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좀 생각합시다 45


 나가는곳


  일본 전철에는 언제부터 한글을 나란히 적었을까요? 일본 전철에 적힌 한글이 익숙한 분은 예전부터 그러려니 여길 수 있고, 퍽 오랜만이나 처음으로 일본마실을 한 분이라면 새삼스럽다고 여길 수 있어요. 모든 전철역에 한글이 적히지는 않습니다만, 큰 곳에는 어김없이 한글을 적습니다. 역이름을 한글로 적고, ‘나가는곳’이라는 글씨를 적어 줍니다.


  한번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한국에서도 전철역에 ‘나가는곳·들어오는곳’을 적습니다. 한자로 ‘出口·入口’를 적지요. 그렇다면 무엇이 한국말이요, 무엇이 일본말일까요? 바로 ‘나가는곳·들어오는곳’이 한국말이요, ‘出口·入口’가 일본말입니다. ‘出口·入口’를 한글로 옮긴 ‘출구·입구’는 한국말일까요? 아닙니다. 일본 한자말을 한글로 옮긴 글입니다.


  사전을 보면 ‘출구(出口)’를 “밖으로 나갈 수 있는 통로. ‘나가는 곳’, ‘날목’으로 순화”로 풀이하고, ‘입구(入口)’를 “들어가는 통로. ‘들목’, ‘들어오는 곳’, ‘어귀’로 순화”로 풀이해요. 사전 뜻풀이도 ‘출구·입구’는 한국말이 아니라고 밝힙니다.


  그렇지만 사전에 ‘나가는곳·들어오는곳’은 아직 없어요. 고개를 갸우뚱합니다. 전철역뿐 아니라 여러 곳에서 이 말을 쓰는데 사전은 언제쯤 ‘나가는곳·들어오는곳’을 실으려나요?


  더 헤아리면 ‘나가는길·나감길’이나 ‘들어오는길·들어옴길’처럼 써 볼 만합니다. ‘날목·들목’을 잘 살려서 써도 좋습니다. 널리 쓰는 ‘나들목’이란 나가거나 들어오는 목이에요. ‘나들목’이라는 낱말을 알맞게 쓰듯이 ‘나들길’이나 ‘나들곳’도 쓸 수 있어요. 나가는 자리는 들어오는 자리이기도 하거든요. ‘나들길·나들곳’은 ‘출입로·출입구’를 고쳐쓸 만한 낱말입니다.


  삶터 곳곳에서 즐겁게 쓰는 말을 사전에 담으면 됩니다. 사전에 알맞게 담은 말을 둘레에 찬찬히 알려 삶터 곳곳을 환하게 가꿀 수 있습니다. 2018.4.7.흙.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44


 이웃말


  어떤 낱말을 가려서 쓰느냐로 생각이 갈립니다. 이 말을 쓸 적에는 이 말에 흐르는 결이나 뜻이나 마음이 우리 몸으로 스밉니다. 저 말을 쓸 때에는 저 말에 감도는 느낌이나 빛이나 생각이 우리 몸으로 퍼집니다. 기쁜 사람을 곁에 두면서 ‘기쁘다’라는 말을 들으면 우리는 저도 모르게 기쁜 숨결이 되곤 해요. 슬픈 사람이 옆에 있어 ‘슬프다’라는 말을 들으면 우리는 스스로 모르게 슬픔이 푹 젖어요.


  아무 낱말이나 섣불리 쓸 노릇이 아닙니다. 아무 책이나 사건·사고를 함부로 들을 일이 아닙니다. 잘 헤아려야 합니다. 예부터 아기가 태어나면 아기 귀에 아뭇소리가 마구 들어가지 않도록 보금자리를 건사했어요. 아기는 모든 소리나 말을 고스란히 받아들이기에 궂은 말이나 이야기가 ‘아기 태어난 집’에 가까이 오지 못하도록 했지요.


  그러면 오늘 우리 삶터는 어떤가요? 아이가 있는 집 언저리에 어떤 가게가 있을까요? 학교 둘레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평화 때문에 군대를 두어야 한다지만, 죽이고 죽는 전쟁무기가 너무 많고, 영화나 책은 죽이거나 죽는 끔찍한 일을 너무 자주 다루지 않나요? 거친 말도 너무 흔하고, 막말이나 막짓도 너무 넘칩니다.


