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54 : 로드킬 인간 존재 -게 하다



로드킬은 인간이라는 존재를 뒤돌아보게 한다

→ 길죽음 탓에 사람을 뒤돌아본다

→ 치여죽는 짐승이 있어 사람을 뒤돌아본다

→ 길눈물과 얽힌 사람살이를 뒤돌아본다

《도로 위의 야생동물》(최태영, 국립생태원, 2016) 7쪽



사람도 짐승도 새도 길죽음으로 스러집니다. 부릉부릉 내달리는 길이 너무 넓게 뻗었습니다. 우리는 사람이 무엇인지 돌아볼 일이에요. 사람 혼자 살려고 한다면 오히려 사람부터 망가지거나 무너지게 마련이에요. 들숲바다가 푸르고, 뭇숨결이 어우러질 적에, 비로소 사람도 아름답게 사랑길을 펼 테지요. 길눈물이 아닌, 길꽃과 길나눔을 열 수 있기를 바라요. 스스로 뒤돌아봐요. ㅅㄴㄹ



roadkill : 1. (도로에서) 자동차에 치여 죽은 동물 2. (도로에서) 자동차로 동물을 치어 죽임

인간(人間) : 1. 언어를 가지고 사고할 줄 알고 사회를 이루며 사는 지구 상의 고등 동물 2. 사람이 사는 세상 3. 사람의 됨됨이 4. 마음에 달갑지 않거나 마땅치 않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3. [철학]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外界)에 객관적으로 실재함 ≒ 자인 4. [철학] 형이상학적 의미로, 현상 변화의 기반이 되는 근원적인 실재 5. [철학]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객관적인 물질의 세계. 실재보다 추상적이고 넓은 개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57 : 활동 지역 내 문화적 심하게 황폐화한 중의 하나



사샬이 활동하는 지역은 영국 내에서도 문화적으로 가장 심하게 황폐화한 지역 중의 하나다

→ 사샬이 일하는 곳은 영국에서도 아주 후미지다

→ 사샬은 영국에서도 몹시 구석진 데에서 일한다

《행운아》(존 버거·장 모르/김현우 옮김, 눈빛, 2004) 108쪽



돌아다닐 적에는 ‘다니다·돌아다니다’라 하면 됩니다. 뛰어다닐 적에는 ‘뛰다·뛰놀다·뛰어다니다’라 하면 됩니다. 일할 적에는 ‘일하다·땀흘리다·애쓰다·힘쓰다’라 하면 되어요. 우리가 일하는 곳은 어쩐지 후미지거나 구석질 수 있어요. 메마르거나 거칠거나 텅텅 빌 수 있습니다. 후미지기에 나쁘지 않아요. 후미지니 조용히 일굴 만합니다. 구석지니 차근차근 가꿀 만해요. “가장 - 중의 하나”는 잘못 쓰는 옮김말씨입니다. ㅅㄴㄹ



활동(活動) : 1. 몸을 움직여 행동함 2. 어떤 일의 성과를 거두기 위하여 힘씀

지역(地域) : 1. 일정하게 구획된 어느 범위의 토지 2. 전체 사회를 어떤 특징으로 나눈 일정한 공간 영역

내(內) : 일정한 범위의 안

문화적(文化的) : 1. 문화와 관련된 2. 높은 문화 수준에 있는

심하다(甚-) : 정도가 지나치다

황폐화(荒廢化) : 1. 집, 토지, 삼림 따위를 거두지 않고 그냥 두어 거칠고 못 쓰게 됨. 또는 그렇게 만듦 2. 정신이나 생활 따위가 거칠어지고 메마르게 됨. 또는 그렇게 만듦

중(中) : [의존명사] 1. 여럿의 가운데 2. 무엇을 하는 동안 3. 어떤 상태에 있는 동안 4. 어떤 시간의 한계를 넘지 않는 동안 5. 안이나 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색감 色感


