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의 독서 중독자들 사계절 만화가 열전 13
이창현 지음, 유희 그림 / 사계절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2.24.

읽었습니다 285



  낱말 하나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우리 스스로 마음이 확 바뀝니다. 한자말 ‘중독자’나 영어 ‘홀릭’이나 일본말 ‘덕후’를 쓸 때하고, 우리말 ‘즐김이·사랑이’나 ‘바보·-꾼·-님’을 쓸 적에는 확 달라요. “독서 중독자”란 뭘까요? ‘활자중독’이라는 일본말씨도 있는데, ‘글바보·글사랑’이나 ‘글꾼·글님’이나 ‘글바라기·글즐김이’라 하면 결이 확 다릅니다. 《익명의 독서 중독자들》은 억지스레 줄거리를 짜맞추어서 짐짓 부풀리려고 합니다. 이렇게 그려도 나쁘지는 않아요. 다만, 책은 남이 아닌 내가 읽어서 스스로 새기는 숨길입니다. 누구나 조용히 읽습니다. 떠들면서 읽지 못 합니다. 소리내어 읽을 수 있되, 마구마구 읽어치우지 않습니다. 책을 사랑해 본다면, 책바보로 살아 본다면, 책바라기로 하루를 누린다면, 책꽃을 피우고 책씨를 심는 오늘을 헤아린다면, 이 그림꽃은 확 달랐겠지요. 대단히 안타깝고 안쓰럽습니다. 책집에서 서서 읽다가 조용히 내려놨습니다.


ㅅㄴㄹ


《익명의 독서 중독자들》(이창현 글·유희 그림, 사계절, 2018.12.14.)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어의 집 - 불을 켜면 빵처럼 부풀고 종처럼 울리는 말들
안희연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2.20.

읽었습니다 283



  한자말 ‘단어’는 배움터부터 씁니다. 삶이라는 자리에서는 이 한자말을 쓸 일이 없습니다. 그저 ‘말’이니까요. 마음을 담아내는 소리인 ‘말’이고, 모든 말은 우리 ‘삶’을 고스란히 담습니다. 삶은 마음에 담기는데, 마음에 담긴 삶을 서로 들을 수 있도록 소리를 내기에 ‘말’이에요. 주고받는 말이라면 ‘이야기’이고, 말을 낱낱이 바라볼 적에는 ‘낱말’입니다. 《단어의 집》을 읽는데, 글쓴이는 말이 무엇인지 그다지 살피지 않는 듯싶습니다. 유난한 낱말을 쓰려 하고, 글바치로서 튀고 싶은 낱말을 어렵게 끌어들이려고 합니다. “단어의 집”은 무늬는 한글이되, 그냥 일본말씨입니다. “낱말집”이나 “말이 사는 집”이나 “낱말네 집”처럼 못 써야 할 까닭이 있을까요? 누구나 “말을 하는 사람”입니다. ‘단어생활자’처럼 써야 뭔가 있어 보이지 않습니다. ‘사람 = 사는 넋’입니다. 한자말이나 영어나 여러 바깥말을 꿰지 않고, 우리말로 마음을 밝힐 수 있기를 빕니다.


ㅅㄴㄹ


《단어의 집》(안희연, 한겨레출판, 2021.11.24.)


+


저는 단어생활자입니다라고 소개하고 싶어요

→ 저는 낱말살림꾼입니라고 말하고 싶어요

→ 저는 낱말로 산다고 얘기하고 싶어요

6쪽


이 책의 주인은 제가 아니라 말의 최소단위인 단어이기를 바라기 때문이에요

→ 이 책은 제가 아니라 말에서 밑동인 낱말이 임자이기를 바라기 때문이에요

→ 이 책은 제가 아니라 말을 이루는 낱말이 기둥이기를 바라기 때문이에요

6쪽


소망 앞에 붙은 형용사가 까다로운인 까닭을 우선 생각했다

→ 꿈 앞에 붙는 말이 까다로운 까닭부터 생각했다

→ 먼저 꿈 앞에 붙는 그림씨가 왜 까다로운지 생각했다

14쪽


소망의 크고 작음을 분별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일이라는 생각도 든다

→ 꿈이 크거나 작다고 가를 수부터 없다고도 생각한다

→ 마음이 크고 작다고 그을 수부터 없다고도 생각한다

16쪽


잔의 외형이나 크기로 인해 차별당하거나 파괴당하지 않도록

→ 그릇 모습이나 크기로 따돌리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 그릇 생김새나 크기로 내치거나 다치지 않도록

