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추운 날 2024.4.10.물.



“추운 날”이나 “더운 날”이나 “시원한 날”이나 “따뜻한 날”은 따로 없어. “흐르는 철”에 따라서 해바람이 다를 뿐이야. 해바람이 다르게 흐르는 길을 읽고 느끼면서 스스로 몸을 챙기고 차리고 맞추어서 지내면 돼. 살갗으로 스미는 해바람이 넉넉한지 모자란지 살피면서, 옷가지나 이불을 어떻게 추스르고, 집안을 어떻게 틔우거나 덥힐는지 헤아려야겠지. 너는 네 하루를 살아내게 마련이니, 네 살결을 살펴서 움직이면 돼. 남들이 무엇을 입거나 벗거나 챙기든, 네 알 바 아니지. 게다가 날씨는 네 마음을 따라서 움직이니까, 네가 어떤 마음인지부터 제대로 알 노릇이야. 한 사람이 바꾸는 날씨이기도 하고, 여러 사람이 바꾸기도 하는 날씨야. 고이 흐르는 날씨이기도 하지만, 끝없이 춤추는 날씨이기도 하단다. 넌 하늘을 어떤 눈으로 보니? 넌 바람을 어떤 몸짓으로 맞이하니? 넌 해와 별을 어떤 마음으로 그리니? 모두 네가 나아가는 그대로 흐른단다. 매캐한 하늘도, 뿌연 하늘도, 세찬 바람도, 싱그러운 비도, 맑게 트는 하늘도, 쏟아지는 별도, 늘 네 마음을 고스란히 담아. 안개가 들려주는 말을 들으렴. 벼락이 터지는 소리를 들어 봐. 꽃잎도 나뭇잎도 늘 너한테 이야기를 새롭게 들려준단다. 몸이 안 좋아서 추울까? 아니야. “추위를 머금으면서 살아날 빛”을 누려야 하니까 춥단다. “더위를 마시면서 살아날 빛”을 누려야 하니까 더워. 추위는 춥게 머금고, 더위는 덥게 마시면서, 몸이 깨어나고 마음이 살아. 기쁘게 맞아들여서 녹여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제비집 2024.4.9.불.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를 놓는 집이야. 혼자 살거나 여럿이 살거나, 살림살이를 놓고, 태어나서 자라는 아기와 지내고, 이어가려는 꿈을 담고, 일구고 가꾸는 모든 일감을 두는 집이야. 하늘을 훨훨 날며 바람을 마시는 새는, 새끼(아기)를 낳아 돌보려고 집을 지어. 혼자 지낼 적에는 굳이 집(둥지)을 틀지 않고서, 나뭇가지에 앉거나 풀숲에 깃들거나, 굴이나 구멍에 들어가서 조용히 단잠을 누려. 새가 집을 짓는다면, 이제 새롭게 삶을 이어서 푸르게 펼 길을 바라본다는 뜻이야. 곁에 새집이 있으면, “아기를 낳아 돌보는 사랑”을 배울 수 있고, 새벽을 열고서 밤에 이르기까지 스스로 펴는 노래를 배울 수 있어. “살림을 노래하며 짓는 하루”를 온몸으로 선보이는 새이거든. 그런데 적잖은 사람들은 자꾸 새집을 허무는구나. 아예 새가 못 깃들 만큼 찻길·아파트를 늘리고, 군대와 전쟁무기를 늘리네. 하늘을 누비는 새가 다니는 길을 쇳덩이로 가르면서 가로막기도 하고. 땅에서도 숲짐승이 깃들거나 다닐 곳을 온통 사람들이 차지하고. 아무래도 “새가 사라진 별”이 어떻게 뒹구는가를 모르는 탓이겠지. 벌이 사라져도 사람나라는 무너지고, 나비가 사라져도 사람나라는 무너져. 새나 개미나 파리가 사라져도 사람나라는 그저 무너지지. 그래서 숱한 벌레와 새와 짐승과 헤엄이는 더 애써서 살아가려고 한단다. 제비집은 사람으로서는 고작 주먹 크기이거나 이보다 조금 커. 제비집이 있는 마을과, 제비집이 몽땅 사라진 마을을 견주어 보렴. 제비가 찾아올 수 있는 곳이기에 사람은 아기를 낳고서 삶을 이을 만하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2024.4.20.


