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덫 2024.5.8.물.



‘길든 사람’한테 왜 길들었느냐 따진들 부질없어. ‘물든 사람’한테 왜 물들었느냐 나무란들 덧없어. ‘잘못하는 사람’한테 왜 잘못하느냐 다그친들 쓸데없어. 그러면 무엇을 해야 할까? ‘길든 사람’한테는 ‘길’을 알려주면 돼. ‘물든 사람’한테는 ‘빛’을 얘기하면 돼. ‘잘못하는 사람’한테는 ‘일’을 맡기면 돼. 길을 모르기에 길든 채 쳇바퀴야. 물든 줄 모르거나 잊었으니, 어떻게 빛나야 하는가 못 찾아. 일을 하거나 짓는 마음을 안 세웠으니 늘 뒤죽박죽이면서 오락가락하지. 누구나 언제나 움직이는 삶이야. 움직이니까 어디로든 가면서 닿는데, 길을 안 그리고서 집밖으로 나서니까 아무 데나 닿겠지. 길을 안 그릴 적에는 집에서도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몰라. 누가 빠지기를 바라며 덫을 놓는다고 하는데, 누가 덫에 빠지겠니? 길을 그리는 사람은 “덫이 있는 줄 몰라”도 안 빠져. 길을 안 그리는 사람은 “덫이 있는 줄 알아”도 빠져. 빛을 품으면서 밝히는 사람은 “덫이 있는 줄 몰라”도 덫을 녹여서 없애지. 빛을 잊다가 잃고서 물든 사람은 “덫이 있는 줄 알아”서, 덫을 더 늘려서 남들도 빠지기를 바라지. 일을 하거나 짓는 사람은 “덫이 있거나 말거나” 아랑곳하지 않아. 일을 안 하면서 잘못을 일삼는 사람은 “덫을 탓하면서 사로잡힌 채 고여서 썩어가”지. ‘길·빛·일’을 찾아나서면서 하루를 돌보기에 사람이야. “길들고 물들고 잘못하는” 고리에 스스로 묶여서 꼼짝을 안 하니 죽음이야. 목숨만 붙을 적에는 삶하고 멀어. 길을 찾고 빛을 틔우고 일을 지어야 삶이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평소 2024.5.7.불.



누구나 뭐 새롭구나 싶은 이야기를 먼곳에서 찾고 싶어한다고 여기는데, 집에서 즐겁게 지내지 못 하는 마음이라서 ‘밖’으로 눈을 돌리면서 “더 멀고 크고 붐비는” 곳에 가 보려고 한단다. 밖에서 이야기를 찾으려는 사람들은 으레 “밖에서도 마음에 차는 이야기를 못 느끼고 못 찾”아. 자꾸자꾸 떠돌고 맴돌지. 그야말로 아주 멀리까지 와서도 헤매다가 지친 나머지 집으로 돌아오는데, 허름하고 작고 수수해 보이는 자리에서 뒤늦게 ‘이야기’를 깨닫고 ‘새빛’을 알아본단다. 다만, 밖이나 길에서 떠돌다가 죽는 사람은 ‘이야기’와 ‘새빛’을 못 보고 못 찾은 채 죽고 말기에, 이다음에 이 쳇바퀴를 되풀이한단다. 집으로 돌아왔는데 ‘집이야기’‘집살림·집빛’을 못 느끼고 못 알아볼 적에도 슬픈 굴레에 갇혀서 늙어죽어. 모름지기 이야기도 새빛도 사랑도 살림도 꿈도 바로 네가 태어난 자리에서 아주 눈부시단다. 또한 네가 옮겨가서 ‘다시 연’ 집도 아주 눈부셔. 너는 “태어나서 자란 곳”이건 “떠나서 자리잡은 곳”이건 스스로 마음을 붙일 적에 반짝거려. “어느 엄청난 곳”이란 따로 없어. 네가 ‘마음씨’를 가꾸는 곳이 네가 살아갈 집이고 이야기이고 빛이란다. ‘마음’은 누구나 몸을 입고서 태어날 적에 생기는데, ‘마음씨’로 가꾸겠는지 ‘마음밭’으로 일구겠는지 ‘마음밥’으로 삼겠는지 ‘마음꽃’을 피우겠는지, 네가 스스로 고른단다. 늘(평소) 너한테서 솟아나는 말이고 마음이고 이야기에 빛인걸. 네가 스스로 바라보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서면 돼. 날마다 새로 사랑하고, 어느 곳에서나 다시 사랑하고, 아침저녁으로 즐겁게 사랑하면 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학교생활 2024.5.2.나무.