  오늘 우리는 말을 새롭게 바라볼 줄 알아야지 싶습니다. 흔히 ‘외국말’을 배운다고 하고, ‘제2외국어’ 같은 말도 씁니다. 그렇지만 외국말을 좀처럼 못 배우는 사람이 많고, 외국말을 오래 배워도 낯설다는 분이 많아요. 배우거나 가르치는 틀이 새롭거나 슬기롭지 못하기도 할 텐데, 하나를 더 살피면 좋겠어요. 우리는 외국말보다는 ‘이웃말’을 배워야지 싶습니다. ‘나라 바깥’이나 ‘다른 나라’라고 여기는 눈이 아닌 ‘이웃인 나라’하고 ‘이웃인 고장(마을)’에서 쓰는 말을 배운다는 생각이 되면 사뭇 바뀔 만하지 싶습니다.


  이웃을 알고 사귀며 어깨동무하려고 배우는 ‘이웃말’이라고 이름을 바꾸면, 어느새 말결부터 다르면서 한결 부드럽고 넉넉히, 또 상냥하면서 곱게 배우는 마음이 될 만하지 싶습니다. 이웃말·이웃살림·이웃사랑·이웃노래·이웃마음을 배워요. 2018.4.1.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43


 살림돈


  한국에서 아이나 어른 모두 ‘용돈’이라는 말을 쉽고 흔하게 씁니다. 이 말을 깊이 헤아린다거나 고치자고 여기는 사람은 거의 없지 싶습니다. 저마다 ‘용돈’을 타려 하고, 받으려 하며, 주곤 합니다.


  ‘용돈(用-)’이란 무엇일까요. 사전을 살피면 “개인이 자질구레하게 쓰는 돈. 또는 특별한 목적을 갖지 않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으로 풀이합니다. 그러나 어쩐지 엉성합니다. 모자라요. 자질구레하게 쓰기만 하는 돈일까요? 딱히 뜻이 없이 마음껏 쓰는 돈일까요?


  ‘용돈’이라는 이름으로 주거나 받거나 건사하거나 다루는 돈은 아무래도 쓰임새가 한결 넓습니다. 그리고 ‘자질구레하게 쓰는’ 같은 대목은 안 어울려요. 저는 이를 여덟 살부터 느꼈습니다. 그해에 국민학교 1학년이었고, 학교를 오갈 적에 버스삯을 내거나 학용품을 살 적에 쓰라며 처음으로 ‘용돈’을 주셨지요. 그런데 ‘돈’은 알아들어도 ‘용’이 무엇인지 몰랐어요. 그때 어머니한테 여쭈었지요. “어머니, 그런데 ‘용돈’이 뭐예요?” “‘용돈’? 음, 그러니까, 너 쓰라고 주는 돈이야.” 제가 사전에서 스스로 용돈이란 낱말을 찾아본 때는 고등학생이었지 싶어요. 어릴 적에는 어머니 말씀대로만 생각했어요. 좀 아쉬운 풀이였지만 다른 일을 떠올리느라 뒤로 미뤘지요. 이러다가 ‘쓰다(用) + 돈’이기에 ‘쓸돈’인데, ‘用-’이란 한자를 어설피 붙인 줄 깨닫습니다. 한자를 안 쓸 까닭은 없습니다만 안 어울리게 붙인 셈이에요. 그렇다면 용돈은 어느 자리에 어떻게 쓸까요?


  바로 크거나 작게 스스로 살림을 꾸리려고 하면서 즐겁게 씁니다. 사전을 살피면 ‘살림돈’이란 낱말이 없어요. 뜻밖이지요. 살림을 꾸리는 사람이면 누구나 살림돈을 쓸 텐데, ‘생활비(生活費)’하고 ‘생계비(生計費)’라는 한자말만 있어요. 우리 사전은 ‘살림말’을 올림말로 다루면서 여러 뜻을 잘 나누어 풀이해야겠는데, 이 가운데 하나는 바로 “즐겁게 여러모로 쓰는 돈”이란 쓰임새예요. 아이도 어른도 요조모조 살림을 하는 ‘살림돈’입니다. 2018.4.2.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42


 치움이


  청소하는 일을 하기에 ‘청소부(淸掃夫·淸掃婦)’라고 합니다. 이 이름이 이 일을 하는 사람을 낮잡는다고 해서 ‘환경미화원(環境美化員)’이라는 이름이 새로 생깁니다. ‘-원’을 붙이는 이름도 낮춤말이라 여겨, ‘교원(敎員)·간호원(看護員)’을 ‘교사(敎師)·간호사(看護師)’로 바꾸었어요. 이런 얼거리를 본다면 ‘미화원’ 아닌 ‘미화사’라 할 노릇이겠지요.


