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가탐정사무소 1
칸자키 슘미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9.4.

만화책시렁 675


《가가 탐정사무소 1》

 칸자키 슘미

 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03.12.15.



  《가가 탐정사무소 1》를 읽으면서 비슷한 다른 그림꽃이 떠오르기도 하고, 여러모로 그림결이 뒤죽박죽이면서, 억지를 부리려는 줄거리 같구나 싶었습니다. 뒷걸음을 하나둘 읽어 보니, 따로 줄거리를 세우기보다는 ‘바른길(정의구현)’이라는 이름을 앞세워서 얼렁뚱땅 해치우려는 틀로 나아가면서, 흘깃흘깃 응큼그림을 곁들인다고 느꼈습니다. 이 같은 그림꽃이 꽤 됩니다. 숱한 글(문학)도 이런 얼거리로 펴고요. 좋거나 나쁘다고 말할 까닭도 없고, 좋거나 나쁘다고 말한들 부질없는데, 쥐어짜듯 웃기려 하거나, 몰아붙이면서 옳다고 외치려 할 적에는, 그림도 글도 뒤죽박죽이거나 엉터리로 치닫습니다. 더 할 말이 없습니다.


ㅅㄴㄹ


“남의 인생을 뭘로 보는 거야? 대가리에 든 게 없으면, 최소한 …….” (30쪽)


“아무한테나 다 통용된다고 착각하지 마, 쐐꺄!” (91쪽)


+


전 OL인데 무슨 그런 엉터리 추리를?

→ 전 일순이인데 무슨 그런 엉터리를?

7


놈들은 국가권력을 빽으로 삼아

→ 놈들은 나라힘을 등에 업고서

→ 놈들은 벼슬힘을 뒤로 삼아

10


지금 자네한테 은혜를 베푸는 것도 일종의 영업이겠지?

→ 오늘 자네한테 사랑을 베풀어도 장사이겠지?

→ 여기서 자네를 도와도 장삿길이겠지?

125


교수의 성희롱을 견디다 못 해서

→ 길잡이 추레질을 견디다 못 해서

→ 길잡이 밝힘질을 견디다 못 해서

192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일, 휴일 7
신조 케이고 지음, 장혜영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9.4.

책으로 삶읽기 953


《매일 휴일 7》

 신조 케이고

 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7.30.



《매일 휴일 7》(신조 케이고/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을 읽으면, 두 사람과 두 사람이 조금 더 나아가려고 하는 하루를 엿볼 수 있다. 빛나는 하루일는지, 수수한 하루일는지, 늘 어슷비슷한 하루일는지 모른다. 다만 언제나 스스로 내딛으면서 돌아보는 하루이다. 하루가 알차거나 훌륭하더라도 가만히 돌아볼 틈을 내지 못 하면서 마무른다면, 이런 하루하루는 어느새 휙휙 지나간다. 하루가 영 엉성하거나 못마땅하더라도 곰곰이 짚을 틈을 낼 적에는, 이런 하루하루는 차곡차곡 잇는다. 궂으면 싫고 좋으면 반길 적에는 하루가 빛날 수 없다. 궂거나 좋거나 가리지 않고서 우리 하루를 고스란히 돌아볼 적에 비로소 빛난다. 착한일이란 씨앗만 한 크기라고 할 수 있다. 착한일에는 작은일이나 큰일이 없다. 씨앗 한 톨을 묻는 손길을 나누었기에 착한일이다. 즐겁거나 기쁜 하루도 씨앗 한 톨을 심는 매무새라고 할 만하다. 한 걸음씩 모아서 하루걸음이고, 한 발짝씩 디뎌서 오늘살림이다.


ㅅㄴㄹ


‘무슨 일 있냐? 또 시무룩한 얼굴을 하고.’ (28쪽)


‘어쩐지 난, 바쁜 걸 핑계로 단순히 많은 것들에서.’ (93쪽)


“친구가 언제까지나 곁에 있을 순 없어.” (139쪽)


“히로토와 오늘 빙수를 먹으면서, 여름도 나쁘지 않구나 싶더라.” (168쪽)


#ひらやすみ #真造圭伍


명색이 미대생이니까

→ 뭐 그림 배우니까

→ 그래도 그림순이니까

5쪽


난 지금 직장에서 상처받은 하트를 치유하는 중이거든

→ 난 막 일터에서 시달린 마음을 달래거든

→ 난 오늘 일터에서 들볶인 가슴을 보듬거든

29쪽


이번엔 상영도 했으니까 일보 전진이야

→ 오늘은 걸기도 했으니까 한걸음이야

→ 이제 보이기도 했으니까 한발짝이야

10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사라진 말 5 말 2024.9.1.



