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마실꽃 2022.8.7.

나그네채에서 2 머리카락



  나그네채에 머물면, 맨 먼저 모든 짐을 내려놓는다. 등에 맨 책짐, 어깨에 가로지른 글붓짐, 찰칵이(사진기)를 담은 짐인데, 글붓하고 글종이(수첩)을 담은 짐은 셋이다. 때로는 손에 책짐을 따로 쥐기도 한다. 책을 워낙 많이 장만하느라 끈으로 책을 묶어서 안거나 들고 다니기도 한다. 도무지 안거나 들고 다닐 만큼 책짐이 넘치면, 책숲마실을 누린 마을책집에 여쭈어 우리 시골집으로 부쳐 달라고 여쭌다.


  이렇게 짐을 다 풀고 나면 손낯을 오래오래 씻는다. 시골집에서는 참 자주 손낯을 씻는다. 글을 쓰면, 글을 쓰느라 손에서 배어난 손기름을 씻는다. 집살림을 하면, 집살림이란 내내 물을 만지는 일이다. 그러나 나그네가 되어 시골집을 떠나 머나먼 서울이나 큰고장(도시)을 돌아다닐 적에는 손낯을 씻을 데가 드물고, 애써 손낯을 씻을 데를 찾아도 시골집처럼 맑거나 차갑거나 살아숨쉬는 물이 아니다. 그렇더라도 “이 고맙고 아름다운 물이여!” 하고 읊으며 한참 손낯을 씻는다.


  이러고서 고무신을 빨지. 하루 내내 걸어서 돌아다녀 주느라 애쓴 발바닥하고 고무신을 오래오래 빨래하고 씻는다. 이다음에는 머리를 감으면서 서울·큰고장에서 묻은 때를 씻기고, 비로소 몸을 씻어서 땀내음을 털어낸다.


  이래저래 씻고 빨래를 하노라면 머리카락 몇 올이 빠지는데, 내 머리카락이 나그네채 씻는칸에 안 남도록 찬찬히 훑는다. 모든 나그네채에서는 치움이(청소부)가 있으나, 치움이 손길이 미처 못 닿는 데가 있게 마련이다. 적잖은 나그네는 앞선 나그네가 남긴 머리카락을 찾아내고서 “여긴 왜 이렇게 지저분해!” 하면서 나그네채를 마구마구 나무라기도 한다. 치움이를 나무라기 앞서 우리가 살뜰히 치워 놓고 나그네채를 떠나면 된다.


  그래서 나그네채를 떠돌 적마다 늘 생각하는데, 나그네채에 빗자루하고 쓰레받기가 있기를 바란다. 나그네가 스스로 바닥을 슥슥 쓸어서 애벌치움을 해놓도록 하면 얼마나 즐거울까. 나그네로서도 짐을 풀기 앞서 바닥부터 슥 쓸고 싶다. 난 맨발로 지내고 싶으니 더더욱 바닥이 깨끗하기를 바라고, 손수 바닥쓸기를 하고서 맨발로 나그네채에서 짐을 풀고서 쉬며 새아침을 맞고 싶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마실꽃 2022.8.7.

나그네채에서 1 ‘나그네채’라니?



  우리 터전을 보면, 예전에는 중국을 섬기느라 한문을 써야 거룩하거나 훌륭하다고 여겼다. 일본이 총칼로 쳐들어와서 서른 해 넘게 윽박지르는 사이에, 숱한 사람들은 이제 이 나라는 일본 그늘에서 못 벗어난다고 여겼고, 이 마음은 일본스런 한자말을 써야 뛰어나거나 똑똑하다는 쪽으로 흘렀다.


  일본이 무너질 줄 모른 일본바라기(친일부역자)가 수두룩하다. 이들은 일본이 무너졌어도 일본 한자말을 붙들었다. 1945년 8월 16일부터 새뜸(신문·언론)에는 “우리말 도로찾기를 하자”는 목소리하고 “일본 한자말도 마흔 해 가까이 썼으니 우리말이다” 같은 목소리가 자주 부딪혔다. 우리나라는 일본바라기(친일부역자)를 하던 이들이 벼슬자리(공무원)를 아주 잡아먹었고, 배움터(학교)도 거의 잡아먹은데다가, 글밭(문단·언론계)도 거의 다 일본바라기였다.


