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2023.7.29.

나는 말꽃이다 144 중립기어 (‘주호민 갑질’을 보면서)



  어느 때부터인가 ‘중립’도 아닌 ‘중립기어’란 말씨가 퍼졌습니다. 쇳덩이(자동차)를 안 모는 사람은 알아들을 길 없는 이런 말씨를 아무렇지 않게 쓰는 마음이란, 막상 가운데(중립)에 서려는 뜻이 아니라고 느낍니다. 왼쪽이 옳거나 오른쪽이 그를 수 없습니다. 가운데는 낫지도 나쁘지도 않습니다. 그저 다른 자리입니다. 아기가 뜨거운 국이나 불에 손을 대려 해도 지켜보면서 ‘중립기어’를 박는가요? 덩치 큰 아이가 어린 동생 뺨을 때리고 응큼질(성추행)을 어른 눈앞에서 일삼는데 그저 바라보며 ‘중립기어’인지요? ‘민주주의 = 대화 + 타협’입니다. ‘중립기어’가 아닌 ‘이야기’를 하면서, 서로 마음을 나누고 생각을 펴서, 어질게 일을 풀고 맺으라는 뜻입니다. 하나하나 짚고 차근차근 보면서, 알맞게 살리고 따끔하게 치울 곳을 살펴야 ‘어른·어버이’입니다. 오늘날 ‘중립기어 = 팬덤·방관’이지 싶습니다. 팔짱을 끼고 불구경을 하는 몸짓이 ‘중립기어·팬덤·방관’입니다. 왜 ‘박근혜 탄핵·퇴진’을 했나요? ‘선택적 진보’로 기우는 ‘중립기어’라면 스스로 망가집니다. 낱말책은 ‘중립(중립기어)’을 안 합니다. 끝까지 파헤쳐서 낱말풀이를 제대로 하고 보기글을 붙입니다. 두루뭉술하다면 낱말책이 아닙니다.


+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인 해남·고흥에 ‘포스코 대형 핵발전소·화력발전소’를 몰래 밀어붙이는 일에 ‘중립기어’를 박지 않았다. 이런 막삽질에 이어, ‘고흥만 매립지’에 ‘무인군사드록시험장’을 고흥군수를 비롯한 군부대가 밀어붙일 적에도 ‘중립기어’를 박지 않았다.


우리는 ‘중립·중립기어’란 이름을 내세우면서, 우리가 스스로 어른스럽게 해야 할 일을 팽개치거나 팔짱을 끼거나 등돌리지 않는가?


‘글을 쓰는 사람’이나 ‘말을 하는 사람’이라면 ‘중립기어’가 아닌, 스스로 여태까지 살아오면서 겪고 느끼고 배운 가장 어질면서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길로 ‘풀이’를 할 노릇이다. 낱말책을 여미는 사람이 낱말풀이를 하면서 엉뚱하게 ‘중립기어’를 박는다면, 돌림풀이(순환정의)·겹말풀이(중복표현)라는 덫에 갇힌다.


우리는 우리한테 일어나는 모든 일을 ‘중립기어(팬덤·방관)’가 아니라 ‘생각(가치판단)’을 해서 ‘길찾기(해결)’를 할 노릇이다. 길찾기는 오래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아예 길찾기(해결)를 할 마음이 없이 생각(가치판단)부터 안 한다면(중립기어), 이런 나라에서는 사람들 스스로 철을 잊고 잃는 굴레에 스스로 갇힌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주호민 씨가 이녁 아이를 어질게 가르치고 이끌지 않는 일이야말로 ‘아동학대’이다. 아이가 배울 삶과 살림과 사랑을 안 가르치고 안 이끄는 모든 어버이는 ‘아동학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43 견주지 않는다



  어릴 적에 그토록 앓으며 자랐습니다. 우리 어버이랑 언니랑 이웃 아저씨 아줌마랑, 마을 또래에 언니 모두 ‘견주기’에 바빴거든요. “쟤는 저렇게 하는데”나 “넌 이렇게 못 하는데”나 “쟤는 저렇게 튼튼한데”나 “넌 툭하면 앓는데” 같은 말이 춤추었어요. 아픈 자리는 아물고, 앓은 다음에는 나아요. 넘어져서 긁히거나 찢어져도 멍이 들고 딱지가 앉다가도 아물지요. 몸앓이를 크게 하며 삶죽음 사이를 헤매다가도 어느 날 씻은 듯이 훌훌 털고 일어나면서 개운해요. 이러다가 차츰 아프거나 앓는 일이 줄어들더군요. 아예 안 아프거나 안 앓지 않습니다만, “남하고 나를 견주기”를 할 적에 속에서 뜨겁게 끓으면서 괴롭고, “참다이 밝은 속빛인 나를 바라보기”를 할 적에는 고요하면서 즐겁고 가벼워요. ‘나늙아죽(나고 늙고 아프고 죽고)’을 가리킨다는 ‘생로병사’는 저마다 스스로 참빛(참된 나)을 등진 탓에 불거지지 싶어요. 스스로 즐겁게 지을 하루를 느끼고 바라본다면 ‘삶’이 있을 뿐이지 싶습니다. 남하고 견줄 적에 쓰는 서울말(표준말)이라면, 삶을 짓는 나를 스스로 바라보기에 쓰는 시골말(사투리)라고 느낍니다. “시골말·사투리 = 삶말”인 얼개인데, 사랑으로 삶말을 갈무리하면 ‘숲말’로 나아갈 테고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42 다른사람