나무만 심는다고 해서 길이나 마을이 푸르지 않아. 애써 심은 나무를 안 쳐다보면 무슨 보람이겠니. 나무를 안거나 쓰다듬을 수 없어도 부질없어. 나무는 심었으나 부릉부릉 매캐하다면, 나무를 그저 괴롭히는 짓이고, 사람 스스로 죽음길을 치닫는 셈이야. “나무를 심었다” 하고 말하려면, 나무가 자라서 나무씨를 떨구어 어린나무가 새로 자랄 수 있어야 한단다. 큰집을 세우고 길잡이를 두고 책을 꽂기에 배움터(학교)이지 않아. 배움터에 보내기에 ‘배움살림(학교생활)’이라고 여기지 않아. 하루를 다니건, 몇 해를 다니건, 아예 안 다니건, 스스로 눈코귀입을 틔우면서 마음을 열고 온누리를 담아내는 길일 적에 ‘배움살림’이란다. ‘배웠다’거나 ‘학교를 다녔다’고 말은 하지만, 매무새(기본예절)가 덜되거나 엉터리인 사람이 수두룩하구나. 책을 읽거나, 영화·유튜브를 보았어도 ‘읽고 새겨서 익히’지 않는다면, 허울이나 탈이나 겉치레로 그쳐서 수렁에 잠긴단다. 어디를 다닌다면 ‘다닐’ 뿐이야. ‘배움길’은 어느 곳에서만 가지 않거든. 네가 살아가는 모든 곳이 배움터야. 네가 만나는 모든 사람이 배움동무야. 네가 이야기를 듣는 모든 사람이 배움길잡이란다. 네가 맞이하는 모든 날이 배움날이지. 네 마음에 피어나는 모든 생각은 배움꽃이야. 네가 읽는 모든 글과 모습과 빛은 배움책이란다. 집에서 즐겁게 배우고, 들숲바다에서 푸르게 배우고, 나들이를 하면서 새록새록 배우고, 밥을 차리고 나누면서 오붓하게 배우기를 바라. 배우기에 자라. 자라기에 튼튼해. 튼튼하니까 살아가지. 살아가면서, 문득 사랑을 본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봉우리 2024.5.3.쇠.



나무줄기에 비닐끈을 동여매어 걸개천을 붙이는 사람이 많구나. 나무가 몸이 조여서 아픈 줄 모를 뿐 아니라, 나무한테 다가가서 마음을 나눌 줄 모르는 탓이야. 네 손목이나 배나 목을 비닐끈으로 조인다고 생각해 보렴. 견딜 수 있겠어? 숨막히겠지? 나무도 비닐끈 탓에 숨막힌단다. 숨막히는 나무는 푸른바람을 일으키기 힘들어. 쓰러지거나 무너질 판이야. 높게 솟은 봉우리는, 밑자락부터 풀과 나무로 둘러. 조이거나 묶거나 매이지 않은 풀과 나무가 어우러진 봉우리와 멧자락이기에 ‘숲’을 이루고, 이 멧숲은 온목숨이 싱그럽고 기쁘게 살아가는 터전이란다. 예부터 사람은 “호젓한 숲”과 “이 호젓한 숲을 품은 봉우리”한테 폭 안겨서 살아왔어. 호젓한 멧숲자락에서 살림을 여미고 하루를 누리기에, 사랑을 느끼고 나누면서 마음씨를 달래고 가꾸지. 마음씨가 퍼지면서 생각이 자라고, 생각은 어느새 꿈으로 뻗고, 이 꿈은 새삼스레 삶으로 드러난단다. 먼곳을 바라볼 적에는 봉우리(멧봉우리)인데, 곁을 살펴볼 적에는 봉오리(꽃봉오리)야. 부드럽게 자라다가 어느 날 곧고 반듯하게 서고 솟는 봉오리이지. 꽃잎은 봉긋하게 솟아나면서 둘레를 밝혀. 꽃빛(꽃봉오리빛)은 네가 늘 삶터에서 스스로 밝게 반짝이는 하루인 줄 알아보라고 알린단다. 그러니까, 보면 돼. 봉우리를 보고, 봉오리를 보렴. 마음에 꽃봉오리를 품고 멧봉우리를 품으렴. 풀과 나무가 우거진 멧숲에서 솟은 샘은 어느덧 물줄기를 이루어 들을 적시는구나. 들을 가르는 물줄기는 곧 바다로 이어가서 숱한 이야기씨앗을 흩뿌리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탈락 2024.5.4.흙.



가랑잎이 가지를 놓고서 땅한테 폭 안길 적에 ‘떨어지다’라고 하는구나. 빗방울이 하나둘 들을 적에 하늘에서 ‘떨어지다’라고 하지. 위나 높은 데에 있다가 밑이나 바닥으로 가면 ‘떨어지다’로 여겨. 위에 있기에 나아서 ‘떨어지다’라고 할까? 밑이나 바닥으로 가면 나빠서 ‘떨어지다’라고 할까? 곰곰이 볼 수 있다면 ‘떨어지다·떨구다’는 ‘땅’하고 맞닿거나 만나려고 쉬는 길이야. 어느 곳이든 ‘곳’이란다. 제아무리 높아도 해나 별에 대면 “땅바닥하고 마찬가지”란다. 그리고, 물은 늘 새롭게 흐르려고 먼저 바닥을 치고서 높이 솟고는, 다시 신나게 곤두박을 치는데, 고요하던 물이 물결을 치면, 바로 이때에 노래가 생겨나. 바닥치고 솟고 떨어지고 오르는 길을 흐르면서 숨결이 새롭게 노래가 태어나. 나무가 가지에 매달던 잎을 놓기에, 나무는 속으로 테(나이테)를 늘리면서 자라고, 이때에 노래도 자라지. 자라려 하기에 오르내려. 자라고 싶기에 붙다가 떨어져. 자라는 동안에 떨구고, 울기에 웃는 길을 스스로 찾아내. 눈앞에 있는 일을 어떻게 보려는지 헤아리렴. 코앞에 닥친 일이라서 “발등에 떨어진 불”일까? ‘때(시간)’란 따로 없는 줄 아니? 네가 ‘때·곳’이 따로 없는 줄 알면서 ‘나·너’가 있으면서 모든 일이 새롭게 흐르면서 이야기를 이루는 줄 제대로 바라본다면, ‘떨어진’ 잎은 새롭게 내딛는 첫발이로구나 하고 배우겠지. 기쁘게 맞이하고 반갑게 품고서 새록새록 돌아보기를 바라. 곤두박춤을 누리는 제비를 그려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