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42 익숙한



  즐겁게 읽은 책이기에 곁에 놓습니다. 아름답게 읽은 책이기에 고이 품습니다. 사랑스레 읽은 책이기에 두고두고 건사합니다. 새로 펼 적마다 반갑게 생각을 북돋우기에, 익숙하거나 똑같은 책이란 없습니다. 펴냄터(출판사)에서 일하며 길장사(가판)를 나온 2000년 봄날이었을 텐데, 어느 아이가 어머니 옆구리를 잡고 쭈뼛쭈뼛 서면서 저를 쳐다보더군요. 어머니 말씀으로는 “얘가 이 그림책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1000번도 넘게 읽었어요. 다른 그림책이 있어도 이 그림책을 그렇게 좋아해서 책이 낡으면 새로 사 줘요.” 하시더군요. “아이가 가장 좋아하는 그림책을 만든 사람이 궁금하다고 해서 찾아왔답니다.” 하고 덧붙이셔서 ‘파는 일(영업부)’을 하는 사람이지만 그 그림책하고 얽힌 이야기를 잔뜩 들려주었고, 덤으로 몇 가지 책을 주었어요. 아니, 제 일삯으로 사서 ‘그냥 주는 척’했습니다. 그날 저녁 ‘나는 한 가지 책을 1000벌을 되읽으면서 새롭게 새길 줄 아는가?’ 하고 돌아보았어요. 곰곰이 보면, 아이들은 익숙한 책도 늘 새롭게 즐길 줄 아는 멋지고 부드러운 눈길이자 손길이로구나 싶어요. 아이하고 노는 어른이라면 이 깊고 너른 사랑을 아이한테서 배우겠지요. 마음을 사로잡는 책이란 끝없이 솟는 맑은 샘물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숲노래 씨가 쓴 책을

1000벌을 읽어 줄 이웃님이 있어도

기쁘고 아름다울 텐데

10벌을 읽어 주는 이웃님이 있어도

1벌을 읽어 주는 이웃님이 있어도

즐겁고 사랑스러우리라 생각해요.


곁에 《곁말》하고 《곁책》을

놓아 보는 가을날 누려 보셔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2022.10.8.

책하루, 책과 사귀다 141 열화당 “세기말 사은 대잔치”



  1999년 8월부터 펴냄터(출판사) 일꾼으로 지냈습니다.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살면서 혼자 책을 사읽고 누릴 적에는 도무지 알 길 없던 책마을 속내하고 속낯을 이때부터 하나하나 보았습니다. 제가 일하던 펴냄터조차 이곳 엮음이(편집자)는 이웃글꾼(외국 작가)한테 글삯(저작권료·인세)을 치를 적마다 “돈이 아깝다”고 말했습니다. 그무렵 웬만한 펴냄터는 이웃글꽃(외국문학)을 몰래 냈습니다. “굳이 이웃글꾼한테 돈(인세)을 줘야 하느냐?”고 밝히는 엮음이나 펴냄이(대표)가 많았어요. ‘열화당’도 그런 펴냄터 가운데 하나입니다. 《곰브리치 서양미술사》를 비롯해서, 이웃나라(외국) 책을 으레 ‘몰래 훔쳐서(계약을 안 하고 무단으로) 냈’어요. ‘열화당’도 숱한 펴냄터도 ‘이웃나라 저작권’뿐 아니라 ‘엮음새(편집)·꾸밈새(디자인)’까지 그대로 훔치기 일쑤였어요. 이런 훔침질은 우리나라가 세계저작권협회에 들어간 2000년 1월 1일부터는 더 할 수 없었다는데, ‘열화당’은 1999년 12월 31일까지 ‘몰래 훔쳐서 낸 책’을 어떻게든 더 팔아치우려고 용을 쓰더군요. 이른바 “세기말 사은 대잔치”란 이름을 붙였는데, ‘저작권 도용’으로 펴냄터 이름값(명예)·돈(재산)을 가로채면서 오늘날에 이르렀다고 할 만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40 대단하지 않되



  책은 높지도 낮지도 않습니다. 사람은 낮지도 높지도 않습니다. 어떠한 일이나 놀이도 낮거나 높을 까닭이 없습니다. 푸른별에서 풀꽃나무가 대수롭다고 할 만합니다만, 풀꽃나무만 대수롭게 바라볼 일은 아니라고 느껴요. 물에서 사는 헤엄이도, 들에서 사는 짐승도, 숲에서 사는 새도 저마다 대수로워요. 책 하나만 놓고서 본다면, 책은 대단하지 않되, 언제나 숲에서 옵니다. 모든 책은 아름드리숲에서 자라던 나무예요. 한낱 종이꾸러미가 아닌, 숲결(숲이라는 결)을 책자락(책이라는 이야기가 흐르는 자락)에서 느끼는 사이에 천천히 눈을 밝히고 마음을 틔우지 싶습니다. 무엇을 얻거나 잘난이가 되려고 손에 쥐는 책이 아닌, 저마다 다르게 숲이라는 숨결을 품은 삶인 줄 가만히 느껴서 푸르게 빛나려고 손에 쥐어 보는 책이지 싶어요. 책을 읽기에 징검다리를 놓습니다. 너랑 나 사이에 새롭게 숨결을 틔우는 이야기를 책 하나로 살며시 잇습니다. 이름난 글님(작가)이나 이름없는 읽님(독자)이 아닌, 수수하게 숲에서 일렁이는 풀꽃나무 같은 너나(글님+읽님)입니다. 우리는 서로 다르게 빛납니다. 우리는 언제나 스스로 즐겁게 깨어납니다. 대단하지 않되, 마음 깊이 흐르는 풀빛을 일깨워 삶빛을 손수 짓도록 속삭이는 책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9.22. 빛깔말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남양주 마을책집을 다녀오면서 장만한 어느 그림책은 온통 ‘파랑’을 들려주는데, 책이름은 ‘푸른’으로 적더군요. ‘blue’를 ‘파란’ 아닌 ‘푸른’으로 옮긴 셈인데, 어른책뿐 아니라 어린이책이나 그림책이 이렇게 우리말을 잘못 쓰면 어린이는 빛깔말을 비롯해 우리말을 엉성하게 받아들이고 맙니다.


