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배움빛 2022.2.27.

숲집놀이터 264. 한때



철이 되면 김치를 담그느냐고 묻는 분이 많았다. 이렇게 묻는 분은, 사내인 내가 아닌 가시내인 곁님이 김치를 담갔느냐고 묻는 말이더라. 그런데 우리 집은 처음부터 언제나 사내인 내가 집안일을 도맡았으니 “김치 담갔느냐?” 하고 묻는 말은 나더러 김치를 담갔느냐고 묻는 말일 수밖에 없는데, 이를 뒤늦게 깨닫고는 다시 나한테 김치를 담갔느냐고 묻는데, “저는 어려서부터 김치를 못 먹는 몸입니다.” 하고 대꾸한다. 이런 대꾸조차 ‘묻는 그분한테 진작 여러 해째 똑같이 들려준 말’이다. “그럼 김치를 안 드시나?” “저는 김치를 먹을 수 없는 몸입니다. 그러나 곁님하고 아이들은 김치를 먹는 몸이니, 저는 이따금 김치를 해서 먹이지요.” “허허, 김치를 못 먹는데 김치를 한다고?” “그러니까 김치가 왜 궁금하고, 김치를 담그느냐고 왜 물으세요?” 쉰 살 가까이 살아오는 사이에 나한테 ‘김치 담그기’를 묻던 어느 분하고도 더는 만나지 않는다. 만날 까닭이 없지 않을까? 이 나라에서 나고자란 사람이라면 모두 김치를 잘 먹어야 할까? 고춧가루가 이 나라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도 않앗는데 고춧가루범벅인 김치를 누구나 잘 먹어야 할까? ‘소금에 절인 남새’는 참 오래된 밥살림이지만, ‘배추’가 이 땅에 들어온 지는 아직 즈믄해조차 안 되었다. 즈믄해가 지났어도 이 나라 모든 사람 몸에 배추를 절인 밥살림이 몸에 맞아야 할 까닭이 없다. 아이들은 몽땅 배움터(학교)를 다녀야 하지 않는다. 어른들은 모조리 일터(회사)에 나가야 하지 않는다. 논밭을 가꾸어도 즐겁고, 바다를 돌보아도 아름답고 숲을 품어도 사랑스럽다. 집살림을 도맡으면 얼마나 멋스러우면서 기쁠까. 한때 억지로 김치를 몸에 꾸역꾸역 넣으려 했으나, 이제 이 바보짓을 끝냈다. 먹을 수도 없는 김치를 간조차 안 보고서 제법 먹을 만하게 담가서 아이들한테 열 몇 해를 베풀었으나, 이제는 처음부터 끝까지 아이들이 스스로 손질하고 절이고 간을 맞추고 양념을 해서 먹도록 이끈다. 못 먹는 김치를 굳이 담그지 말자고 생각한다. 우리는 스스로 사랑으로 살아갈 뿐이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배움빛 2021.9.26.

숲집놀이터 260. 뛰놀기



우리 집 아이들은 책집마실을 싫어하지는 않으나 아버지가 책집마실을 지나치게 오래한다고 여긴다. 아이들 말을 듣고서 곰곰이 생각하면 하나부터 열까지 맞다. 나는 책집마실을 끝없이 한다. ‘이제 좀 그만하면 좋겠는데’ 하고 쀼루퉁하도록 책집에 머문다. 그렇지만 모든 책집은 한 바퀴를 돌고 두 바퀴를 돌수록 더욱 새롭게 빛나는걸. 골짜기나 숲에 깃들 적에도 하염없이 머물 수 있고, 바다에서도 가없이 지낼 수 있다. 꼭 책집에서만 오래 지내지는 않는다. 다만 여태까지 살아온 자취를 본다면 서울·큰고장에서 살아남으려고 책집하고 보금자리 둘 사이만 오간 나날이었으니, 이 고리를 깨려고 아이들하고 시골살이를 하는구나 하고 깨닫는다. 큰아이가 태어나 주면서 아주 마땅히 책집마실이 확 줄었고, 작은아이가 태어나 주며 더더욱 책집마실이 크게 줄었다. ‘그래도 자주 많이 다닌다’는 핀잔을 듣는데 눈앞에서 만지작거려야 비로소 살 만한지 아닌지, 또 글님하고 펴낸님이 어떤 마음결이었는가를 느낀다. 2008년부터 두 아이들 힘으로 책집마실을 줄이고 또 줄이는 사이에 마음읽기를 새로 배우고 숲읽기를 새삼스레 익힌다. 이 아이들은 뛰놀 적에 넓고 깊이 스스로 배운다는 대목을 일깨운다. 맞아, 너희가 아름다워. 너희 아버지도 어릴 적에 신바람으로 뛰논 개구쟁이였어. 앞으로도 언제까지나 개구쟁이 눈빛을 건사하며 같이 뛰놀게.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배움빛 2021.9.26.

