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코머거리 2023.12.15.쇠.



코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기가 어려울 적에는 냄새를 맡을 겨를이 없어. 코숨을 누릴 수 있을 때부터 냄새를 받아들이고 보고 느껴서 안단다. 귀가 아프다면 새노래·벌레노래·개구리노래·바람노래를 누릴 겨를이 없어. 눈이 아프다면 빛·빛깔·빛살을 즐길 겨를이 없고. 그런데 코나 귀나 눈이 아플 적에는 다른 곳을 느낀단다. 코머거리이기에 코앓이가 없는 사람은 못 겪고 못 보는 곳을 바라보고 알아본단다. 귀머거리이기에 귀앓이가 없는 사람은 못 겪고 못 보는 곳을 마주하고 맞아들인단다. 장님이기에 장님 아닌 사람은 못 겪고 못 보는 곳을 받아들이고 알아가지. 몸으로 바람을 담아야 살아서 움직여. 마음으로 생각을 심어야 사랑하면서 살아가. 그런데 코가 먹느라 바람길이 자꾸 막히거나 걸린다면 몸이 어떨까? 아프거나 앓겠지. 아프거나 앓으면 다른 사람들처럼 움직이거나 살 수 없어. 그래서 다른 누구도 알 길이 없는 너머를 보고서 배운단다. 장님을 그려 보겠니? 너희는 ‘눈’으로만 본다고 여기기 일쑤인데, 손가락도 머리카락도 둘레를 봐. 살갗도 다리도 둘레를 봐. 무엇보다도 ‘넋’이라는 빛은 ‘눈을 감아야’ 본단다. 너희는 안 아픈 코로 숨을 실컷 마실는지 모르지만, 막상 ‘바람’이 어떻게 숨을 이루고 몸을 움직이는지 통 못 알아채거나 모를 수 있어. 너희는 장님이 아니라서 눈으로 그림도 빛깔도 글도 잔뜩 볼는지 모르지만, 껍데기로 감싹 속내가 어떤 빛이고 마음인지 영 못 알아보거나 잘못 볼 수 있어. 책에 적힌 글씨를 어떻게 읽니? 소리로 퍼지는 말을 어떻게 듣니? 겉훑기를 끝내렴. 속보기를 하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미쳐가는 2023.12.14.나무.



닿고 싶으나 닿지 않으니 ‘미쳐’간다고 해. 닿고 싶은 마음이 자라다가 닳고 말아서 펑 터지기에 ‘미친다’고 여길 만해. 어느 곳 하나만 바라보려는 마음이기도 할 테고, 어느 곳 하나부터 매듭을 짓고 싶으니 ‘미치는’ 길이겠지. 꼭 어느 하나를 이루거나 일구어야 한다고 여기면 갑갑할 수 있어. 너는 “열매를 이루려”는 뜻이 아닌, “꿈씨앗을 심고서 살아가는 길을 걸어가려”고 오늘 여기에 있거든. 그러니까 열매에 매달리거나 터질 수 있고, 열매가 없다고 여겨 스스로 터지기도 해. 열매를 얻자는 길이 아닌, 해바람비를 두루 품는 길을 스스럼없이 걷다가 시나브로 열매가 된단다. 열매만 쳐다보기에 미쳐가고, 삶이라는 길에서 살림을 하기에 ‘닿는·미치는·잇는’ 하루를 누려. 열매라는 길이 ‘끝’이라고 여긴다면, 열매가 나올 적에 끝날 테지. 길을 여는 하루를 살면, ‘꽃’을 피우면서 가만히 시들고 씨앗을 남기고서, 새로 거듭나는 몸으로 이어가. 열매를 얻고서 끝이라면 미쳐가겠지? 넋이 나가버려. 열매가 아닌 ‘삶길’을 바라보며 걸어가니, 끝이 처음이요 꽃이 씨앗인 줄 알아차리면서 빛난단다. 오늘날 왜 숱한 사람들이 미쳐가겠니? 왜 태어났는지 모르고, 하루하루 바쁘게 보내다가 나이가 들수록 어쩐지 끝이 나는구나 싶으니, 얼마나 캄캄하고 무서울까. 끝을 맺으려고 태어나지 않아. ‘살아가려’고 태어난단다. 살아가려면 살림을 할 노릇이고, 살림을 하려면 사랑을 할 일이야. 사랑을 하려면 왜 스스로 ‘사람’인지 알아야겠지. ‘미칠’ 듯하다면, ‘밑’으로 가렴. 그저 밑바닥으로 나아가서 고즈넉히 누워서 쉬고서 일어나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지평선 2023.12.13.물.



