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0.9.

《푸른배달말집》
 한실·푸른누리 엮음, 안그라픽스, 2024.10.1.



한글날 새벽에 짐을 꾸려서 논두렁을 걷는다. 새벽을 여는 새소리를 듬뿍 담으면서 황산마을에 닿는다. 읍내로 가는 첫 시골버스를 탄다. 이튿날 일거리를 앞두고 미리 경기 부천으로 가려는 길이다. 전주를 들를까 하다가 그만둔다. 곧장 서울로 가서 아이들 옷 넉 벌을 장만하고서 전철을 갈아탄다. 오늘이 한글날이라 해서 다를 일은 없다만, 앞으로는 ‘한글한말날’처럼 말글을 함께 바라볼 수 있어야지 싶다. 말이 있기에 글을 담고, 말을 글에 얹어서 나누기에 우리 이야기를 오래 건사한다. “소리를 그리는 그릇”인 글을 지은 일은 훌륭한데, “마음을 담은 말”을 누가 어떻게 지었는지 자꾸 잊거나 등질 적에는 우리 스스로 빛이 바랜다. 《푸른배달말집》이 나왔다. 아직 종이책으로는 못 본다. 이 꾸러미에 나눔글(추천사)을 보태었다. 굳이 ‘종이 낱말책’을 엮는 뜻을 모를 분이 많을 텐데, “모르거나 낯선 낱말은 가끔 찾아보”되 “안다고 여기거나 낯익은 낱말을 늘 찾아보”아야 하기에 종이 낱말책을 엮어서 선보인다. 말이 왜 갈피를 잃으면서 헤매겠는가? 여느 말씨가 흔들리는 탓이고, 삶말을 잊고 살림말을 등진 탓이다. 숲노래 씨는 이 꾸러미 이름을 지었고, 옮김말씨나 일본말씨를 손보고 새말을 얹는 몫을 살짝 거들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천명 시집 - 원본
노천명 지음 / 깊은샘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4.10.8.

노래책시렁 452


《盧天命 詩集》

 노천명

 서문당

 1972.12.20.



  ‘瑞文文庫 062’로 나온 《盧天命 詩集》을 읽었습니다. 누구나 값싸고 손쉽게 읽으라는 뜻으로 여민 손바닥책인 ‘서문문고’ 가운데 예순둘째로 나온 노래꾸러미는 일본앞잡이인 노천명을 다루었더군요. 1972년이라 하지만 오히려 그즈음은 일본끄나풀을 호되게 나무랄 만할 텐데, 이 노래책에 머리말을 쓴 이희승은 노천명을 높이 사고 예뻐할 뿐입니다. 이희승뿐 아니라 적잖은 일본따라지가 노천명을 띄우고 올리면서 배움책(교과서)에까지 글을 실었을 테지요. 《盧天命 詩集》은 거의 ‘노천명 전집 문고판’이라고 내세우지만, 막상 일본에 붙어서 어떤 글을 써댔는지는 한 줄조차 안 싣습니다. 이런 노천명과 허수아비라고 할 텐데, “詩人 / 오늘 너는 무엇을 하느냐 / 權力에 아첨하는 날 / 네 冠은 진땅에 떨어지나니”라든지 “우리 다시 뜨겁게 손을 잡아야 하지 않겠는가 / 八·一五는 오는데 / 八·一五는 또 오는데” 같은 글자락은 그저 창피하고 부끄럽습니다. 누구보다 힘줄(권력)에 단단히 들러붙은 끄나풀이 되레 “權力에 아첨하는 날” 같은 글을 써댄다니, 얼마나 낯이 두껍다는 뜻이며, 일본노리개를 감싸면서 힘·이름·돈을 거머쥐는 무리가 드셌다는 셈인지 곱씹을 만합니다. 가난 핑계조차 들 수 없는 허깨비를 나무랄 줄 모르는 붓이라면, 예나 이제나 앞으로나 스스로 종수렁에 잠길 뿐입니다.


ㅅㄴㄹ


詩人 / 오늘 너는 무엇을 하느냐 / 權力에 아첨하는 날 / 네 冠은 진땅에 떨어지나니 // 네 聖스러운 붓대를 들어라 / 네 두려움 없는 붓을 들어라 / 正義 위해 / 횃불 갖고 詩를 쓰지 않으려느냐 (詩人에게/248쪽)


이제 쇠사슬을 쥔 北方의 검은 손이 / 새로이 民族의 발목을 노리는데 / 우리 다시 뜨겁게 손을 잡아야 하지 않겠는가 / 八·一五는 오는데 / 八·一五는 또 오는데 (八·一五는 또 오는데/200쪽)