믿고 거르는 번역가 : 나한테는 “믿고 거르는 번역가”가 대단히 많다. 낱말책을 쓰는 사람은 ‘한글책’은 웬만하면 거의 몽땅 읽어내려고 해야 하는데, ‘국내창작’뿐 아니라 ‘외국번역’도 나란히 살필 노릇이다. 1992년부터 두 갈래 한글책을 읽어 오며 느낀 바를 갈무리할 수 있다. “믿고 거르는 번역가”란, “이분은 또 엉터리로 옮겼구나 하고 처음부터 ‘믿는(?)’다는 뜻”인데, 네 가지를 들어 보겠다. 


㉠ ‘글쓴이 글빛’이 없고 ‘옮긴이 글버릇’만 있다 : 글을 쓴 사람은 모두 다른데, 다 다른 사람이 쓴 다 다른 글이 아니라, 어느 옮긴이가 적은 글결만 춤추니, 이런 글은 ‘옮김(번역)’이라고 말하기에 참 창피하다. 


㉡ ‘우리말’을 모른다 : 어찌 된 일인지, 우리나라에서 ‘번역가·통역가’라는 이름으로 돈을 버는 분들치고, 우리말을 꾸준히 새롭게 갈고닦거나 익히거나 배우는 분을 찾아보기 어렵다. 우리말을 모르는 깜냥으로 어떻게 ‘이웃글을 우리글로’ 옮기는가? 수수께끼이다. 이웃말을 아무리 잘 할 줄 알더라도 우리말을 엉터리로 쓴다면, 한 마디조차 제대로 못 옮기거나 틀리게 옮기거나 잘못 옮기기 일쑤이다. 


㉢ 이웃나라·우리나라 살림(문화)을 모른다 : ‘옮기다’란, 저곳에 있는 길과 삶을 이곳에 오도록 잇는 일이다. ‘오’도록 이으려면 ‘온(모든)마음’으로 마주하면서 받아들일 줄 알 노릇이다. 이웃나라 사람들이 어떻게 하루를 누리고 살면서 살림길을 이었는지 헤아리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어떻게 하루를 짓고 사랑하면서 살림길을 이었는지 함께 짚을 적에 비로소 ‘옮길(번역·통역)’ 수 있다. 이웃나라 살림(문화)을 익히려는 품을 들이듯, 우리나라 살림을 익히려는 품을 깊고 넓게 들여야 한다. 두 나라 살림을 모르고서 어떻게 말을 옮기나? 두 나라 살림은 모르는 채 ‘이웃말’만 좀 할 줄 안대서 덥석 옮김님 노릇으로 밥벌이를 하는 분이 지나치게 넘친다.


㉣ 삶·살림(일상생활)을 모른다 : ‘글’은 ‘말’을 담은 그림이다. ‘말’은 ‘마음’을 담은 소리이다. ‘마음’은 삶을 새긴 자국이다. ‘삶’은 우리가 스스로 누리거나 보내거나 지내거나 맞이한 하루이다. 모든 말은 삶을 나타내게 마련이니, “말을 알고 싶다”는 뜻이라면, “마음에 담는 삶부터 알고 싶다”는 길을 걸을 노릇이요, 삶과 살림과 사랑과 사람과 숲부터 배우고 익히고 삭여서 알아보고서야, 비로소 말과 글을 다루는 일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옮김님(번역가)’은 ‘살림짓기’하고 너무 동떨어진 채 ‘바쁘게 일(번역작업)에 매달’리더라. 아기한테 천기저귀를 대면서 돌보고 먹여살린 적이 없다면 ‘기저귀’나 ‘아기’라는 낱말을 제대로 풀이하지 못 한다. 죽어라 글만 들여다보는 눈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2024.4.20.