  이런 슬픈 민낯이기에, 1945년 8월이 지난 뒤에도 “일본하고 싸운(독립운동) 이들이 낸 우리말 도로찾기”라는 목소리보다는 “‘일본바라기로 힘·이름·돈을 거머쥔 이들이 외친 일본 한자말 그냥쓰기”라는 목소리가 온나라를 집어삼켰다. 애써 배움책(교과서) 말씨를 우리말로 손질해서 새로 엮었으나, 1950년부터 불거진 한겨레싸움(한국전쟁)이 끝난 뒤로는, 또 이승만이 우두머리(대통령)로 이어가고, 1961년부터 박정희가 새 우두머리로 서슬이 퍼런 동안, “일본하고 싸우며 우리말을 되찾으려던 목소리”는 거의 목아지가 잘렸다.


  앞소리가 길었다. 지난날에는 ‘여인숙’이나 ‘여관’이란 한자말을 썼다. 이러다가 ‘모텔’이란 영어가 들어서면서 ‘여인숙·여관’처럼 한자말로 지은 이름은 값싸거나 낮거나 허름한 곳으로 바라보는 물결이 퍼졌다. ‘호텔’은 예전에도 있기는 했으나 비싼 곳이란 이름이 높았다면, 요새는 여관이나 모텔조차 다 ‘호텔’이란 이름을 붙인다.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며 나라 곳곳 마을책집을 찾아다니는 사람으로서 우리말 이름을 지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나는 ‘여행객·관광객’이 아닌 ‘길손’이라서 ‘길손집·길손채’란 이름을 지어 봤다. ‘나그네집·나그네채’나 ‘손님집·손님채’란 이름도 지어 보았는데, 이 가운데 ‘나그네채’를 쓰기로 한다. ‘채’는 집을 세는 이름이기도 하고, 따로 두어 머무는 작은 칸을 가리키기도 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마실꽃 2022.8.7.

나그네채에서 0 가난하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은 예나 이제나 똑같이 있다. 스스로 애쓰지 않아서 가난할 수 있고, 나라·무리(조직·단체)나 우두머리·힘꾼(권력자)한테 미운털이 박혀서 가난할 수 있고, 땀흘린 보람을 거의 제대로 받지 못하는 얼개라서 가난할 수 있고, 애써도 자꾸 쓴맛을 보느라 가난할 수 있고, 나라·마을이 팔짱을 낄 뿐 모둠살이라는 품을 헤아리지 않기에 가난할 수 있다.


  나는 일 때문에 바깥마실을 한다. 서울이나 인천이나 광주나 부산이나 대구나 대전처럼 커다란 고장에서 산다면, 일 때문에 바깥마실을 하는 날이 적을 만하리라. 아니, 어쩌면 더 있을 수 있겠지. 시골에서 살며 여러 고장을 찾아다니기에, 전남 고흥부터 전남 순천이나 광주를 다녀오는 길조차 하루로는 빠듯하다.


  부릉이(자동차)를 모는 이라면 고흥부터 순천이나 광주쯤 아무렇지 않게 오갈 텐데, 시외버스로 오가는 이라면 이 길이 얼마나 멀고 길삯이 드는가를 알리라.


  나는 부릉이를 안 몬다. 푸른배움터(고등학교)를 마치는 1994년 2월까지, 그러니까 배움수렁(입시지옥)을 마친다는 셈겨룸(시험)을 치룬 1993년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배움터에서는 아무것도 안 가르쳤다. 그냥 꼬박꼬박 나가야 했다. 이때 푸른배움터에서는 ‘운전면허 따러 학원에 간다’고 하면 안 나와도 받아들이더라. 나는 길잡이(교사)한테 “이제 이곳은 학교가 아니라, 시간때우기를 하는 곳이니, 저는 스스로 책집을 다니면서 하루 내내 책읽기만 하겠습니다.” 하고 밝혔는데, ‘운전면허 따러 학원에 갈 적에는 결석 처리가 아니’지만 ‘스스로 배우려고 책집을 간다고 하면 결석 처리를 하겠다’고 하더라.