 색감이 뛰어나다 → 빛결이 뛰어나다

 색감이 좋다 → 빛이 좋다 / 물이 좋다

 이 작품은 여성 특유의 감미로운 색감이 느껴진다 → 이 그림에서 순이답게 달콤한 빛살을 느낀다


  ‘색감(色感)’은 “1. 색에 대한 감각 2. 색에서 받는 느낌”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결·맛·물’이나 ‘꽃물·꽃빛물·꽃물감’이나 ‘빛·빛깔’로 고쳐씁니다. ‘빛결·빛기운·빛값’이나 ‘빛나다·빛있다·빛접다’나 ‘빛살·빛발’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잘 이용해서 색감, 구도 등이 잘 나온 사진을 찍었다면 그게 적어도 나쁜 사진은 아니겠지만 잘 찍은 사진이 꼭 좋은 사진일까요

→ 잘 다뤄서 빛결, 틀이 잘 나오도록 찍었다면 적어도 나쁘지는 않겠지만, 잘 찍어야 꼭 좋을까요

→ 잘 보면서 빛살, 그림이 잘 나오게 찍었다면 적어도 나쁘지는 않겠지만, 잘 찍어야 꼭 좋을까요

《고릴라를 쏘다》(한상균, 마로니에북스, 2012) 120쪽


사람들 대부분 어두운 색감의 옷을 입고 있었다

→ 사람들 거의 다 어두운 느낌인 옷을 입었다

→ 사람들 거의 다 어두워 보이는 옷을 입었다

→ 사람들 거의 모두 어두운 옷을 입었다

《한복, 여행하다》(권미루, 푸른향기, 2017) 35쪽


따사로운 색감의 그림들, 아이들의 표정

→ 결이 따사로운 그림, 아이 얼굴

→ 따사롭게 물들인 그림, 아이 낯빛

《그림책 톡톡 내 마음에 톡톡》(정봉남, 써네스트, 2017) 114쪽


아름다운 색감으로 도시와 그 안의 사람들을 담아냈다

→ 아름다운 꽃물로 서울과 서울사람을 담아냈다

→ 아름다운 빛살로 마을과 사람을 담아냈다

《사울 레이터의 모든 것》(사울 레이터/조동섭 옮김, 윌북, 2018) 200쪽


붉은 계통의 색을 좋아하는 드문 색감을 가졌대

→ 드물게 붉은 빛을 좋아한대

→ 드물지만 붉은 갈래를 좋아한대

《선인장은 어떻게 식물원에 왔을까?》(정병길, 철수와영희, 2018) 3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은 <월간 토마토> 2024년 3월호에 실었다


..


숲노래 우리말 / 말넋

손바닥만큼 우리말 노래 9


더 오래 살아가는 나날을 연다면, 우리 눈길을 더 곱게 다스릴 적에 서로 반가우면서 즐겁게 빛나리라. 누가 맞거나 틀리다고 가르는 눈이 아닌, 모든 사람은 서로 다르니, 이 다른 결을 새롭게 어우르도록 눈을 뜨고 배우는 하루를 그려 본다. 온누리에 꽃보라가 일렁일렁 춤출 수 있기를.



어울눈

영어 ‘gender sensitivity’를 1995년부터 쓴다고 하며, 일본에서는 ‘성인지 감수성(性認知 感受性)’으로 옮긴다고 한다. 우리는 이 일본말씨를 고스란히 받아들였다. 곰곰이 짚자면, 서로 다른 결(성별)을 알맞게 살피고 아름답게 어우르는 길을 찾자는 말씨인 만큼, 이제까지 미처 살피지 못한 “어울리는 눈”을 익히고 나누자는 마음을 담아낼 만하다. 이리하여 ‘어울 + 눈’처럼 새말을 엮어 본다. ‘아우름눈’을 뜰 수 있고, ‘서로눈뜸’이나 ‘다름눈뜸’으로 피어날 수 있다.


어울눈 (어울리다 + 눈) : 어울리는 눈. 서로 다르되 나란히 사랑으로 피어날 아름다운 이웃으로 바라보고 받아들여서 새롭게 살림빛을 가꾸는 길을 밝히려는 눈. (= 어울눈뜸·서로눈뜸·다름눈뜸·아우름눈. ← 성인지 감수성gender sensitivity·性認知 感受性)



온살

100이라는 셈을 우리말로는 ‘온’으로 센다. 우리말 ‘온’은 ‘모두’를 나타내기도 한다. ‘온누리·온나라’는 “모든 누리·모든 나라”를 가리킨다. ‘온몸·온마음’은 “모든 몸·모든 마음”을 뜻한다. 나이로 ‘온(100)’에 이를 적에는 모두 헤아리거나 보거나 느끼거나 안다고 여긴다. 더없이 참하고 어질다고 여기는 ‘온살’이요, 어느덧 ‘온살이날’이나 ‘온살림길’로 바라본다.


