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떠드는 입 2024.6.10.달.



“말하는 입”이라면, “마음을 잇는 길”이야. “떠드는 입”이라면, “떠벌이면서 자랑하는 굴레”이지. “말하는 입”이기에 “듣는 귀”가 있어. “떠드는 입”이기에 “귀를 닫”는단다. 곰곰이 보면, “잇는 길”이어야 할 ‘입’이야. 벌리기는 했어도 안 이을 적에는 ‘입’이라고 여길 수 없어. 쏟아내기만 하는데 무엇을 잇겠어? 쏟고 퍼붓는 곳은 둘레를 어지럽히거나 망가뜨리지. 숨을 마시고 내놓듯, 밥을 먹고서 내보내듯, 귀로 받아들이고 눈으로 바라보는 마음이 있을 적에 “입으로 말을 들려주면서 드나들고 잇”는단다. 그러니까 “듣는 귀”하고 “보는 눈”이 없이 “떠드는 입”이라고 한다면, “숨을 뱉기만 한다”는 뜻인데, “마신 숨”이 없이 무엇을 내놓을까? “떠드는 입 = 죽은 무더기(무덤) = 죽이는 화살·칼”인 셈이야. “말하는 입 = 살아가는 길 = 살리는 빛·노래”인 셈이고. 요즈음은 ‘소리시늉’을 많이 하던데, ‘말하기’는 ‘소리내기’일 수 없어. 마음이 없이 소리만 낼 적에는 ‘말’이 아닌걸. 마음이 없이 줄줄이 적을 적에는 ‘글’이라고 여길 수 없어. “마음을 담은 빛·노래”인 ‘말’을 담아야 ‘글’이야. 그저 ‘글시늉’을 해본들 그저 ‘시늉’이란다. 겉으로만 보이니 ‘시늉’이고 ‘떠든다’고 하겠지. 알맹이가 없이 허울만 커다랗기에 ‘흉내’이고 ‘시끄럽다’고 느끼지. 네가 몸에 ‘입’이 있다면, “잇는 마음길”로 다스리기를 바라. 혼자 떠들지 마. ‘말’을 들려준 만큼 입을 닫고서 귀와 눈을 열 노릇이야. 눈코귀입을 고르게 펼 적에 ‘몸짓’이요, 살림이고, 사람으로서 살아가는 길이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돌보지 않는 2024.5.19.해.



사람이 “숲을 돌본다”고 할 적에는 ‘손보다·손대다’가 아니야. ‘돌아보다’가 ‘돌보다’야. 어른이나 어버이가 “아이를 돌본다”고 할 적에도 같아. 아이한테 손을 대거나 손을 잡아끌 적에는 ‘아이돌봄’일 수 없어. 아이를 “돌아보는 눈빛을 밝히”기에 ‘돌봄(돌아봄)’이라 할 테지. 동무처럼 보고, 도우면서 보고, 동글동글 보고, 도란도란 얘기하며 보고, 두루 헤아리는 마음으로 볼 때라야 ‘돌봄(돌아봄)’이란다. 이끌 적에는 ‘이끌다’이지. 잡아끄니까 ‘잡아끌다’이고, 가르치니까 ‘가르치다’이고, 길들이니까 ‘길들이다’이고, 들볶거나 다그치거나 억누르거나 때리니까 ‘들볶다’에 ‘다그치다’에 ‘억누르다’에 ‘때리다’란다. ‘돌보’지 않으면서 ‘돌봄(육아)’이라는 이름을 허울처럼 붙이는 사람이 아직 많구나. 네가 어릴 적에 네 둘레에서 너를 돌보지 않은 탓에, 너는 네가 어른이나 어버이로 선 오늘 그만 ‘돌봄길’을 모르니? 누가 너를 돌보지 않았으면 넌 이미 죽었어. ‘어른인 사람’만 널 돌보지 않아. 해가 돌본단다. 별이 돌보고, 바람이 돌보고, 비가 돌보고, 땅이 돌보고, 바다가 돌봐. 풀꽃이 돌보고, 나무가 돌보고, 새가 돌보지. 파리모기도 널 돌보고, 개구리와 풀벌레도 돌봐. 쌀과 밀과 달걀도 널 돌봐. 네가 먹을 수 있는 밥이 널 돌보고, 네가 못 먹는 밥도 널 돌봐. 너는 온누리 하늘빛이 돌보는 숨결을 늘 받아들이기에 몸을 이루고 마음을 편단다. 그러니 스스로 생각해 보렴. 넌 이미 ‘돌봄길’이 무엇인지 여태 끝없이 배웠단다. 이제 제대로 눈을 뜨고서 둘레를 다 돌아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살림하는 2024.5.18.흙.



