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끈적끈적 2024.6.22.흙.



땀이 자꾸 돋고서 마르면 끈적해. 달콤한 열매를 먹다가 물이 묻어도 끈적해. 끈적할 적에 숲바람이 불면 모두 다독이고서 풀어내지. 안 끈적할 적에 바닷바람이나 장마바람이 불면 어느새 온통 끈적할 테고. 내키지 않지만 들러붙어서 안 떨어지는 결이 ‘끈적’이야. 한몸을 이루거나 한마음으로 빛나려는 뜻이 없는 채, 덩달아 얹어가려는 먼지나 티끌이기에 ‘끈적’이지. 달갑지 않다고 여기면서 끊으려 하지만, 어쩐지 너(나)한테 달라붙으니 ‘끈적’거린단다. “잇는 사이”인 ‘끈’이고 싶지 않아서 ‘끊’으려고 하는데 ‘끈끈’하게 붙으려고 덕지덕지 엉기는 ‘끈적’이라고 여길 만해. 땀·먼지·티끌은 바람과 비에 씻겨서 땅으로 돌아가면 새흙으로 거듭난단다. 그러니까 “안 거듭나”려는 마음으로 끈적끈적 들러붙는 셈이야. 땅으로 돌아가면서 “낡은 몸을 놓으”려는 마음을 일으키지 못 해서, 자꾸 남한테 기대거나 붙는, 꿈이 없고 하루를 잊은 몸짓이 ‘끈적’이기도 해. 너(나)는 뭘 해야 할까? 끈적이는 쪽에 마음을 빼앗겨야 할까? 바람을 쐬고 물로 씻고 해를 쬐면서 스스로 그리는 하루로 나아갈 일 아닐까? 너(나)부터 스스로 ‘하루길’을 잊거나 딴청을 할 적에 으레 ‘엉뚱이’가 하나씩 다가와서 살그머니 붙는단다. ‘끈적이’는 여러 가지 옷을 입고서 네 눈을 홀리려고 하지. 처음에 끈적이를 안 떼면 네 몸이며 옷이며 살림을 더럽히고 어지럽히지. 넌 무엇을 해야겠니? 여름이건 겨울이건 날마다 3∼10벌씩 씻을 수 있어. 한 벌 싯어서 끈적이가 말끔히 사라질는지 모르지만, 그대로 군데군데 남기도 하단다. 끈적이는 해바람비를 무서워하고 두려워하지. 넌 해바람비를 품을 일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100점 가운데 2024.6.21.쇠.



100점을 매긴다고 할 적에 왜 100점을 맞을 수 있을까? 어떻게 엮고 짜고 짓고 펼 적에 100점에 어울릴까? 너는 100점에 빈틈없이 들어맞도록 일을 하니? 아니면, 언제나 온마음과 온힘을 들일 뿐 아니라, 온사랑을 들이니? 온마음을 들인다고 할 적에는, 빈틈이 없다는 뜻이 아니야. “온마음 = 고루고루 보고 두루두루 짚는다”란다. “온힘 = 내가 바라보는 길 + 이웃이 바라보는 길”이란다. 스스로 틈을 내고 품을 들여서 하겠지. 틈과 품을 안 들이는 사람은 없어. “모르는 곳이 있어도, 모르는 곳을 배우지 않은 채” 온마음과 온힘을 쏟는 사람이 많아. 이를테면, “참새가 짝을 맺으면서 둥지를 틀고 알을 낳아 새끼를 돌보면서 벌레잡이를 하는 나날”을 본 적이 없거나 보려고 하지 않고서, 얼핏 스치듯 찰칵 찍은 모습으로 ‘참새를 본다’고 한다면 어떻겠니? 너랑 만난 일조차 없는 사람이 너를 사진만 보고서 그림으로 옮긴다면? 너랑 아주 살짝 하루쯤 스치듯 만난 사람이 어디 가서 네 얘기를 한다면? 어느 새를 오래 지켜보면서 이웃으로 사귀고서야 그림으로 담거나 글로 쓰는 사람이 있을 텐데, 이이하고 ‘이렇게 안 한 이’하고 똑같을까? 숱한 사람들은 100점을 못 받았다면서 싫어하거나 미워하더구나. 왜 50점을 매기거나 20점을 매기는지, 왜 때로는 -50점이나 -100점을 매기고, 또 +200점이나 +1000점을 매기는 뜻을 못 읽거나 안 읽지. 넌 100점 가운데 어느 만큼 받을 만하게 네 일을 하거나 네 말을 들려주니? 100점을 받아야 ‘잘한다’이지 않아. 50점을 받아야 ‘못한다’이지 않단다. 모든 값(점수)을 어떻게 매겼는지 차분히 읽고서, ‘이다음’ 네 길을 새롭게 나아갈 수 있어야 자란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혀짧은 2024.6.20.나무.