25쪽


서로의 규모를 존중하면서 살 수 있는 세상을 꿈꾼다

→ 서로 그릇을 아끼면서 살 수 있는 곳을 꿈꾼다

→ 서로 돌아보면서 살 수 있는 터전을 꿈꾼다

25쪽


그런 의미에서 시는 내가 아는 가장 간결한 형태의 다반이다

→ 그래서 노래는 내가 아는 가장 깔끔한 그릇이다

→ 그래서 노래는 나로서는 가장 단출한 잎그릇이다

32쪽


그래서 꽃이 왔을 것이다

→ 그래서 꽃이 온다

→ 그래서 꽃이 오겠지

147쪽


매 순간이 허들이다

→ 늘 갑갑하다

→ 언제나 부딪힌다

→ 노상 걸리적댄다

→ 모두 담벼락이다

25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너리 푸드 : 오늘도 초록 띵 시리즈 3
한은형 지음 / 세미콜론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2.17.

읽었습니다 282



  우리한테 우리말이 없다면 굳이 우리말을 쓸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한테 아무런 마음이 없다면 아무 말이나 읊습니다. 우리한테 우리말이 있다면, 먼먼 옛날부터 누가 이 말을 빚어서 아이들한테 두고두고 물려주어 오늘날에 이르렀는지 돌아볼 노릇입니다. 우리한테 마음이 있다면 모든 낱말을 하나하나 짚고 헤아리겠지요. 《그리너리 푸드 : 오늘도 초록》을 읽으며 ‘그리너리 푸드’가 뭔 소리인지 갸웃갸웃했습니다. 나중에 찾아보니 ‘greenery food’요, 우리말로는 ‘풀밥·푸른밥’입니다. 적잖은 이들은 우리말을 멋없거나 뜻없다고 업신여기는데요, 풀은 ‘풀’입니다. 몸을 풀고 푸른별을 품는 ‘풀’입니다. 풀을 밥살림으로 품는 사람은 언제나 스스로 모든 숨길을 풀어낼 뿐 아니라, 푸지게·푸짐하게 가꿉니다. ‘밥’이라 말하지 못 하고 ‘푸드’라는 영어를 읊는다면 얼마나 가난한가요? 풀밥을 먹지만 막상 풀이 무엇인지 안 쳐다보면다면 얼마나 허술한가요? 푸르게 밥살림을 짓기보다는 억지스레 꾸미면 얼마나 허름한가요?


ㅅㄴㄹ


《그리너리 푸드 : 오늘도 초록》(한은형, 세미콜론, 2020.5.20.)


+


이제는 당연해졌지만 어떻게 보면 이상한 일이다

→ 이제는 아무렇지 않지만 어떻게 보면 얄궂다

→ 이제는 그러려니 하지만 어떻게 보면 뜬금없다

9쪽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에서 태어났고

→ 쌀을 늘 먹는 나라에서 태어났고

→ 쌀이 온밥인 나라에서 태어났고

10쪽


한식이라는 게 직접 해보니 끼니마다 차려낼 수 있는 게 아니었다

→ 겨레밥을 해보니 끼니마다 차려낼 수 있지 않았다

→ 배달밥을 손수 지으니 끼니마다 할 수 있지 않았다

11쪽


요즘의 나는 그냥 내 식대로 한다

→ 나는 요즘 그냥 나대로 한다

→ 요즘은 그냥 내 나름대로 한다

1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상의 낱말들 - 닮은 듯 다른 우리의 이야기를 시작하는 열여섯 가지 단어
김원영.김소영.이길보라.최태규 지음 / 사계절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2.16.

읽었습니다 281



  시골에서 살기 앞서 ‘마을알림’이 이토록 시끄러울 줄 몰랐습니다. 어쩌다가 마을지기가 목소리를 내겠거니 했는데, 면사무소하고 군청에서 날마다 숱하게 온갖 자질구레한 마을알림을 똑같이 읊더군요. 저잣마실을 하러 읍내로 시골버스를 타고 나가는 길에는, 시골버스에 타는 시골 푸름이 입에서 막말이 쏟아집니다. 읍내에서는 늙수그레한 아재들 거친말이 판칩니다. 이래서 시골이 사라지겠구나 싶더군요. 시골말도 숲말도 살림말도 등진, 매캐하고 시끄럽게 쏘아대는 북새말이 넘치는 곳은 스스로 무너집니다. 《일상의 낱말들》을 곰곰이 읽었습니다. 왜 ‘오늘말’이나 ‘하루말’이나 ‘삶말’이나 ‘살림말’이 아닌, 일본말씨로 ‘일상 + -의’라 하는지 아리송하다가, 글쓴이 모두 서울(도시)이라는 북새통에서 지내기에 이렇겠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마음을 담아서 나누는 말이라면, 허울이 아닌 하늘빛으로 흐릅니다. 어린이 곁에서 밥하고 빨래하고 쓸고닦는 수수한 말씨가 그립습니다.