살리니까 살고, 죽이니까 죽어. 펑펑 쏘고 꽝꽝 터뜨리고 팍팍 밟으니 죽겠지. 살살 북돋우고 슬슬 돌보고 가만히 기다리면 살아나. 사람도 뭇목숨도 ‘목’으로 ‘숨’을 이어. 다만 ‘목’이라는 모습은 모두 다르지. ‘목’이란 안과 밖을 잇는 길이야. 바깥것이 안쪽으로 들어올 적마다 거치고, 안엣것이 바깥쪽으로 나갈 적마다 거쳐. 안쪽으로 들어올 적에는 속에서 품고 살아날 만하게 숨을 담아. 바깥쪽으로 내놓을 적에는 밖에서 받아들여 풀어낼 만하게 숨을 실어. 사람과 풀꽃나무는 들숨과 날숨이 서로 다르기에 어울려. 사람과 뭇목숨도 ‘암수’가 서로 다르기에 어울려서 한집을 이루지. ‘목숨(생명)’을 이루려면, 바람하고 물을 섞어. 바람하고 물을 어떻게 맞추느냐에 따라서 ‘몸’이 달라. ‘몸’을 이루려고 ‘바람 + 물’이라는 길을 여는 ‘넋’인데, ‘빛’을 빛씨가 빛알로 탄단다. ‘씨’나 ‘알’로 고루 섞거나 타거나 심으니, 바람과 물이 살랑살랑 춤을 추면서 ‘꼴’을 갖추지. ‘꼴’은 곧 어느 ‘모습’으로 드러나고, 바야흐로 ‘몸’을 입는데, 이동안 섞거나 타거나 심는 빛(빛씨·빛알)에 맞추어 ‘마음’이 생긴단다. 아직 엄마몸에서 자라거나 ‘알’에서 클 적에는 “몸으로 입어서 마주할 삶”을 어떻게 마음에 담으려는지 생각하지. ‘생각’을 하도록 네 ‘넋’은 늘 새로 ‘빛’을 보탠단다. 그러니까 “몸 = 빛 + (바람 + 물)”이라 할 테고, 이 몸은 무엇이든 해보면서 무엇이든 ‘마음’에 담아서 ‘말’을 빚어. 아주 마땅히 모든 목숨은 몸·마음·빛이 다르니 말이 다르지만, 넋이 하나이기에 서로 마음이 만나는 말을 나눌 수 있어. “살림하는 길”이란, 네가 몸·마음을 제대로 보면서, 넋으로 빛(생각)을 지어서 늘 심고서 가꾸는 하루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듣는 스승 2024.5.13.달.