슬럼프 작가 : 둘레에서 나한테 묻는 말을 곱씹노라면 온통 배울거리이다. 이 가운데 하나는 “안 추우셔요?”인데, “마음이 추우면 춥고, 마음이 따뜻하면 따듯합니다.” 하고 대꾸한다. 참말이다. 거짓말일 수 없다. 누구나 스스로 마음을 따뜻하게 다스리면 추울 수 없을 뿐 아니라, ‘추위’가 왜 우리 곁에 있는지 마음빛을 밝혀서 깨달을 만하다. 나는 으레 등짐을 영차 어깨에 얹고서 오래오래 걷는다. 그래서 둘레에서는 또 “안 무거우셔요? 안 힘들어요?” 하고 묻는다. 언제나처럼 빙긋 웃고서 “왜 스스로 몸한테 ‘난 힘들어’ 하는 말을 굳이 욱여넣으려고 하나요? 등짐이 무게로 얼마쯤일까 하고 헤아리기는 하지만, ‘무겁다’거나 ‘힘들다’고 여긴 날은 하루조차 없습니다. 그저 스스로 짊어지고서 걸어가자고 여기기에, 이렇게 짊어지고 걸으면서 즐겁게 살아갑니다.” 하고 속삭인다. 이리하여 적잖은 분들은 새삼 묻는다. “슬럼프 없어요? 어떻게 날마다 그렇게 글을 쓸 수 있어요?” “왜 ‘수렁(슬럼프)’에 잠겨야 하나요? 아기를 낳아서 돌볼 적에 ‘이 아이 못 돌보겠어!’ 하고 내팽개치는 일은 하루는커녕 눈꼽만큼도 있을 턱이 없어요. ‘이 사랑스러운 아이하고 언제나 신나게 노래하고 춤추어야지!’ 하는 마음만 있어요. 그래서 날마다 ‘쓸 글’을 쓸 뿐이고, 짬이 더 없으면 그만 쓰고서 집안일을 하고, 집살림을 하고, 아이들하고 얘기하거나 놀고, 저잣마실을 다녀오고, 바깥일을 보고, 풀꽃나무랑 얘기하고, 새가 베푸는 노래를 듣고, 풀벌레하고 개구리가 벌이는 노래잔치에 귀를 기울여요. ‘슬럼프 작가’란 거짓말일 뿐 아니라, ‘글을 쓰는 사람이 슬럼프가 있다’고 한다면, 그분은 여태까지 ‘글쓰기 아닌 글시늉’으로 사람들을 속였다는 뜻이라고 느껴요. 아이를 돌보다가 먼저 까무룩 곯아떨어지기도 했는데, 아이들은 저희끼리 신나게 놀고서 ‘곯아떨어진 아버지 곁’으로 와서 잘 자더군요. 우리가 스스로 하루를 그리고 꿈을 그리고 사랑을 그리면, 누구나 날마다 실컷 글을 쓸 수 있을 뿐 아니라, 살림을 아름답게 여기고, 온하루를 반짝반짝 빛내게 마련입니다.” 글을 한창 쓰다가 못 쓴다고 하는 분이 있다면, 글에 앞서 스스로 삶그림을 마음에 안 담았다는 뜻이라고 느낀다. 또는 글살림 아닌 집살림을 오롯이 품으면서 고즈넉하게 사랑씨앗을 심을 수 있으리라. 2024.4.20.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2024.4.20.