하늘을 보며 살아가던 사람은 ‘하늘’이라는 말을 지었어. 마음을 나누고 느끼고 일구며 살아온 사람은 ‘마음’이라는 말을 지었어. 비를 보고 마시며 살던 사람은 ‘비’라는 말을 지었어. 바다를 품고 생각하며 살았으니 ‘바다’라는 말을 지었어. 사람이 서는 자리를 살피면서 ‘사이’를 짓고, 사이좋게 가지 않을 적에 ‘싸우다’를 짓지. 누구나 하루를 보내지만, “삶을 누린다”고 하기는 어려워. 그저 흘러가거나 지나가는 때라면 쳇바퀴일 뿐이야. ‘삶(사는 하루·길·날)’이라는 말로 나타내려면, 몸으로 겪고 느끼면서 마음으로 담는 이야기가 늘 새롭게 샘솟아서 스스로 살피고 ‘말’을 짓거든. 네가 보고 듣고 느끼는 대로 ‘네 말’을 그리거나 빚거나 짓거나 엮지 않는다면, 넌 네 하루를 살지 않았다는 뜻이야. 모든 말이란 모든 삶이야. 그래서 삶이 없는 사람은 ‘삶짓기·말짓기·마음짓기’가 없기에 ‘살림짓기·사랑짓기·꿈짓기’가 없어. 삶이라 여길 수 있을 적에 살림이 있어. 말로 그릴 수 있을 적에 사랑을 일으켜. 마음에 담을 적에 꿈을 헤아리고 나아가지. 들끝이 하늘하고 맞닿는 들금(지평선)을 보니? 들금을 보는 사람은, 들하고 하늘이 어우러지는 길을 천천히 품으면서 풀어내는 씨앗을 심어. 물금(수평선)을 보는 사람은, 물·바다랑 하늘이 함께하는 살림을 가만히 노래하면서 노는 씨앗을 묻어. 하늘은 땅에 깃들고, 땅은 하늘로 뻗어. 하늘은 땅에 깃들면서 사람과 숱한 숨결로 스미고, 새삼스레 땅에 풀꽃나무에 고요히 물들면서 환하게 피어난단다. ‘금’은 ‘끝’을 알리면서 ‘꽃’처럼 새로 나아가는 첫길을 그려서 보이는 곳을 보여준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대학교를 왜 2023.12.12.불.



‘대학교를 바라보는 초·중·고’를 왜 보내야 하는지 생각한 적 있니? ‘하고픈 일’이나 ‘걸어갈 삶’이나 ‘이루려는 꿈’이나 ‘나누려는 사랑’이 아닌 ‘대학교 마침종이(졸업장)’를 어디에 쓸 셈이니? 가르치고 배우는 자리에서도 돈이 들 테니까, 배움삯이나 가르침삯을 나라가 대거나 스스로 치를 수 있어야겠지. 그런데 깊고 넓게 살피면서 배우는 길이 아니라, ‘자격·증명’이라는 허울로 대학교에 붙고 다녀서 마쳐야 한다면, 그런 나라는 미쳤어. 그런 나라를 버티는 사람도 나란히 미쳤지. 보렴. 사랑은 대학교나 초·중·고에서 못 배우고 못 가르치더라. 어른다운 어른과, 어버이다운 어버이를 대학교에서 가르칠까? 나무읽기·바람읽기·숲읽기·나비읽기·벌레읽기·흙읽기·비읽기·별읽기·오늘읽기·마음읽기 ……를 비롯해서, 집살림·밥살림·옷살림·사랑살림·마을살림을 어느 대학교나 초·중·고에서 가르치니? 이런 삶·살림·사랑을 못 보고 모르는 채 나이를 먹고서 졸업장·자격증만 갖추는 틀이라면 무엇을 하겠니? ‘글읽기’를 그곳에서 배울는지 몰라. 그런데 삶·살림·사랑·숲을 모르는 눈으로 글을 어떻게 읽을까? 아이를 돌보지 않고, 아이가 앞으로 살아갈 이 터전을 가꾸지 않는 손으로 어떤 글을 읽을까? 나라가 살아나려면 대학교를 버릴 노릇이야. ‘나’로서 ‘나’를 세우고  일으키려면 늘 ‘나’를 바라보고 가꿀 노릇이야. 푸른별 모든 곳이 배우는 터전이야. 모든 곳에서 스스로 눈을 뜰 때라야 따로 배움터를 다닐 수 있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배려 2023.7.22.



여름이라면

푹푹 찌는 더운바람을

겨울이니까

꽝꽝 추운 얼음바람을


처음이라면

알기 쉽게 살림말을

익숙하니까

마음 지을 숲빛글을


너를 바라보는 마음이

나를 마주하는 눈으로

서로 기울이는 생각이

함께 나아가는 노래로


돌보고 돌아보면서 동무

보듬고 살펴보면서 이웃

가꾸고 헤아리면서 함께

일구고 토닥이면서 같이


ㅅㄴㄹ


눈을 기울이니 마음을 기울입니다. 눈이 가니 마음이 갑니다. 눈으로 돌아볼 줄 알기에, 마음으로 돌아볼 수 있어요. 그리고, 눈이 아닌 마음으로 오롯이 다가가면서 사랑으로 포근히 품게 마련입니다. 겉으로만 보려 하면 겉모습에 얽매이고, 속으로 스미려 하기에 마음빛을 알아차려요. “도와주거나 보살펴 주려고 마음을 쓰는” 일을 ‘배려(配慮)’라는 한자말로 나타내는데, 우리말로는 ‘마음쓰기’입니다. 마음을 따뜻하게 쓸 줄 알기에 ‘마음빛’이 밝고, 마음을 넉넉하게 쓰려 하기에 ‘마음그릇’이 깊어요. 혼자 움켜쥐려 하니 ‘마음밭’이 얕고, 두루 나누려 하니 ‘마음꽃’이 활짝 피어요. 어떤 하루를 그리는지 생각해 봐요. 우리 마음을 어떻게 가다듬으면서 펴려 하는지 곰곰이 헤아려 봐요. 돌아볼 줄 알면서 마음이 그윽합니다. 살펴볼 줄 알면서 마음이 가득합니다. 헤아리거나 토닥일 줄 알면서 마음이 넓어요. 마음은 바다 같기에 끝없이 길어올릴 만하고, 마음은 바람 같아서 가없이 푸르면서 맑아요. 이 마음을 눈빛에 실어서 띄웁니다. 이 마음을 손길에 담아서 내밉니다. 이 마음을 노래로 얹어 들려줍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