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직업 2023.7.21.



바람이 일지 않는 날은

숨죽인 채 시든다

바람이 일어나는 날은

숨돌리며 살랑인다


바다가 일지 않는 곳은

구름이 없이 마른다

바다가 일렁이는 곳은

비구름 생겨 씻는다


가볍게 거들거나

심부름 맡더라도

스스로 나설 때라야

일손으로 여겨


삶을 일궈서 일이야

살림을 이뤄 일이지

사랑을 이야기하는 일이고

사람 사이를 잇는 일이다


ㅅㄴㄹ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는 따로 없는 ‘직업(職業)’일 텐데, 이 한자말은 “집안을 꾸리며 먹고살려고 돈을 버는 일”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배움터를 다니는 사람은 따로 ‘돈벌이’를 안 하게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살림이 안 넉넉하기에 짬을 내어 돈벌이를 할 수 있어요. 이른바 ‘곁일·짬일·틈새일·틈일·사잇일(아르바이트·알바)’이라고 하겠지요. ‘직업 = 돈벌이’인 터라, 집안일을 도맡는 사람은 마치 “직업이 없다”고 여겨 왔습니다. 한집안을 이루는 사람 가운데 집에서 살림을 꾸리는 쪽한테는 갖가지 일손을 맡기면서, 돈하고 멀 뿐 아니라 실업자(직업이 없는 사람)으로 삼기 일쑤였는데, 밥하고 빨래하고 치우고 아기를 돌보는 일을 남한테 맡기려면 돈을 꽤 치러야 합니다. 여러 학원도 “집에서 가르칠 수 있는 일을 집에서 안 가르치고 남한테 맡기기”에 목돈이 들어갑니다. 가만히 보면 수수하게 ‘일’을 하는 사람은 돈하고 멀 수 있습니다. 아니, 우리말 ‘일’은 스스로 물결을 일으키듯 즐겁게 맡는 길을 가리키면서, 돈을 버는 길도 나란히 가리켜요. 벌잇감 못지않게 일자리와 살림부터 챙길 적에 하루가 빛납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괜찮다(공연찮다) 2023.7.24.



‘나쁘지 않다’면

‘좋다’기보다는 ‘좀 나쁘다’야

‘좋지 않다’면

‘나쁘다’기보다는 ‘조금만 좋다’야


걱정하지 않기보다는

오늘 걸을 길을 본다

근심씻기 안 나쁘지만

같이 지을 꿈을 본다


그럭저럭 해도 안 나쁘겠지

썩 볼 만할 수 있겠지

그런데

네 마음은 어디에 있니?


내가 하려는 뜻을 돌아본다

네가 가는 까닭을 곱씹는다

서로 만나는 일을 생각한다

즐겁게 빚을 이야기 그린다


ㅅㄴㄹ


흔히 쓰는 ‘괜찮다’는 ‘공연하지 않다’를 줄인 말씨입니다. ‘공연하다(空然-)’는 “아무 까닭이나 실속이 없다”를 뜻합니다. ‘괜찮다·공연찮다·공연하지 않다’는 “그다지 나쁘지 않다”나 “그럭저럭 걱정할 일이 없다”를 가리킨다고 하겠습니다. 곰곰이 보면, 나쁘지 않으니 “나쁘지 않다”일 테고, 이는 “썩 좋다고 하기 어렵다”를 나타내는 셈입니다. 마음을 담는 말인데, ‘괜찮다’는 여러모로 돌리는 결입니다. 마음에 안 들지만, 마음에 안 든다는 티를 덜 내면서 “나쁘지는 않아” 하고 가볍게 손사래를 치고 싶은 결입니다. 그럭저럭 할 만한 일이란, 그다지 안 하고 싶지만, 해도 아주 나쁘지는 않으니까, 좀 참거나 견디면서 한다는 뜻입니다. 썩 할 만하지 않을 적에 억지로 참으면 오히려 덧나기 쉽습니다. “썩 할 만한” 일이 아닌, “할 만한” 일을 찾아야겠지요. 바로바로 드러내기가 수월하지 않은 자리라서 자꾸자꾸 참다 보면 차츰차츰 고단하고 지칩니다. 마음을 느긋이 두면서 즐겁게 나아갈 길을 찾아야지 싶습니다. 마음을 환하게 밝히면서 기쁘게 할 일을 품어야지 싶어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쌓아서 2022.11.9.물.



피어나기에 지고, 지기에 피어나지. 일어나기에 앉거나 눕거나 가라앉아서 쉬고, 이윽고 새로 일어서서 활짝 피어나고. 봄은 여름을 어서 오라 부르고, 여름은 가을더러 얼른 오라 부르고, 가을은 겨울한테 곧 오라 부르고, 겨울은 봄을 가만히 오라 부르지. 쌓으면 짐이고, 짐이면 무거워. 나무 곁에 가랑잎이 그렇게 쌓이더라도 모두 몸을 내려놓고서 땅한테 스며드는 새흙으로 거듭나. 새흙은 나무 곁에서 포근히 자다가 풀한테 깃들어 풀잎으로 태어나기도 하고, 나무한테 찾아가 잎·꽃·열매·씨앗으로 거듭나기도 해. 이 풀잎·꽃·열매를 너희가 몸으로 받아들이면서 “아! 풀꽃나무랑 흙이랑 숲이랑 땅이랑 비랑 바람이랑 바다랑 하늘이랑 햇빛이랑 별빛이 이와 같구나!” 하고 느끼곤 해. ‘몸으로 받아들인다’고 할 적에는 ‘밥으로 먹기’만 가리키지 않아. 눈으로 보고 코로 맡고 귀로 듣고 손으로 만지고 살갗으로 느껴도 네 온몸으로 고루 받아들인단다. 그리고 뚝딱터(공장)에서 찍어내는 것을 밥으로 삼거나, 쇳덩이(자동차·기차·배·비행기)에 몸을 실을 적에는 이 ‘공산품’이나 ‘쇳덩이’가 나오기까지 거친 모든 길을 너희 온몸으로 보고 느끼고 읽지. 그래서 공산품이나 쇳덩이나 잿집(아파트)에서 오래 머물거나 내내 깃든다면, 너희 눈코귀입에 살갗에 마음은 풀꽃나무·들숲바다·해바람비를 아주 잊거나 등지고 말아. 바람빛도 햇빛도 별빛도 너희 몸에 쌓이다가 녹아들어. 잿빛도 죽음빛도 먼지빛도 너희 몸에 쌓이다가 고스란히 스며들지. 그래서 늘 생각을 하고 하늘을 볼 노릇이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모은 마음 2022.11.8.불.