살아 생전에 항상 少女임을 자부했고, 후배 소녀들과 자리를 함께 하기를 즐겨한 그였으므로, 필경 他界에서도 만족의 미소를 금치 못할 것이며, 오히려 기쁨의 눈물로 뺨을 적실는지도 모르겠다. 天命이 他界로 간 지도 벌써 15년을 헤아리게 된 지금 새삼 序文을 써달라는 부탁을 받으니, 가슴 속에 치솟아 오르는 갖가지 감회에 무엇이라 표현할 말을 찾지 못하겠다. 이 두어 줄로써 序文을 대신하고 天命을 대신하고 天命의 冥福이 내내 綿綿하기를 빌어 마지 않는다. (6쪽/1972년 12월 이희승 삼가 적음)


+


《盧天命 詩集》(노천명, 서문당, 1972)


필경 他界에서도 만족의 미소를 금치 못할 것이며

→ 아마 너머에서도 즐겁게 웃으며

→ 무릇 그곳에서도 기쁘게 웃으며

6쪽


기쁨의 눈물로

→ 기쁨눈물로

→ 기뻐 눈물로

→ 기쁘게 눈물로

6쪽


지금 새삼 序文을 써달라는 부탁을 받으니

→ 이제 새삼 앞글을 써달라고 여쭈니

→ 오늘 새삼 나한테 머리글을 바라니

6쪽


冥福이 내내 綿綿하기를 빌어 마지 않는다

→ 앞길이 내내 곱기를 빌어 마지 않는다

→ 앞빛이 내내 가없기를 빌어 마지 않는다

6쪽


새로이 民族의 발목을 노리는데

→ 새로이 겨레 발목을 노리는데

→ 새로이 한겨레 발목을 노리는데

200쪽


權力에 아첨하는 날 네 冠은 진땅에 떨어지나니

→ 주먹에 빌붙는 날 네 갓은 진땅에 떨어지나니

→ 힘에 들러붙는 날 네 쓰개는 진땅에 떨어지나니

248쪽


네 聖스러운 붓대를 들어라

→ 네 거룩한 붓대를 들어라

→ 네 높다란 붓대를 들어라

248쪽


正義 위해 횃불 갖고 詩를 쓰지 않으려느냐

→ 곧게 횃불 들고 노래를 쓰지 않으려느냐

→ 반듯하게 횃불 들고 노래 쓰지 않으려느냐

24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말 의존명사 사전
백문식 지음 / 그레출판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4.10.6.

까칠읽기 35


《우리말 의존명사 사전》

 백문식

 그레

 2022.9.8.



여러 갈래 낱말책이 두루 있어야 우리말이 발돋움할 만하다고 여긴다. 《우리말 의존명사 사전》은 매인이름씨를 어떻게 다루었을는지 궁금해서 차근차근 읽었는데, 뜬금없는 낱말을 너무 많이 실었다. 뜻풀이를 엮은이가 새로 안 한 듯하다. 여태 나온 숱한 어설픈 낱말책처럼 ‘올림말 뻥튀기’에 얽매이고 말았다.


가밀·가우스·감마·게임·갈·골·길더·길버트

그램·그램당량·그램분자·그램분자부피·그램센티미터·그램원자·그램이온·그램톤·그레이·그레이드·그레인·그로스·그로스톤

궤(?)


이런 매인이름씨를 왜 실었을까? “우리말 매인이름씨 꾸러미”에 왜 바깥말을 잔뜩 싣는가? “끝 = 필(疋)”처럼 다루기도 하는데, 이런 얼거리도 얄궂다.


데 : 어떤 곳·부분이나 요소(구석/점)

뙈기 : 일정하게 경계를 지은 논밭의 구획을 세는 단위

명 : 사람의 수효를 세는 단위

모춤 : 볏모나 모종을 묶은 단을 세는 말


‘데’를 ‘곳’으로 풀 뿐 아니라, ‘부분·요소’로 풀면 어떡하나? 우리말 ‘뙈기’를 “일정하게 경계를 지은 논밭의 구획을 세는”처럼 풀이하면 어쩌지? 우리 낱말책은 우리말로 풀어야 알맞고 올바르다. ‘명’은 ‘사람’을 세는 말이라면, ‘사람’은 뭘까? “볏모나 모종”을 굳이 나란히 적어야 할까? “묶은 단”은 겹말이다. 애써 엮은 땀방울은 값지되, 우리말을 우리말로 살피지 못하거나 않는 대목은 대단히 아쉽고 얄궂다. 말글은 “겨레의 얼”이 아닌 ‘겨레얼’이다. 일본한자말이나 옮김말씨부터 씻거나 털지 않은 채 섣불리 서둘러 엮을 적에는 오히려 한글과 한말을 어지럽히는 수렁에 잠기고 만다.