혀가 있으니 ‘말’을 한다고 여겨. 아주 조그마한 살덩이인 ‘혀’일 텐데, 혀를 끝(입구멍)에서 떼는 결에 따라서 ‘말결’이 피어나. 피리를 보면 ‘서’가 있어. ‘피리서’라고 하는데, 영어로는 ‘리드(reed)’라 하지. 피리에서 ‘서’는 사람한테는 ‘혀’야. ‘서’가 있기에 피리소리가 흐르고, ‘혀’가 있으니 사람소리인 마음소리를 ‘말’로 고르고 펴며 나눈단다. 씨앗을 보면 씨눈이 있어. ‘씨몸’을 보면 씨눈은 매우 작아. 그러나 이 작은 씨눈이 없으면 씨앗일 수 없어. 끝에 조그맣게 돋는 눈이 있기에, 씨앗은 깨어날 날을 기다리고 지켜보지. 사람은 “커다란 몸에 자그맣디자그마한 끝인 혀”가 있기 때문에, 온몸으로 마주하고 겪는 나날을 부드럽게 떨면서 ‘말’이라는 소리로 울려낸단다. 혀가 없다면 따로 소리나 말이 없겠지. 곰곰이 보면, ‘몸’이 있으니 ‘삶’이 있어. ‘마음’이 있으니 ‘생각’이 싹트면서 자라. ‘혀’가 있으니 ‘말’이 있고, ‘손’이 있으니 ‘살림’이 있어. ‘발’이 있으니 ‘마음’이며 ‘길’이 있고, ‘눈’이 있으니 ‘봄’이 있으면서 그림과 빛이 있구나. ‘귀’가 있으니 ‘이야기’가 있고, ‘코’가 있으니 ‘꽃’이 있고, ‘가슴(심장)’이 있으니 ‘사랑’이 있고, ‘머리(골·뇌)’가 있으니 ‘하루’가 있겠지. 온누리를 보면, 누구나 ‘혀’라는 몸을 타고나는데, 혀가 긴 사람이 있으면서 혀가 짧은 사람이 있고, 혀를 다쳤거나 잃은 사람이 있고, 혀가 없는 채 태어나는 사람이 있어. 혀가 길다면 ‘혀놀림’이 가벼울 테니, 말을 마음껏 하겠지. 혀가 짧다면 혀를 잘 놀리지 못 하면서 말소리가 새거나 버거워. ‘혀긴사람’은 대수롭지 않더라도 ‘혀짤배기’는 “둘레에서 쉽다고 여기는 말소리”부터 고단한 담벼락이야. 네가 혀짧은 사람이라면, 어렵게 말을 하지 않겠지. 네가 혀긴 사람이기에, 자꾸 꼬거나 비틀면서 “말힘(언어권력)”을 휘두르지는 않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소수의견 2024.6.7.쇠.