  푸른배움터 길잡이가 꼰대질을 보여주었기에 “그러면 전 앞으로도 자동차 따위는 안 몰 생각입니다.” 하고 대꾸했다. 낮 네 시 무렵 겨우 배움터에서 풀려나면, 인천 배다리 책집거리로 달려가서(말 그대로 달려갔다. 버스삯조차 아깝고, 책집이 닫을 때까지 더 읽을 생각으로 달렸다) 땀범벅인 채로 저녁 늦게까지 책읽기를 했다.


  아무튼 2022년 8월 6일에 찾아간 대전 마을책집 〈우분투북스〉에서 《우리는 군겐도에 삽니다》란 책을 장만했고, 대전에서 서울로 기차를 달리는 길에 다 읽었다. 이 책을 쓴 분은 “가난했기 때문에” 할 수밖에 없는 일로 첫걸음을 떼었다 하고, 가난했기에 할 수밖에 없던 일이 오히려 나중에 그분한테 빛나는 새 일거리로 자리잡았고, 두멧시골에 새바람을 일으키는 아름다운 일판까지 꾸릴 수 있었다고 하더라. 그런데 이 책은 1/4까지는 재미있었고, 그 뒤는 ‘자랑(나 이렇게 성공해서 돈 잘 벌고, 일꾼도 많이 거느리거든?)’만 늘어놓은 듯해서 따분했다.


  나는 가난하기 때문에 나그네채를 잡을 적에 언제나 이모저모 살핀다. 2022년으로 치면, 여느날(평일)에는 4∼6만 원 사이를, 쇠날·흙날·해날(금요일·토요일·일요일)이라면 5∼7만 원 사이를 어림해서 잡는다. 하룻밤 묵는 삯을 10만 원이 넘어도 아무렇지 않게 쓸 만한 살림이라면 나그네채를 잡는 일이 수월하겠지. 또한 구시렁대는 일조차 없으리라.


  그러나 가난하기 때문에 더 싼 나그네채를 알아보며 살아왔고, 혼자 움직일 적에는 가장 싼 곳에서 묵었다. 곁님을 만나기 앞서인 2008년까지는 하루 5000∼1만 원인 나그네채를 용케 알아내어 묵었고, 둘이 움직일 적에는 삯을 조금 더 들이는 데를 찾았고, 큰아이가 태어난 뒤에는 삯을 더 들이는 데를 보아야 했고, 작은아이가 태어난 뒤에는 더더 삯을 들이는 데를 찾아본다.


  마흔 살에 이르기까지 ‘가난하기 때문에’란 말을 곧잘 썼으나, 이제는 이 말을 안 쓴다. 마흔 살로 넘어선 뒤부터는 ‘시골사람 눈으로’라든지 ‘숲빛 마음으로’라든지 ‘살람하는 어버이 손길로’라든지 ‘사랑하는 마음으로’ 같은 말을 쓴다.


  모두 사랑으로 바라보고 싶다. 뻔히 보이는 바가지를 씌워서 5000원이나 1만 원을 더 챙기려는 나그네채 일꾼도, 고무신을 꿴 내 발을 딱딱한 구둣발로 질끈 밟고 지나가면서 아무 말도 없는 서울 젊은이도, “요즘도 책 사러 서점 가요?” 하는 철없는 말을 읊으며 ‘밀리의 서재’에서 얼굴을 파는 김영하 같은 글쟁이도, 그저 사랑으로 바라보려고 한다.


  난 모든 풀꽃나무하고 풀벌레하고 헤엄이한테 다 다르게 이름을 붙이면서 살아간다. 모두를 사랑하려니까. 오롯이 사랑하는 마음으로 나그네채 이야기를 한 올씩 풀어내려고 한다. 이제는 쓸 만한 때에 이른 듯하다. 나그네채를 1994년부터 다녔구나.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글쓰기 2022.7.20.