  이 대목에서 생각해 보아야지 싶습니다. ‘청소부 → 미화원 → 미화사’로 나아가면 낮잡지 않는 말이 될까요? 이름을 바꾸며 생각을 바꾸기도 합니다만, 우리는 겉이름만 바꿀 뿐, 속생각은 안 바꾸는 삶은 아닐까요? 먼저 속생각을 바꿀 적에 겉이름도 제자리를 찾지 않을까요?


  1990년대 첫머리를 떠올립니다. 그무렵 ‘도움이(도우미)’라는 이름이 갑자기 태어났어요. 대전에서 세계박람회를 연다며 ‘자원봉사자’나 ‘안내원’ 일을 하는 이한테 ‘도우미’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이때 뒤로 ‘봉사자·안내원’뿐 아니라, 돕는 사람을 ‘도움이’로 흔히 가리켰고, 돕는 일을 ‘도움주기’로 어렵잖이 가리키곤 했습니다.


  ‘도움이’ 한 마디가 발판이 되어 ‘돌봄이·보살핌이’ 같은 이름이 태어납니다. ‘귀염이·이끎이’라든지 ‘살림이·나눔이’ 같은 이름도 태어나요. 이러한 이름을 헤아린다면 한자 ‘부·자·원·사’에 얽매이기보다는 ‘이’라는 한국말로 너나없이 수수하게 이름을 붙일 만합니다.


  그래서 ‘청소부·미화원’이라면 ‘치움이·말끔이·깔끔이’ 같은 이름을 붙일 수 있어요. 때로는 ‘치움님·말끔님·깔끔님’이나 ‘치움꾼·말끔꾼·깔끔꾼’이라 할 만하며, ‘깨끗님·정갈님·맑음님’이나 ‘깨끗꾼·정갈꾼·맑음꾼’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하는 일을 살펴 또렷하면서 수수하게 이름을 붙일 적에 오히려 이 일을 누구나 할 수 있으며 누구나 하고 누구나 넉넉히 할 만하다는 뜻을 나눌 수 있습니다. 2018.4.9.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41


 사전이라는 책 4


  나라마다 다릅니다만 으레 이렇게 말합니다. ‘300∼500 낱말만 알아도 모든 생각을 다 나타내거나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 말이지요. 이는 영어에서도, 일본말에서도, 한국말에서도 똑같습니다. 프랑스말이나 독일말이나 네덜란드말에서도 똑같지요. 더 많은 낱말을 알아야 하지 않습니다. 고작 ‘300∼500 낱말’만 알더라도 모든 생각을 얼마든지 담아낼 수 있어요.


  왜 그러할까요? 우리는 ‘300∼500’이라는 바탕말이 있으면 이 바탕말을 알맞게 엮거나 붙이거나 자르면서 새말을 지을 수 있어요. 어느 한 가지를 나타내는 아주 새로운 낱말 하나가 있어야, 어느 한 가지를 똑똑히 나타낼 수 있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얼마든지 ‘어느 한 가지를 나타낼 또 다른 말을 새롭게 엮어서 쓸’ 수 있습니다.


  ‘300∼500’이라는 낱말로 이리저리 엮다 보면 끝없이 새말을 지을 수 있는데, 이렇게 말짓기를 하면서 이야기를 해도 즐겁지만, ‘300∼500’ 가지 낱말로 말짓기를 펼쳐서 생각짓기를 솜씨있게 할 줄 안다면, 이다음으로는 ‘1500∼2000’ 낱말로 넘어갑니다. 한 걸음(300∼500)을 넉넉히 디뎠기에 두 걸음(1500∼2000)째로 나섭니다. 두 걸음에 이르면 한결 넉넉한 바탕말로 한결 넓게 새말을 지을 수 있으니 훨씬 촘촘하면서 자잘한 데까지 생각을 그릴 만합니다.


  두 걸음을 내디뎠으면 세 걸음도 내딛을 수 있어요. 세 걸음째에는 ‘5000’ 낱말로 말짓기·생각짓기를 합니다. 세 걸음을 넘어 네 걸음째에는 ‘20000’ 낱말로 말짓기·생각짓기를 하지요. 네 걸음을 넘어 다섯 걸음으로 가고 싶다면, 이웃말을 익히면 됩니다. 다른 고장이나 나라에서 쓰는 말을 익히면 되지요.


  네 걸음에 이르는 바탕말을 밝혔습니다만, 이는 바로 사전이 가는 길입니다. 네 걸음에 맞추어 바탕말을 사람들이 즐겁고 새로우며 사랑스레 살려서 쓰도록 북돋우고 이끌 적에 사전입니다. 말만 그냥 담지 않습니다. 걸음자리에 맞추어 바탕말을 다르게 삼아서 슬기롭게 다루는 길을 밝히기에 사전이라는 책입니다. 2018.3.31.흙.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