꽃이면 꽃이야. 씨앗이면 씨앗이야. 사람이면 사람이야. 꿈이면 꿈이지. 넋이면 넋이고, 마음이면 마음이란다. 언제나 무엇이든 숨결 그대로야. 이 ‘그대로’를 바탕으로 담으면서, 때때로 작거나 크게 가르기도 하는구나. ‘소수의견’이 있으면 ‘다수의견’이 있을 텐데, 왜 ‘작은소리·큰소리’를 굳이 가를까? 이미 ‘소수’라고 앞에 붙일 적에는 “안 받아들이지만, 듣는 시늉은 하겠다”는 셈이야. 벌써 ‘다수’라고 앞에 붙일 적에는 “이대로 갈 테지만, 다른 소리도 듣는 시늉은 하겠다”는 셈이지. 누가 무슨 말·소리·뜻을 펴든 ‘작은(소수)·큰(다수)’으로 가르지 않기를 바라. 그저 말과 소리와 뜻을 듣거나 살피면서 길을 갈 노릇이란다. 지레 잘라 놓으면, 네가 스스로 눈을 감고 마음을 닫고 담을 쌓아서 팽개친다는 굴레로 빠져.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한테서나 ‘말’을 보고 ‘마음’을 담고 ‘소리’를 들으면서 ‘생각’을 하렴. 누가 “나는 소수의견을 존중한다”고 밝힌다면, 이이는 ‘존중하는 척’을 하는 셈이지. 참말로 귀여겨들으려는 사람이라면, “나는 모든 말·소리·뜻을 다 듣겠다”고 밝힌단다. “다수의견으로 결정한다”고 밝히는 사람이 있다면, 그이 스스로 일찌감치 잡아놓은 틀을 ‘다수(큰)’라는 값(숫자)으로 밀어붙이겠다는 속내란다. 너희는 ‘민주주의’라는 허울이야. ‘다수의견’으로 한 놈만 뽑잖니? 너희가 ‘참(민주)’이라면, ‘모든 뜻’에 따라서 “모두가 함께하는 길”을 연단다. 겉치레와 허울과 꾸밈질이 판치는 물결을 제대로 읽어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뼛속 2024.6.9.해.



뼈가 단단하려면 무엇을 머금어야 할까? 쇠? 구리? 돌? 그런데 쇠나 구리나 돌은 무엇을 머금기에 단단하지? 가지를 뻗은 나무는 줄기가 굵고 단단하니? 나무줄기는 어떻게 단단할 수 있을까? 쇠는 왜 단단할까? 구리는? 돌과 바위는 무엇을 담은 몸이기에 단단할까? 몸이며 뼈가 단단하거나 든든하거나 탄탄하거나 튼튼하도록 속에 놓는 숨결이 무엇일는지 헤아리렴. 네가 쇠붙이나 나무토막을 씹거나 삼키면 튼튼할까? 쇠나 나무가 튼튼하도록 속을 이루는 밑숨결을 ‘든든’하면서 ‘반갑’게 맞아들이면, 너는 바람을 마시거나 물을 머금으면서도 넉넉히 튼튼할 만해. 벌컥벌컥 마시거나 잔뜩 먹지 마. 느긋이 마시면서 하나씩 먹어. 서둘러서 네 몸에 넣으면 얼른 빠져나간단다. 갑자기 쑥 밀어넣으면 어느새 쏙 새어나가지. 느릿느릿 담으면 그만 굳어버려. 그러니까 ‘빠르게’도 ‘느리게’도 아닌, “너(나) 스스로 무엇을 바라보고 느껴서, 이제부터 어떤 몸을 이루려는 숨결로 빛나려고 하는가” 하는 생각을 마음에 씨앗으로 심고서 가만히 마시거나 머금을 노릇이야. 이를테면 “내 사랑으로 나아가자”나 “내 노래로 피어나자” 같은 꿈씨앗을 말씨로 옮겨서 스스로 느낄 노릇이란다. 뼛속도 바윗속도 나무속도, 곰곰이 보면 모두 ‘물’이란다. 구름을 이루고, 빗방울이 되고, 바다를 이루고, 냇물로 흐르고, 샘으로 솟고, 온누리를 가볍게 가없이 돌고도는 ‘물’을 네가 온넋으로 받아들여서 다스리기에 단단하고 튼튼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