ㅅㄴㄹ


《우리말 의존명사 사전》(백문식, 그레, 2022)


말과 글은 겨레의 얼이요 문화의 표상이다

→ 말과 글은 겨레얼이요 살림꽃이다

→ 말과 글은 겨레얼이요 살림멋이다

4쪽


지금까지 출간된 국어사전들을 망라하여 그 가운데 의존명사(依存名詞)만 가려 엮은 사전이다

→ 여태까지 나온 우리말꽃을 그러모아 매인이름씨만 가려 엮는다

→ 이제까지 나온 낱말책을 갈무리하여 안옹근이름씨만 가렸다

4쪽


실질적 의미를 간접적으로 드러내게 된다

→ 속뜻을 넌지시 드러낸다

→ 숨은뜻을 슬쩍 드러낸다

4


일부 의존명사는 통시적으로 의미 변화를 가져왔다

→ 몇몇 매인이름씨는 뜻이 차근차근 바뀐다

→ 여러 안옹근이름씨는 뜻이 이래저래 바뀐다

5쪽


다소 이견이 있는 부분들을 정리하여 독자들에게 미력하나마 표현의 간결성과 적확성(的確性)을 기하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기획하였다

→ 적잖이 갈리는 곳을 추슬러서 조금이나마 단출하고 알맞게 알리려고 했다

→ 제법 다르게 보는 곳을 간추려 조금이나마 깔끔하고 반듯하게 풀려고 했다

5쪽


편집부에 감사를 드린다

→ 엮어 주셔서 고맙다

5쪽


줄기의 수효를 세는 단위

→ 줄기를 세는 이름

→ 줄기를 세는 말

9


노래의 수를 세는 단위

→ 노래를 세는 이름

→ 노래가 몇인지 세는 말

9


그 성질이나 특징에 따라 종류별로 구별하여

→ 결이나 빛에 따라서

→ 갈래나 모습으로 갈라서

→ 빛이나 쓰임새로 나누어

12


철수의 것이 좋다. 내(나+의) 것

→ 철수 것이 낫다. 내 것

17


다른 데로 돌릴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

→ 다른 데로 돌릴 수 있는 틈이나 짬

18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라잉 위치 6
이시즈카 치히로 지음, 문기업 옮김 / 대원씨아이(만화)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2024.10.6.

까칠읽기 44


《플라잉 위치 6》

 이시즈카 치히로

 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18.2.28.



《플라잉 위치 6》(이시즈카 치히로/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18)을 읽었다. 바람아씨 이야기를 여느 삶터에 녹아들듯 그리려는 얼거리이지 싶은데, 가면 갈수록 《요츠바랑!》을 흉내내는 듯한 줄거리 같다. 여고생이나 여중생처럼 놀고 싶은 바람아씨를 그리려는 뜻일는지 모르나, 왜 ‘학교’라는 틀에 가두어야 할까? 여고생이 아닌 열일곱 살을 그리면 되고, 여중생이 아닌 열네 살을 그리면 된다. 얼핏 잔잔하게 흐르는 하루를 조용히 옮기는 듯하지만, ‘마을 거닐기’나 ‘삶자리 돌아보기’라기보다는 ‘구경거리(체험·학습)’에서 맴돈다고 느낀다. 서너걸음에서 이러한 빛을 느껴서 더 안 읽으려 하다가 여섯걸음까지 억지로 읽었다. 2023년까지 열두걸음이 한글판으로 나왔는데, 이제 그만 읽으려고 한다.


ㅅㄴㄹ


#ふらいんぐうぃっち #石塚千尋


겨울의 전령사가 세계 각지에 씨앗을 뿌리거든

→ 가을 알림이가 온누리에 씨앗을 뿌리거든

→ 가을 나름이가 이곳저곳에 씨앗을 뿌리거든

5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려라 하니 1
이진주 지음 / 시작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2024.10.6.

까칠읽기 45


《달려라 하니 1》

 이진주

 시작

 2024.4.30.



새로 나온 《달려라 하니 1·2》을 장만해서 첫걸음을 편다. 그런데 쪽을 안 적고, 그림결이 너무 엉성하다. 고침판이라고 하지만 뭘 고쳤는지 모르겠고, 1986∼87년에 나온 《달려라 하니》뿐 아니라, 나중에 다시 나온 두 가지 판에 대어도 그림결이 엉망이다. 어느 판을 떠서 냈기에 이처럼 엉성할까? 요 몇 해 사이에 예전 그림꽃을 되살림판(복간본)으로 내는 바람이 조금 부는 듯한데, 그림결을 못 살리는 판이 수두룩하다. 손때를 잔뜩 머금느라 낡고 닳은 판을 복사집에 맡기느니만 못 한 판을 어떻게 고침판이라고 이름을 붙여서 낼 수 있을까? 창피하다. 그저 창피하다. 아주아주 창피하다. 나는 앞선 세 가지 판으로 《달려라 하니》를 장만했고 아이들하고 읽었으나, 2024년 새판은 굳이 석넉걸음은 안 사려고 한다.


“하니! 너 지금 뭐하는 거니?” “김치요.” “소꿉장난하냐? 에라∼! 이녀석아! 이리 내라! 김치란 이렇게 담근다는 걸 보여줄 테니까.” (70쪽)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