  말을 잊어가지만, 말을 잊는 줄 모르는 이 나라이다. 말을 잊어가니까 글도 저절로 잊어가게 마련인데, 글만 따로 살릴 수 있다는 듯 너무 시끄럽다. 말부터 말답게 살리는 길로 열어야, 글을 글답게 북돋울 수 있다. ‘문해력’을 아무리 외치거나 떠들거나 가르치려 해본들, 어른도 아이도 글빛을 못 가꾼다. 왜 그럴까? 먼저 ‘말’이란 무엇인지부터 제대로 보고 느끼고 알아야 한다. ‘말’이란 ‘마음’을 담아낸 소리이다. 마음이 있기에 말이 있다. ‘마음’은 삶을 담아내는 그릇이다. 삶이 있기에 마음이 있다. ‘삶’은 살림을 짓는 길에 마주하고 겪고 부대끼는 모든 나날이다. 살림을 지으려는 꿈을 세울 때라야 삶을 맞이한다. ‘살림’은 사랑을 펴려는 생각이 샘솟으면서 스스로 길어올린다. 사랑이 있기에 생각을 하면서 살림을 편다. 사랑이란 ‘사람’으로서 그리고 짓고 펴고 나누는 오직 하나인 뜻이자 길이자 빛이다. 그러니까 ‘사람·사랑·살림·삶·마음’이라는 물줄기를 거쳐서 ‘말’이 태어나고 ‘글’이 나타난다. ‘사람’은 숲이라는 터전을 가꾸고 일구는 숨결이니, 모든 말과 글은 ‘숲’에서 싹튼다고 여길 만하다. 마음소리인 말을 그려내기에 ‘글’인 줄 알아보아야, 차곡차곡 더듬고 짚으면서 ‘마음·삶·살림·사랑·사람·숲’이라는 길을 돌아본다. 그리고 ‘별·넋·빛’이 하나인 줄 깨달을 만하다. 우리는 아이와 어른으로서 나란히 ‘이야기’를 할 때에 말글을 살린다. “이야기 = 잇는 길 = 이으려고 주고받거나 나누거나 오가는 말”이다. 오늘날 어린이는 실컷 뛰놀면서 노래하고 조잘조잘 수다꽃을 피울 틈이 아예 없다시피 하다. 처음부터 말꽃도 말씨도 말빛도 못 자란다. 말을 ‘말’이라고 이를 때부터 눈을 뜬다. ‘언어(言語)’라는 허울을 씌우니 말은 더 갇히고 짓밟힌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사라진 말 4 배우다 2024.8.31.



  누구나 어머니 ‘배’를 포근하면서 아늑한 품으로 삼으면서 천천히 자란다. 몇몇 숨붙이는 암수가 씨만 뿌려서 알을 이루고 태어난다고 여기지만, 암수가 품은 씨앗도 ‘배’에 깃든다. ‘배’라는 곳에서 숨결을 배고, 이렇게 밴 숨결이 밖으로 깨어나고 나면, 이때부터 저마다 ‘배우’는 길로 나선다. 마치 너른 바다를 가르는 ‘배’처럼 나아간다. 갖은 가시밭길이나 자갈길을 거치더라도 속으로 든든히 배우고 받아들이고 삭이면서 반짝이는 슬기로 빛내게 마련이다. 배나무가 맺는 ‘배’라는 열매를 본다. 두툼하고 단단해 보이는 껍질이지만, 속은 더없이 하얗고 밝고 맑으면서 시원한데다가 달다. 우리가 어버이 품에서 태어나고 자라는 길이란, 늘 새롭게 배우면서 바다 같고 바람 같은 숨빛을 맞아들이는 나날이라고 느낀다. 그런데 어쩐지 요사이는 ‘배우’는 사람이 드물다. 일본말씨로 ‘공부(工夫)’를 할 뿐이요, ‘학습(學習)·학업(學業)·학문(學問)’이라고들 한다. 배워야 배게(배어들게) 마련이고, 배운 여러 살림을 차근차근 가다듬고 추스르고 다듬고 손보면서 ‘익히’ 수 있다. 여러 밥살림을 익히듯, 배움거리도 익힐 적에 비로소 어질게 스며서 슬기라는 빛으로 거듭난다. 배울 줄 알기에 가르치고, 가르치다 보면 새삼스레 배운다. 어른이라면 아이를 가르치면서 아이한테서 배운다. 아이라면 어른한테서 배우는 사이에 저절로 가르친다. 아이어른은 서로 가르치고 배우면서 살림길을 익힌다. 어우러지는 ‘가배(가르치다·배우다)’를 이루기에 하루를 일구면서 새빛을 익힌다. 셈겨룸(숫자전쟁·입시지옥)에 사로잡히는 굴레는 배움길하고 멀기에 익힘살림하고도 멀다. ‘배우다 = 배도록 하다 = 버릇 = 겉’이다. ‘익히다 = 익도록 하다 = 일 = 살림’이다. 한 걸음씩 내딛고 모든 하루를 돌아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4.9.1. 삶장난 말장난 글장난