흔히들 “이 삶이 가장 대수롭다·크다·뜻있다” 하고 말하더구나. 그래, 무엇을 하든 ‘삶’이 대수롭거나 크거나 뜻있어. 그런데 ‘삶 = 살다 = 사람으로서 하다’야. 네가 날마다 ‘하는’ 무엇이건 어느 하나 안 대수롭거나 안 크거나 안 뜻있을 수 없어. 똥을 누거나 자더라도 대수로워. 말을 하거나 말을 들어도 커. 멍하니 있거나 잘못을 저질러도 뜻있어. “삶이란 네가 하며 보내어 흐르는 모든 하루”이기에, 이 짓을 하면 삶을 모르거나 저 짓을 하니 삶하고 동떨어지지 않아. 너는 갓난아기가 왜 바로 일어서지 않느냐고 나무랄 셈이니? 너는 아이가 왜 한달음에 수저질을 못한다고 타박할 셈이니? 너는 어린이가 왜 어른처럼 짐도 잘 나르고 돈도 벌 만한 나날을 안 보낸다고 꾸중하겠니? 다만, 15살이나 25살이나 45살이나 65살인데, 철들지 않은 채 또 허둥대거나 헤맨다고 나무라고 싶을 수 있어. 그러나 “네가 나무라는 사람”은 늘 너한테 스승이고 거울이야. 너는 왜 ‘거울’을 보면서 네가 못생겼다고 여기면서 거울을 나무랄 뿐 아니라, 거울을 깨니? 너한테서 꾸중이며 꾸지람이며 나무람을 듣는 사람은, 그이가 아이나 어른 누구라 하더라도 네 길잡이요 스승이야. 너는 늘 ‘스승’과 ‘길잡이’를 나무라는 셈이란다. 살다 보면 말이야, 스승이나 길잡이를 나무라거나 다그칠 때가 있고, 자꾸자꾸 꾸짖을 수 있어. 그러니까 네가 누구를 나무라려고 하는 마음이 불쑥 솟을 적마다 생각하렴. 네 거울이요 스승이라서, 네 나무람말을 고스란히 듣는 거울과 스승한테 어떤 ‘말씨앗’을 심을 셈인지 곰곰이 생각해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숨쉬는 2024.5.12.해.



숨쉬는 나비를 늘 보는 사람이랑, 나비 그림·사진·영상을 보는 사람은 다를 테지. 숨쉬는 사람을 늘 이웃에서 볼 적하고, 그림·사진·영상으로 다른 사람을 지켜보거나 구경할 적이 다르지. 늘 나무 곁에 있지 않다면, “숨쉬는 나무”인 줄 느끼지 않아. 모기랑 파리를 얼른 때려잡거나 죽음물을 뿌릴 적에도 ‘모기·파리’가 “숨쉬는 이웃”인 줄 하나도 안 느낀단다. 네 피를 쪽쪽 빠는 모기조차 “숨쉬는 이웃”이야. 보렴! 이 별은 네가 밥을 먹겠다면서 땅에 삽질·호미질을 해대더라도 가만히 본단다. 네가 땅에 똥오줌을 누건 쓰레기를 묻건 그저 지켜보지. “숨쉬는 사람”을 느끼면서, 이 사람들이 무엇을 보고 배우고 느껴서 살아가는가 하고 돌아본단다. 사람을 바라보면서 사람한테서 배우고, 풀벌레를 바라보면서 풀벌레한테서 배우고, 새를 바라보면서 새한테서 배우는 별이야. 너는 무엇을 보고 무엇을 배우는지 돌아보렴. 너는 누구를 보고 누구한테서 배우는지 되새기렴. 너는 늘 어떤 숨결로 살면서 “숨쉬는 이웃”을 얼마나 어떻게 마주하고 맞아들이는지 헤아리렴. 너한테 길잡이가 아닌 숨결이란 없어. 들풀도 헤엄이도 먼지도 모래도 이슬도 길잡이야. 너한테 이웃이 아닌 숨결이란 없지. 개미도 거미도 비도 별도 이웃이야. 늑대도 쥐도 이웃이고, 뱀도 덩굴도 길잡이란다. 너는 ‘너를(나를)’ 바라볼 노릇이야. ‘너만(나만)’ 쳐다보는 눈이나 길이 아닌 ‘너를(나를)’ 바라보면서 받아들일 적에 빛난단다. 빛나지 않는 까닭을 알겠니? ‘너만(나만)’ 보는데 사슬에 갇히는걸.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