구름이 보기에 고개나 멧등성이는 하나도 안 높아. 높다랗게 솟은 땅이라서 구름이 걸릴까? 아니란다. 너희 마음이 구름을 당기거나 밀어서 비를 누리거나 가뭄을 누리지. 너는 햇빛을 누리려는 마음이니? 너는 별빛을 반기려는 마음이니? 너희는 ‘망원경’, 이 가운데 ‘천체망원경’이 있어야 별을 본다고 여기더구나. 그렇지만 이런 것은 겉(허울·껍데기)만 볼 뿐이야. 너희 사람이 ‘단백질덩이’니? 너희 사람은 ‘물질(몸뚱이)’이니? 아니지 않아? 모든 새·지렁이·나비·벌레는 다 달라. 너희는 모든 다른 새한테 다르게 이름을 붙이니? 모든 다른 풀꽃나무한테 저마다 새롭게 이름을 붙일 수 있어? 똑같은 보람(효과·결과)은 없어. 너희가 모으는 마음에 맞추어 늘 새롭거나 다르단다. 걱정하는 마음을 모으니 시커먼 일이 잇달아. 미워하는 마음을 모으니 치고받고 피흘려. 속이는 마음을 모으니 거짓말에 눈가림이 물결쳐. 부러운 마음을 모으니 스스로 짓고 가꾸는 삶이 사라져. 싫어하는 마음을 모으니 온통 잿더미로 바꾸네. 너는 자꾸 이런 마음을 모으겠니? 꿈을 그리며 고치에서 잠든 끝에 날개를 눈부시게 달고 거듭나는 나비를 바라보고, 너도 나비가 되어 날아오를 마음을 모으겠니? 좋거나 나쁘다고 가르는 마음을 모으니 서로 등지고 따돌리고 놀리고 괴롭힌단다. 오롯이 사랑이라는 마음을 모으니 푸르게 피어나고 곱게 샘솟는 이야기꽃을 누린단다. 오늘부터 모으면 돼. 이제부터 모으면 넉넉해. 앞으로 모으면서 저 별님한테 나누어 주고, 이 들풀한테 나누어 주고, 네 몫으로 하나를 누리면 즐겁지. 한 걸음씩 모으면서 모든 걸음자리마다 노래씨를 심으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보이지 않는 곳 2022.11.7.달.



‘보는눈’이 있지 않으면, 철 따라 다르고 달마다 다르며 나날이 다른 숲을 못 느끼겠지. ‘보는눈’이 있으면, 철·달·날에 맞춰 새로 흐르는 바람을 느끼겠지. ‘보는눈’이란 그저 다 보거나 둘레를 받아들이는 눈이 아니야. ‘보는눈’은 “보려는 모습을 먼저 마음에 그려 놓고서 이 모습으로 이루어 가는 길을 보는 눈”이지. 그런데 너희는 예나 이제나 어제나 오늘이나 엇비슷하거나 똑같은 모습을 보곤 하지. ‘볼 모습’을 먼저 안 그린 탓이고, 네 둘레를 사랑으로 마주하면서 달래기보다 “내 둘레는 언제나 똑같아” 하고 마음에 그린 탓이야. 무엇이든 흘러가는 대로 ‘구경하려는’ 마음일 적에는 “멍하니 꽁무니를 좇는 모습”만 보게 마련이지. “생각도 마음도 없이 홀리듯 쳐다보는 눈”이 아닌, “생각도 마음도 스스로 그려서 둘레를 포근하고 아늑하게 달래는 눈”으로 피어나기를 바라. 네가 마음에 그리려 하면, 네가 보는 곳이 바뀌고, 네 눈길이 닿지 않는 곳도 어느새 바뀐단다. 네가 마음에 안 그리는 채 아침을 맞거나 바깥을 돌아다닌다면, 넌 그저 휩쓸리거나 어지러이 하루를 치르겠지. 빗물이 시원스레 씻어 주기를 바라면, 하늘을 바라보면서 “빗물이 촉촉히 들며 싱그러운 들숲바다에 마당에 마을” 모습을 마음에 그리렴. 추위도 네가 그리는 대로 오고, 더위도 네가 그리는 만큼 와. 네가 마음으로 보는 곳은 어디야? 네가 마음을 열지 않은 채 멀거니 쳐다보는 곳은 어디야? 너희 눈길은 네 마음이 나아갈 빛길이란다. 눈을 들어 무엇을 보려 하든, 마음부터 넉넉히 그리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