.” 아버지와 어머니가 버리려던 칸을 살피니, 나랑 언니가 어릴적(1980년대 첫무렵)에 자주 앓느라 뻔질나게 돌봄터를 드나들며 내밀던 ‘병원 진찰권’이 잔뜩 나왔다.
《결국 다 좋아서 하는 거잖아요》를 읽는다. 이레 앞서 부산에서 장만해서 고흥으로 데려왔고, 엊그제 고흥서 부산을 가는 길에 다시 시외버스에서 읽는데, 부산서 서울로 가는 시외버스에서 마저 읽는다. 등짐에 깃든 책은 그야말로 나라 한 바퀴를 얼결에 같이 돈다.
‘승차권 집계봉투’를 본다. 이 종이를 놓칠 수 없다. “기사님, 이 귀여운 종이를 얻을 수 있을까요? 제가 국어사전 쓰는 사람이라서 하나 얻어서, 자루에 적힌 글결을 살피고 싶어요.” “네? 이 봉투요? 이 봉투를 어데 쓰게요? 쓸데가 있답니까?” “그게, 이 종이에 적힌 말 때문에…….”
아무튼 얻고야 만다. 온누리 모든 말과 글과 책을 이 손길에 담고픈, 책벌레에 글벌레에 말벌레이기까지 한 모습을 새삼스레 느낀다. 종이 한 자락을 얻으려고 말을 거는 이 모습을 다시금 돌아본다. 한때 쑥스럽거나 부끄러워도 된다. 종이를 얻고 싶고, 종이를 건사하고 싶고, 종이에 적힌 뭇말과 뭇글을 헤아리고 싶다.
읽고 읽고 읽는다. 쓰고 쓰고 쓴다. 좋아서 하지는 않는다. 온말에 온씨를 담아서 온사람이 저마다 온꽃으로 피어나는 온길을 그리기에 온하루를 온글씨로 다독인다. 온글에 온숨을 담아서 온이웃이 서로서로 온숲으로 일렁이는 온나무를 그리기에 온곳에서 온노래로 품는다. 2025.10.27.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