홍세화 똘레랑스 : 1999년 5월에, 홍세화 님이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라는 책을 냈다고 〈한겨레〉에 알림글이 떴고, 홍세화 님이 한창 〈한겨레〉에 글을 실었기에 꼬박꼬박 챙겨 읽었고 책도 사읽었다. 그무렵 나는 서울 이문동에서 ‘나름이(신문배달노동자)’로 일했다. 신문사 지국장님은 어느 날 나를 부른다. “야, 너 홍세화 좋아하냐?” “네? 글쎄요. 논설위원 김종철 님이라면 모르지만, 홍세화 씨 글은 영 시답잖은데요.” “그런데 왜 그 사람 책은 사서 읽냐?” “우리가 일하는 〈한겨레〉에 글을 쓰니까 읽어 봤지요.” “뭐야? 안 좋아해? 그럼 취소할까?” “뭘요?” “아니, 네가 좋아할 듯해서 자리를 너한테 주려고.” “무슨 자리요?” “한겨레신문 주주를 위한 강연회에 홍세화 씨가 나오는데, 나는 못 가는데, 내 자리를 너한테 주려고.” “음…….” “가 봐. 좋은 공부가 될 거야.” 신문사 지국장님 얘기를 듣고서 열흘 즈음 생각에 잠기면서 새벽마다 새뜸을 돌렸다. 그 자리에 가는 사람 가운데 ‘고졸’이기도 하고 ‘한겨레신문 배달노동자’라는 이름도 있어서, 나는 홍세화 씨한테 궁금한 말을 물어볼 수 있다고 했기에, 내가 그분한테 뭘 물어볼 수 있는 쪽틈인 1∼2분 사이에 무엇을 물어보고 따질까 하고 온갖 말을 추스르고 가다듬었다. 그리고 ‘홍세화 특별강의’가 있는 그날, 서울 공덕동 〈한겨레〉 일터로 갔고, 얼추 두 시간에 이르는 ‘혼말(혼자 들려주는 말)’을 꾹꾹 참아내듯 듣고서 홍세화 씨한테 물어보았다. “저는 이문동에서 〈한겨레〉를 돌리는 딸배입니다. ‘딸배’란 ‘신문배달부’를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홍세화 씨는 프랑스에서 ‘택시운전사’라고 하셨지만, 홍세화 씨가 쓴 글과 책을 읽어 보기로는 도무지 ‘택시운전사’ 같지 않고, 너무 배운 티가 나는 지식인하고 똑같습니다. 제가 일하는 한겨레 신문지국뿐 아니라 다른 한겨레 신문지국에서 일하는 딸배도 대학생이나 대학교·대학원을 마친 사람이 많고, 한겨레 딸배는 〈한겨레〉를 꼬박꼬박 챙겨 읽습니다. 그렇지만 다른 신문, 이를테면 ㅈㅈㄷ 딸배는 거의 고졸이나 중졸이나 무학자이고, 그분들은 ㅈㅈㄷ을 돌려도 신문을 아예 안 읽다시피 하고, 못 읽습니다. 그분들은 스포츠신문만 읽습니다. ㅈㅈㄷ을 돌리는 딸배이지만 막상 ㅈㅈㄷ이 무슨 목소리를 내는지 모릅니다. 제가 여쭙고 싶은 말이란, 홍세화 님이 ‘똘레랑스 똘레랑스’ 하시는데, 한겨레 딸배나 독자는 알아들을지라도 ㅈㅈㄷ 딸배를 비롯해서 다른 이웃은 못 알아들을 말입니다. 홍세화 님이 쓰는 글이 대단히 먹물스럽습니다. 왜 이렇게 글을 어렵게 쓰십니까? 중·고등학교만 마친 사람도 우리 삶터를 읽어낼 수 있는 줄거리를 담아서 쉽게 쓰셔야 하지 않습니까? 택시노동자였다면 택시노동자로서, 또 〈한겨레〉에 글을 쓰신다면,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말을 가려서 써야 하지 않습니까? 여기는 프랑스도 아닌 한국인데 왜 프랑스말을 씁니까? 적어도 한자말로는 ‘관용’이고, 우리말로는 ‘너그럽다’인데, 우리말 ‘너그럽다’를 쓸 생각은 없습니까?” 아마 1분 30초를 들여서 이 말을 쏜살처럼 얼른 외웠는데, 홍세화 씨는 ‘똘레랑스’는 ‘좋은 뜻으로 하는 말’이고, ‘우리가 배울 프랑스 문화’라는 대꾸로 어영부영 마쳤다. 너무 어이없어서 얼굴이 화끈했고, 서울 이문동 신문사 지국으로 돌아온 저녁에도 그저 씩씩거렸다. 신문사 지국장님이 묻는다. “야, 너 왜 그래? 뭔 일 있어?” “아뇨. 앞으로는 홍세화 씨 글은 못 읽겠어요.” “왜?” “그분은 우리 옆이 아니라 저 하늘 높이 계시더군요.” 이날 홍세화 특별강의 자리에 다녀온 이야기를 신문사 지국장님한테 들려주었다. “그래? 그랬냐? 허, 그러냐? 그렇구나. 사람은 글만 보고 판단하면 안 되겠구나. 미안하다. 괜히 너한테 거기 가라고 했구나.” “아닙니다. 저한테 그 자리에 가라고 해주셨기 때문에, 글만 읽어서는 몰랐을 속모습을 보았습니다. 오히려 엄청나게 배웠습니다. 글을 어떻게 써야 하고, 말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오늘 아주 눈물겹게 배웠습니다. 고맙습니다.”


+


흙으로 돌아간 홍세화 님이 고이 쉬시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흙이라는 품에 안기는 넋은, 풀벌레랑 이웃하면서 나무랑 속삭이는 푸른말과 숲말로 하루를 노래하시기를 바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