  풀빛이기에 ‘푸르다’입니다. 하늘빛처럼 파랗기에 ‘파랑’입니다. “푸른들에 파란하늘”인데, 잘 가리는 어른이 있으나 못 가리거나 안 가리는 어른이 꽤 많더군요. 안 되겠구나 싶어서 ‘빛깔말 말밑 이야기’를 새롭게 씁니다. 그동안 여러모로 생각한 바도 있고, 말밑찾기(어원연구)로 여러 빛깔말 뿌리를 캐내기도 했는데, 글을 다 여미고 보니 ‘빛깔말을 한자리에서 들려준 글’은 오늘에서야 처음 썼더군요.


  읍내로 저잣마실을 다녀오려면 곧 시골버스를 타야 합니다. 읍내를 다녀오고서 ‘푸르다·파랗다’하고 얽혀 어른들이 잘못 쓰는 말버릇을 넌지시 타이르는 글을 하나 더 쓰려고 합니다. 오늘 새벽에는 ‘한글·훈민정음’ 두 가지 이름을 아무렇게나 섞어서 쓰는 적잖은 어른(지식인·교수·학자)를 부드러이 나무라는 글을 새로 추슬렀습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스스로 생각해야 합니다. 얕은 부스러기(지식)에 기대지 말고, 몇몇 책에 따르지 말아야지요. 삶을 보고 살림을 살피고 사랑을 그리면서 숲빛으로 여밀 노릇입니다. 정 종이책에 기대고 싶다면, 종이책을 100만 자락쯤은 읽기를 바라요.


  저는 열여덟 살부터 마흔일곱 살에 이르도록 100만 자락을 훌쩍 넘을 만큼 온갖 책을 읽었습니다. 그런데 100만 자락이 넘는 책을 읽으며 무엇을 깨달았느냐 하면, ‘책을 더 읽거나 더 기댈수록 스스로 바보라는 우물에 갇힌다’입니다. 아이들하고 살림을 함께 짓고, 손수 집안일을 맡아서 노래하고, 부릉이(자동차)가 아닌 두 다리하고 자전거로 움직이지 않으면, 이 삶을 담아낸 말을 제대로 읽거나 느끼거나 알 수 없겠더군요. 그리고, 말글을 다루는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서울(도시)이 아닌 시골에서 조용히 보금자리를 일구면서 숲을 품어야 합니다. 우리말도 일본말도 중국말도 영어도 라틴말도 밑뿌리는 다 ‘숲’에서 왔습니다. 숲을 모르거나 등진다면 말하기도 글쓰기도 거짓이나 눈속임이나 겉치레나 허울좋은 껍데기로 그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39 제2의 아무개



  어느 그림책을 처음 본 날 참으로 거북해서 한켠에 밀어놓았고, 여섯 달 만에 다시 들추어 찬찬히 읽었습니다. 이 그림책은 책날개에 “제2의 존 버닝힘, 제2의 퀸틴 블레이크, 영국 그림책 전통을 잇는 작가(그림책연구가 김난령)”라는 말을 새겼어요. 다시 읽어 보아도 쓴웃음이 납니다. 그림책을 싫어하니까 “제2의 아무개”라는 말을 쓰겠지요. 그림책뿐 아니라 글책도 빛꽃책(사진책)도 매한가지입니다. “제2의 아무개”라는 이름을 붙인다면 ‘흉내·시늉·따라하기·베끼기’에 갇혔다는 뜻입니다. 스스로 서지 못한 모습에 “제2의 아무개”란 이름을 붙여요. 생각할 노릇입니다. 똑같은 책이란 없고, 비슷한 책도 없어요. 다 다른 나라에서 다 다른 사람들이 다 다른 이웃을 곁에 두고서 다 다른 어른이자 사람으로서 다 다른 사랑으로 다 다른 삶을 고스란히 실어서 다 다른 이야기로 여미어 내는 다 다른 책입니다. 우리는 서로 어깨동무할 마음이 있는가요? 우리는 서로 손잡고 뛰놀며 웃고 노래할 생각이 있는지요? 힘을 빼야 놉니다. 힘이 들어가면 못 놀아요. 힘을 잔뜩 주면 일도 어그러집니다. 살림·집안일도 힘이 아닌 마음으로 합니다. 아직 스스로 마음을 못 세워 “제2의 아무개”로 맴돌 테지요. 마음을 세우면 ‘나’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