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산상수훈 2024.2.3.흙.



풀잎을 쓰다듬으면 풀빛으로 물들어. 물살에 손을 담그면 물빛으로 번져. 바람을 만지면 바람빛이 스며. 햇빛을 보니 햇내음이 스며들어. 스스로 짓고 일구고 가꾸던 사람은, 먹고 입고 자는 살림도 스스로 지었고, 마음을 나누는 말도 스스로 지었어. 스스로 일으키는 사랑도 스스로 짓고, 생각도 꿈도 이야기도 스스로 짓지. 스스로 지은 사람들은 “숲을 품은 멧자락을 품는 살림”이야. 멧골이 멧골이려면, 풀이 돋고 나무가 우거져야 한단다. 바위만 휑뎅그렁한 곳은 멧골이 아닌 ‘돌무덤’이라고 여겨야겠지. 돌무덤에서는 돌조차 비바람에 깎이고 햇볕에 닳고 낡아. 풀꽃나무가 자라는 곳이기에 비바람이 돌보고 햇볕이 어루만져. 모든 흙도 모래도 처음에는 돌이나 바위였을 테지만, 더 앞서는 풀이나 나무였고, 새나 벌레나 짐승이었어. 몸이 스러지면서 새롭게 뭇숨결을 살리는 밑거름이자 바탕인 흙과 모래로 거듭나. 멧숲은 바로 이 흙과 모래가 아름다우면서 넉넉한 터전이지. 스스로 지으면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는 멧숲이야말로 아늑한 보금자리에 즐거운 둥지인 줄 알았어. 그렇기에 “새로 깨어난 그사람”은 멧숲에서 말씀을 폈어. 가르침과 배움은 멧숲에서 샘물처럼 솟아서 흘렀어.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들은 멧숲이라는 터전을 고이 품으면서 푸르게 빛나는 길을 익히고 나누고 폈단다. “길을 잊거나 잃었”다면 멧숲으로 갈 일이야. 서울에는 길이 없어. 서울은 “길인 척하는 굴레”가 가득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세뱃돈 2024.2.4.해.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이라는 설날이면, 아이들은 웃어른을 찾아다니면서 절을 했어. 지난해를 되새기고 새해를 그리는 마음을 여러 말씀으로 듣고서 절값을 받기도 해. 절값이란, 아이들이 스스로 한 해를 새롭게 그리면서 어질게 길을 펴러 할 적에 밑자락으로 삼으라는 돈이지. 요즈음은 다를 수 있지만, 예전에는 아이들이 돈을 얻거나 누릴 일이 드물거나 없어. 절값을 받고서 주전부리로 몽땅 쓰는 아이도 있지만, 그동안 주린 배를 한동안 채우는 일도 좋겠지. 어느 아이는 절값을 푼푼이 모아서 목돈을 이룰 테고, 집살림에 보탠다든지, 동무나 이웃을 바라지하는 자리에 쓰기도 해. 절값을 내어주는 어른들은 한 해 동안 아이들을 눈여겨보았어. 새해 새절을 받으며 다시 한 해 동안 가만히 지켜본단다. 아이마다 무엇을 잘하거나 못하는가를 지켜보거나 가리지 않아. 아이마다 어떻게 다른가 지켜보면서, 이 아이들이 마음을 쓰는 길을 말없이 바라본단다. 누가 짚거나 따지기에 곧장 알아차리면서 받아들이거나 바꾸는 아이가 있어. 누가 짚으면 불뚝거리거나 싫어하는 아이가 있어. 스스로 하루를 그리면서 배우는 아이는, 어떤 말도 귀여겨들으면서 스스로 살찌워. 어떤 말도 귓등으로 넘기는 아이는, 하루그림이 없으면서 눈치를 참 많이 본단다. ‘절’이란, 온몸을 접으면서 올리는 마음이야. 온마음이 아닌, 겉으로 돈만 바라는 굽신질은, 아이 스스로 제 길을 갉는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뺄셈 2024.1.27.흙.



나이를 먹을 적에는 목숨이 줄지 않아. “살아갈 날”이 줄어든다고 여긴다면, 하루를 그리는 마음이 없다는 뜻일 테지. 날마다 새로 맞이하는 하루를 그리는 마음이라면, 늘 “살아갈 날”을 스스로 품으니, “목숨이 줄어드는 몸”이 아닌, “목숨에 담는 하루”가 늘어난단다. 새로 태어난 아기는 “태어난 날부터 목숨이 줄어드는 수렁”이 아닌, “태어난 날부터 숨소리를 이어서 삶을 누리는 길에 늘어나는 빛”을 누린단다. 그렇지만 적잖은 사람들은 나이를 먹을 적마다 ‘뺄셈’이라 여기는구나. 무엇을 빼려는 마음일까? 스스로 목숨을 빼며 즐거울까? 살을 빼야 몸이 가볍지 않아. 살을 빼려는 사람은 목숨을 뺀다는 마음하고 같아. 군살을 빼려 하지 말고, 이제부터 어떤 새몸으로 바꾸어 가려는지 그리면 돼. 나아갈 새몸을 그리기에, “스스로 그린 새몸”으로 바꾸지. 누가 바꾸느냐고? 스스로 바꿔. 마음에 꿈을 심은 스스로 꿈길을 걷는단다. 꿈을 그리지 않는 사람은 ‘나이먹기’를 하면서 늙으니까, 몸 곳곳이 다 낡아. 꿈을 그리는 사람은 ‘삶을 누리면서 살림을 익히기’를 하면서 생각을 지으니까, 몸이 온통 새롭게 깨어나. 나쁘거나 거추장스럽거나 무겁기에 빼내지 않아. 쓸 일이 없다고 여기기에 ‘쓸 살림’을 챙길 뿐이야. 무엇을 곁에 두거나 속으로 품으면서 어떤 하루를 보낼 마음인지 생각하렴. 네가 짓는 생각은 네 마음을 빛내고, 빛나는 마음이 물결치면서 밝고 가벼이 움직이는 몸을 누린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새기는 2024.1.28.해.