누구나 글꽃

1 글을 쓰고 싶으면



  글을 쓰고 싶다고 말씀하는 모든 이웃님(어린이·푸름이·어른)한테 똑같이 들려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누구나 글을 즐겁게 쓰면서 저마다 글빛으로 아름답게 물들 수 있어요. 누구나 삶을 글로 기쁘게 옮기면서 저마다 글꽃으로 사랑스레 피어날 만합니다.


 ㄱ. 아기를 낳으셔요. 아기를 사랑으로 돌보셔요. 함께 아기를 낳아 사랑으로 돌볼 짝님을 만나야겠지요. 스스로 사랑님으로 거듭나면서 곁님하고 보금자리를 가꾸는 길을 걸어가면 넉넉해요. 또는 혼자인 아기나 아이를 받아들일(입양) 수 있습니다.


 ㄴ. 집안일·집살림을 하셔요. 틀(기계)을 되도록 적게 쓰거나 아예 안 쓰면서 손으로 스스로 집안일·집살림을 하셔요. 빗자루랑 걸레로 쓸고닦으면 되고, 틀빨래(세탁기 쓰기)가 아닌 손빨래를 하면 되며, 아기 똥오줌기저귀를 삶고 손으로 헹구면 되지요. 스스로 밥을 짓고, 옷을 손질하거나 지으며, 집을 손질하고 지을 수 있으면 돼요.


 ㄷ. 맨손·맨발·맨몸으로 나무를 타고 노셔요. 풀꽃나무·풀벌레·해바람비·들숲바다·별·새·뭇목숨하고 마음으로 이야기를 하셔요. 돌하고 모레하고 냇물하고 이슬하고 빗방울에도 숨결이 흘러요. 사람도 똑같이 숨결이 흐르고요. 모두 다른 몸이되 같은 숨결이기에, 스스로 마음을 열거나 틔우거나 깨우면 언제나 마음으로 반가이 만나서 이야기꽃을 피울 만합니다.


 ㄹ. 노래하고, 춤추고, 수다를 나누고, 마음껏 노셔요. 눈치를 보려 하지 말고, 스스로(참된 나)를 바라보기로 해요. 남을 쳐다보지 말고 나를 마주하기로 해요. 둘레(사회)에 휘둘리지 말고, 나를 나답게 나로서 가꾸는 오늘을 바로 이곳에서 저마다 우리 나름대로 살림하고 사랑하기로 해요.


 ㅁ. 이러고서 틈이 나면, 돈을 버는 일(직업)을 해도 됩니다.


  이렇게 다섯 갈래 길을 걸어가면, 글감은 저절로 쏟아지게 마련이니, 누구나 글을 신나게 쓰고 서로 나누고 책이 태어납니다. 글감이 저절로 쏟아질 삶·사랑·살림·숲을 이루고 누리고 나누는 하루를 지은 다음에 실컷 글을 쓰기로 해요.


  꼭 “글을 쓰려고 글쓰기를 배울 생각은 집어치우기”로 해요. “삶을 사랑으로 짓고 살림을 즐겁게 숲빛으로 아이들하고 함께하기”로 나아가면 누구나 ‘글님’입니다. 글순이에 글돌이로 피어나지요. 우리는 ‘작가’란 허울을 뒤집어써야 글쓰기를 할 수 있지 않아요. 살림순이로 삶을 사랑하기에 글순이로 이어요. 놀이돌이로 살림을 노래하기에 글돌이로 이어요. 사랑순이로 숲을 품기에 글순이로 빛나요. 사랑돌이로 아이를 돌보는 상냥하고 어진 마음빛이기에 글돌이로 반짝여요.


  살림님·삶님·사랑님·숲님으로 살면 누구나 저마다 다르게 아름다이 ‘글님·말님·수다님·이야기님’으로 깨어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골목빛


+ + +


도화1동 09-0405-100 : 조그맣더라도 마당은 마당. 이 마당에는 나무가 자라고 풀이 돋고 꽃이 핀다. 풀꽃나무가 자라는 마당에 너는 빨래는 풀꽃나무 기운에 해바람을 듬뿍 머금는다. 어떤 옷을 어떻게 입을 적에 즐거울까? 어떻게 하루를 맞이하면서 누리기에 빛날까?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