ㅅㄴㄹ


《일상의 낱말들》(김원영·김소영·이길보라·최태규, 사계쩔 2022.11.14.)


+


사소한 낱말들이 실은 두 팔을 치켜들고 저를 지탱해 주는 작은 기둥들의 이름임을 확인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 정작 수수한 낱말이 두 팔을 치켜들고 저를 버티어 주는 작은 기둥을 이르는 줄 알 수 있어 좋았습니다

→ 그러나 심심한 낱말이 두 팔을 치켜들고 저를 견뎌 주는 작은 기둥인 줄 알 수 있어 좋았습니다

4쪽


어린이를 친절하게 대하는 게 그리 거창한 일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 어린이한테 상냥하기가 그리 어렵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 어린이한테 따뜻하기란 그리 힘들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 어린이한테 너그럽기란 그리 엄청난 일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5쪽


사랑이 이긴다는 사실, 알고 계시죠?

→ 사랑이 이기는 줄 아시죠?

→ 사랑이 이기는데 아시죠?

7쪽


낯선 공간에 들어설 때면 누구나 긴장하게 됩니다

→ 낯선 데에 들어설 때면 누구나 두근거립니다

→ 낯선 곳에 들어설 때면 누구나 굳습니다

→ 낯선 자리에 들어설 때면 누구나 떱니다

1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기는 규장각 - 정조의 개혁 본부 조선의 싱크 탱크
손주현 지음, 김소희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3.12.14.

읽었습니다 279



  우두머리라는 자리에 선 이들이 ‘아랫사람’을 굽어살핀다고 하는 말을 으레 듣지만, 막상 살갗으로 와닿은 적이 없다. 오늘날 나라지기나 고을지기나 벼슬꾼 가운데 스스로 힘·돈·이름을 모두 내려놓고서 수수하게 살아가는 이가 몇이나 될까? 하나조차 없지 싶다. 지난날 임금과 감투꾼도 매한가지. 오늘날에는 ‘국민·민중·인민’을 읊고, 지난날에는 ‘백성’을 읊으나, 막상 예나 이제나 위아래틀이 단단하다. 《정조의 개혁 본부, 여기는 규장각》을 읽었다. 규장각 붓꾼 가운데 사람들(백성)한테 이바지할 길을 헤아린 몇몇을 살펴볼 수 있다만, 그들은 힘도 돈도 이름도 안 내려놓았다. 우리글이 태어났어도 중국글만 썼고, 임금을 섬기는 굴레였고, 사람들은 이리저리 휩쓸렸다. 규장각을 짚는 발자취는 나쁘지 않다만, 시골에서 흙집을 짓고서 수수하게 아이를 낳아 돌본 여느 어버이 발자취는 언제쯤 짚으려나? ‘그들’ 아닌 ‘우리’를 보고 얘기하고 나누어야 ‘역사’일 텐데.


ㅅㄴㄹ


《정조의 개혁 본부, 여기는 규장각》(손주현 글·김소희 그림, 책과함께어린이, 2023.7.3.)


+


《여기는 규장각》(손주현, 책과함께어린이, 2023)


나라가 부강하고 백성이 행복해질 수 있는 길을 계속해서 찾았고

→ 나라가 세고 사람들이 즐거울 수 있는 길을 꾸준하게 찾았고

→ 힘나라에서 누구나 아늑할 수 있는 길을 잇달아 찾았고

5쪽


하늘 아래 어떤 것도 완전 처음인 것은 없습니다

→ 이 하늘에 무엇도 아주 처음은 없습니다

→ 온하늘에 어느 하나도 아주 처음이 아닙니다

6쪽


정확히 정중앙입니다, 전하!

→ 한복판입니다, 임금님!

→ 한가운데입니다, 임금님!

20쪽


군자란 자고로 돈을 돌 보듯 하고 늘 검소하고 소박하게 살아야 하거늘

→ 어진이는 곧 돈을 돌 보듯 하고 늘 단출하고 수수하게 살아야 하거늘

→ 곧은이는 무릇 돈을 돌 보듯 하고 늘 아끼고 조촐하게 살아야 하거늘

8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