  꽤 이름있다는 어느 분이 쓴 글을 읽었다. 그분은 “삶은 어떠어떠해야 한다. 나는 무엇이 되어야 한다고 만들어낼 필요가 없습니다.”처럼 앞말을 하고서 “현재의 나로 있어 보면 알게 됩니다.”처럼 뒷말을 하는데, 그저 두동지다. 이른바 ‘모순’이다. “내가 나로서 여기에 있기”란, “내가 스스로 무엇이 되려고 하는가를 생각하기”일 텐데, 마치 둘이 다르거나 틀린 길인 듯 말을 한다면, 이웃(독자)을 속이는 허울이로구나 싶다.


  더욱이 그분은 “쉬우면서도 드문 일이고, 드물지만 쉬운 일입니다.” 같은 말도 보태는데, 이 대목도 허울스럽다. 왜 그러한가 하면, ‘삶’이란, 언제나 우리가 스스로 모두 겪고 스치고 마주하고 누리고 찾고 헤매면서 ‘어떠어떠하게’ “스스로 지어가는 나날”이다.


  우리는 먼저, “삶은 어떠해야 할까?” 하고 길(목표·목적)을 세울 노릇이다. 다음으로, “나는 무엇(어떤 사람)으로 서야 할까?”를 생각할 노릇이다. 그리고 “나는 오늘 무엇을 하면서 삶이라는 길을 걷는가?”를 짚고 새기고 돌아볼 노릇이다. 이렇게 석걸음을 내딛을 적에 “내 넋이 입은 옷인 몸으로 이 별에서 어떤 하루를 짓는 나다운 사람이자 삶이자 살림이자 사랑으로 나아가는 숲”인지 비로소 바라볼 수 있다.


  내가 스스로 무엇(어떤 사람·숨결·넋)으로 서는 오늘인지 그리지 않는다면, 나는 늘 헤맬 뿐 아니라, 남이 하는 말에 휩쓸리거나 끄달린다. 나는 바로 ‘나짓기’부터 할 일이다. 다만, ‘나짓기’를 해야 할 뿐, ‘나를 만들기’를 하지는 않을 일이다. 왜냐하면 ‘만들기 = 똑같이 찍어내기’이니, “나를 남하고 똑같은 모습으로 찍어내듯 ‘만들기’를 해버리는 굴레질”이 아닌, 나를 나로서 내가 스스로 바라보면서 꿈을 그리고 사랑을 펴는 ‘나짓기’로 나설 일이다.


  글 한 줄로 글장난을 치는 이들이 부쩍 늘었다. 말 한 마디로 말장난을 하면서 돈과 이름과 힘을 쥐는 이도 꽤 늘었다. 글장난과 말장난으로 거드름을 피우는 무리는 그들 스스로 삶장난을 치는 셈이다. 얼핏 보면 그들은 떵떵거릴 뿐 아니라, 서울에서 50억이니 100억이니 200억이니 하는 맞돈(현금)을 척척 내면서 큰채를 장만하곤 하는데, 이만 한 돈으로 들숲메를 장만해서 들빛과 숲빛과 멧빛으로 고즈넉이 물들려고 하는 이는 아직 찾아볼 수 없다.


  장난질이 아닌 삶짓기를 그리는 이라면, 200억이 아닌 10억이나 1억을 벌었어도 진작에 서울을 떠나서 시골에서 조용히 ‘보금숲(보금자리 + 숲)’을 짓겠지. 글쓰기와 말하기로 돈을 잘 벌고 이름을 날리는 이들 가운데 아직도 서울에 눌러앉기만 한다면, 이들은 하나같이 장난꾼일 뿐이다. 푸른길(환경운동)을 편다면서 정작 시골살림을 안 짓고 서울살이만 한다면, 말과 삶이란 늘 엇갈리면서 장난질에서 쳇바퀴를 치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