스스로 하는 말은 스스로 새기는 앞길이야. 네가 스스로 입을 거쳐 소리를 낸 그대로, 네가 앞으로 맞이할 길이 나타나고, 네가 오늘까지 걸은 길이 바뀌어. 스스로 머리에 띄우는 그림은 네가 이루거나 일구는 모습이야. 어떤 모습이든 네가 띄우는 대로 나타난단다. 미움도 네가 그려내어 짓지. 사랑도 네가 그려내어 샘솟아. 몽글몽글 일어나려는 ‘생각’이야. 그대로 이어가려는 ‘새김·새기다’야. 아침마다 마음에 무엇을 새기는지 헤아려 봐. 낮 내내 마음에 무슨 생각이 흐르는지 살펴봐. 저녁에 마음에 담은 그림을 떠올려 봐. 온하루에 흐른 말을 지켜보면서, 남이 아닌 나 스스로 마음을 어떻게 다루거나 폈는지 느껴 봐. 네 삶은 네 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난 자취야. 네 마음은 네 삶을 스스로 새긴 무늬야. 좋거나 나쁘지 않아. 옳거나 틀리지 않아. 맞거나 어긋나지 않아. 온통 배울거리야. 무엇을 그렸건, 무엇을 했건, 무엇을 보고 느끼고 담았건, 이 모든 그림과 하루를 다시 생각하고 새기기에 ‘바뀌’거나 ‘새로울’ 수 있어. 잎이 새로 돋고, 잎이 새숨을 불어넣어. 어느새 일을 이루고, 어느틈에 이야기가 흘러. 어느덧 지나가고, 생생하게 나타나서 새록새록 돌아볼 수 있어. 네 앞에 생겨나는 모든 일이란, 네가 스스로 새긴 마음이요, 이리하여 마음에서 싹트는 생각이 문득 삶으로 드러난다는 얼거리를 읽는다면, 처음부터 아무 말이나 안 하겠지. 이제부터 새롭게 말을 할 테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할머니한테 2022.11.6.해.



누구나 처음부터 어머니나 할머니가 되지 않아. 처음부터 누나나 언니나 동생이 되지도 않아. 처음부터 아버지나 할아버지인 사람은 없어. 이러한 자리는 나이가 차야 되지는 않지. 이러한 자리는 어떤 삶일는지 궁금해하는 마음이 서야 하고, 이러한 자리로 가는 길에 늘 새롭게 배우며 기뻐하는 마음이어야 해. 나이는 들었으나 누나·언니·오빠답지 않은 사람이 있지. 아이는 낳았어도 어머니·아버지답지 않은 사람이 있어. 낳거나 돌본 아이가 자라 어버이로서 아이를 낳는데 할머니·할아버지답지 않은 사람이 있지. 어느 자리이건 높지도 낮지도 않아. 그저 그 자리일 뿐이야. 낫거나 나쁜 자리가 아니지. 저마다 다르게 느끼고 보고 배우면서 자라나는 자리란다. 할머니는 슬기로우면서 상냥히 살림하는 자리야. 묻기는 하지만 따지지 않는 자리야. 시키지 않으나 맡길 줄 아는 자리야. 서두르지 않지만 미루지 않는 자리이지. 아이는 할머니 곁에 있으면서 “들숲바다를 읽고 느끼며 가꾸는 눈”을 배워. 할머니는 아이 곁에 있으면서 “들숲바다랑 얘기하고 배우는 마음”을 맞아들여. 그런데 요즘은 어떨까? 요즘 아이들은 할머니 곁에서 무엇을 듣거나 보니? 요즘 할머니는 아이 곁에서 무엇을 하니? 요즈음 아이들도 할머니도 눈빛이 흐리고 말씨가 바래고 몸짓이 엉성하더구나. 슬기로운 빛을 더하면서 상냥히 나누는 넋은 사라져가네. 슬기로운 빛을 넉넉히 보고 느끼고 배우려는 넋도 사라져가는구나. 할머니다운 할머니가 사라지고, 나이들어 늙은 사람만 늘어간다면, 이 땅에서 새로 태어나서 자랄 아이도 사라지겠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