온살 (온 + 살) : 온(100)에 이른 나이. 오래 살아온 날. 오래 흐르거나 이은 나날. (← 백세百歲)

온살림날 (온 + 살리다 + ㅁ + 날) : 온(100)에 이르도록 살아온 나이. 오래 살아오거나 살아가는 길·날. 오래 흐르거나 이으며 누리거나 짓는 길·나날. (= 온살림길·온삶길·온살이길·온살이날·온삶날. ← 백세시대)



물보라 꽃보라 눈보라

보얗게 덮을 만큼 퍼지는 결을 ‘보라’라고 한다. 바닷가에서 흔히 보는 ‘물보라’로, 오늘날 큰고장에서 여름에 더위를 식히는 물뿜개를 가리킬 만하다. 봄날에 바람을 타면서 퍼지는 ‘꽃보라’로, 곱거나 아름답거나 눈부시게 이루거나 누리거나 짓는 삶과 살림과 길을 가리킬 만하다. 겨울에 바람을 타면서 세차거나 드센 ‘눈보라’로, 버겁거나 벅차거나 힘겹거나 고단한 길을 가리킬 수 있다.


물보라 (물 + 보라) : 1. 바람을 탄 물결이 크게 치거나 바위에 부딪힐 적에 여기저기 하얗게 날리거나 가거나 춤추거나 덮는 숱한 물방울. 2. 물결이 크게 칠 적에 여기저기 숱한 물방울이 퍼지듯, 물줄기를 하늘로 뿜어서 여기저기 숱한 물방울을 퍼뜨리는 것.


꽃보라 (꽃 + 보라) : 1. 바람을 타면서 한꺼번에 여기저기로 가득가득 날리거나 떨어지거나 춤추거나 덮는 숱한 꽃잎. 2. 사랑스럽거나 아름답거나 눈부신 일·나날·때·철·삶이 가득한 길이나 자리. 3. 즐겁거나 기쁘거나 반갑거나 기릴 만한 일이 있어서 하늘에 가득가득 뿌려서 마치 꽃잎처럼 날리거나 춤추거나 덮는 여러 빛깔 종이.


눈보라 (눈 + 보라) : 1. 바람을 타면서 한꺼번에 여기저기로 가득가득 날리거나 떨어지거나 춤추거나 덮는 숱한 눈송이나 눈가루. 2. 가까운 앞도 알아볼 수 없거나 가까운 앞조차 가로막힐 만큼, 어렵거나 힘들거나 괴롭거나 벅차거나 모질거나 사나운 일을 겪거나 맞이하거나 견디거나 이겨내면서 나아가는 길.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엠M



엠(M) : 의류 따위의 치수에서, 크기가 표준임을 표시하는 기호

엠(M/m) : [언어] 영어 알파벳의 열세 번째 자모 이름

M : 1. 엠(영어 알파벳의 열셋째 글자) 2. (특히 옷의 치수에서) 중간 치수 3. (번호와 함께 쓰여 영국의) 고속도로 4. (로마 숫자에서) 1000

エム(M) : 1. 돈 (= ゲル, お金), [어원]money 2. 남성(적 요소) (↔W) 3. 남근(男根), 음경(陰莖) 4. 지진의 규모를 나타내는 기호 5. 중형의 크기[사이즈]



우리 낱말책에 ‘엠’을 올림말로 실을 까닭이란 없습니다. 그냥 영어인걸요. 옷크기를 잴 적에는 ‘큰·가운·작은’으로 가를 노릇입니다. 어느 이름을 앞글씨만 딸 적에는 ‘M’이 아닌 ‘ㅁ’을 쓸 일입니다. ㅅㄴㄹ



지금 내가 살고 있는 동네를 처음 알려준 사람은 M이모다

→ 오늘 내가 사는 마을을 처음 알려준 사람은 ㅁ님이다

《아주 오랜만에 행복하다는 느낌》(백수린, 창비, 2022) 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