  저는 ‘다른사람(타인·외부인)’이 글을 어떻게 쓰는지 궁금하지 않습니다. 한 가지만 합니다. 이웃(다른사람)이 글을 썼다면, 이웃님이 쓴 글을 가만가만 읽고 곱새기면서 ‘이웃님은 어떤 삶으로 하루살림을 짓는 길에 이 글을 썼을까?’ 하고 두고두고 헤아리다가 ‘나는 스스로 오늘 어떤 눈빛으로 하루살림을 짓다가 이 글을 읽는가?’ 하고 하나하나 짚고서 느낌을 밝힙니다. 낱말풀이를 할 적에는 ‘사전적 정의’를 하려고 들지 않습니다. 어느 낱말이건 ‘이 낱말이 처음 태어난 삶자리’를 그리고, ‘이 낱말을 먼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이 어떤 삶을 바탕으로 어떤 눈길로 바라보면서 썼는가’를 생각합니다. ‘다른사람’은 ‘내’가 아니기에 나처럼 바라보지 않고 나처럼 말하지 않고 나처럼 생각하지 않습니다. 모든 낱말은 그야말로 모두 다르게 마련이라, ‘다 다른 낱말에 서린 다 다른 숨결’을 읽어내려 할 적에 비로소 뜻풀이를 ‘다 다른 낱말결을 살려서 할 수 있’습니다. 낱말풀이를 하려면, 먼저 ‘나랑 네가 다르다’를 온삶으로 익혀서 알아야 한달까요? 모든 사람이 다 다르듯, 모든 낱말이 다 다르니, 어느 낱말이건 다 다른 삶이 흐르는 다 다른 결을 읽고 헤아리고 녹일 적에 문득 실마리를 엽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41 감정표현



  요즈음 어린배움터(초등학교)부터 ‘감정표현’을 가르칩니다. 무엇이든 가르칠 만하지만, ‘감정표현’이란 일본말이 아닌, ‘느낌·마음’이란 우리말을 쓰면서, 이 느낌하고 마음을 ‘생각’하도록 북돋울 적에 비로소 어린이 스스로 즐거우면서 새롭게 빛나게 마련입니다. 또랑또랑 빛나는 아이를 지켜보는 어른도 언제나 새삼스레 빛나지요. 어린이 스스로 보고 겪고 맞이하는 모든 삶을 ‘느끼’면서 ‘마음에 담는’ 동안에 이 삶이 무엇인가 하고 ‘생각’하기에 비로소 스스로 알아차립니다. ‘느낌과 마음(감정표현)’만으로는 이 얼거리에서 맴돕니다. 느끼는 마음을 바라보면서 스스로 알아가기에 ‘배움’이고, 배우기에 ‘생각날개’를 폅니다. ‘맛있다 맛없다’를 느끼기만 해서는 남이 해주는 데에서 그쳐요. ‘좋다 싫다’나 ‘반갑다 밉다’를 느끼기만 한다면 남을 구경하는 자리에 머뭅니다. 나한테는 어떤 맛인가 느끼고 왜 이러한 맛인가 생각하기에 슬기(스스로 알며 다루는 빛)라는 길로 나아가요. 나는 왜 좋거나 싫다고 느끼는가 하고 바라보고 돌아보며(생각) 차근차근 철이 들고, 나·너·우리라는 삶을 헤아리는 ‘철(깨친 빛)’을 맞아들이며 어른으로 성큼 한 발을 디딥니다. ‘말하기 = 마음을 생각하여 펴기’예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40 어버이



  가시냇길(페미니즘)을 밝히는 분이 ‘모부(母父)’라는 한자말을 써서 한동안 어리둥절한 적 있습니다. 낱말책에 없는 이 한자말을 왜 쓰는가 했더니 ‘부모(父母)’란 한자말은 사내(아버지)가 앞에 나오기에 뒤집은 셈이더군요. 오랫동안 사내가 가시내를 억누르고 괴롭히고 들볶고 따돌린 발자취를 알기에 ‘부모’를 버리고 ‘모부’를 쓰는 마음은 넉넉히 헤아릴 만합니다만, 우리말을 사랑하면 어깨동무(성평등)를 훨씬 눈부시게 이룰 만합니다. 오랜 우리말은 ‘어버이’입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른일 적에만 쓰는 ‘어버이’요 ‘어머니 + 아버지’ 얼개입니다. 우리말은 늘 가시내(어머니)를 앞세웁니다. 우리말을 쓰면 가시냇길도 어깨동무도 매우 쉽습니다. 아이들은 으레 ‘엄마아빠’라 해요. 아직 낱말책에 없어도 ‘엄마아빠’랑 ‘아빠엄마’는 그야말로 온나라 사람들이 늘 쓰는 낱말입니다. 때로는 ‘엄마아빠’로, 때로는 ‘아빠엄마’로, 즐겁게 두 어버이를 이야기하면서 우리 살림살이를 새롭게 가꾸기를 바라요. 살림을 짓는 자리에서 쓰는 우리말은 하나부터 열까지 어깨동무(평등)입니다. 오랜 우리말은 누가 누구를 억누르거나 괴롭히거나 들볶거나 따돌리지 않는, 서로 손잡고 돌보는 길을 다같이 수수하게 담았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