숲집놀이터 259. 알밤



네 손에는 네가 즐기는 모든 놀이가 반짝반짝 있다. 너는 무엇이든 노래로 바꾸고, 너는 언제나 춤으로 돌리고, 너는 한결같이 웃음꽃으로 피운다. 알밤은 해바람비를 먹고 자란다. 해바람비가 깃든 알밤을 손에 얹으면서 네 손끝을 타고 온몸으로 해바람비 기운이 퍼진다. 이 알밤을 아작 깨물면 네 이를 타고서 뼛속으로 고루고루 해바람비 숨결이 스민다. 밤나무는 아이들이 곁에서 뛰고 놀고 노래하고 춤추는 빛살을 머금으면서 한 뼘씩 큰다. 아이들은 밤나무한테 가을마다 찾아가서 둘레를 빙그르르 돌고 웃고 떠들고 반기면서 두 뼘씩 자란다. 어른들은 밤나무를 둘러싼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또 아이들을 포근히 안는 밤나무를 어루만지면서, 어느새 석 뼘씩 마음을 밝힌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빛 2021.7.31.

숲집놀이터 258. 더 자주



나는 어릴 적에 우리 아버지하고 말을 섞은 일이 아예 없다시피 했다. 국민학교를 다니며(1982∼1987) 학기마다 설문조사를 손을 들어서 했는데, 이 설문조사 가운데 하나는 “부모가 둘 다 있느냐, 어머니만 있느냐, 아버지만 있느냐”에다가 “어머니하고 하루에 얼마나 얘기하느냐, 아버지하고 하루에 얼마나 얘기하느냐”도 있었다. 담임이라는 이는 “아버지하고 하루에 한 시간 얘기하는 사람? 아버지하고 사나흘에 한 시간 얘기하는 사람? 아버지하고 한 주에 한 시간 얘기하는 사람? 아버지하고 한 달에 한 시간 얘기하는 사람? 아버지하고 한 해에 한 시간 얘기하는 사람?” 따위까지 물었는데, 나는 그 어디에도 안 들었다. 우리 아버지는 그무렵 ‘국민학교 교사’로 일한 분이지만, 막상 이녁 아이하고 ‘한 해 한 시간은커녕 한 해 1분, 아니 한 마디쯤만 말을 섞은’ 사람이었으니까. 그렇다고 그분(우리 아버지)이 잘못이었을까? 글쎄, 아니라고 본다. “더 자주·더 오래·더 많이” 말을 섞거나 눈을 마주쳐야 어버이(또는 어른)는 아니라고 느낀다. 아이하고 지내는 틈이 매우 적거나 없다시피 하더라도 어버이(또는 어른)로서 잘못(죄책감)이라고 여기지 않으면 좋겠다. 우리는 아이하고 눈을 마주치며 말을 섞는 아주 짧은 틈이라 해도 눈을 반짝반짝 빛내면서 즐겁게 노래하면 된다. 아이들은 다 안다. 어버이(또는 어른)가 사랑인지 아닌지를. 사랑이 아니라면 하루 열 시간 마주하는 틈이 괴로울 테고, 사랑이라면 열 해에 1분만 마주하더라도 기쁘기 마련이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빛 2021.7.31.

숲집놀이터 257. 어버이 틀에



어버이가 아이를 “어버이 틀”에 맞추려고 하는 몸짓은 잘못일까? 나쁠까? 틀릴까? 그릇될까? 엉터리일까? 바보일까? 엉성할까? 멍청할까? 어이없을까? 터무니없나? 괘씸한가? 주제넘는가? 못됐나? 글쎄, 어느 하나도 안 맞지 싶다. 온누리 모든 어버이는 저마다 오늘까지 살아낸 길을 바탕으로 아이한테 “어버이로서 가장 좋다고 여기는 틀”을 보여주면서 넉넉히 누리기를 바란다고 느낀다. 다만 “어버이로서 가장 좋다고 여기는 틀”이 “아이한테도 가장 즐거운 사랑”이 아니기 일쑤일 뿐이다. 아이한테는 어떤 길이 어울리거나 즐겁거나 사랑스러울까? 아이가 걸어갈 길은 언제나 아이한테 물어보면 된다. 아이하고 이야기하면서 아이 마음을 느끼고, 아이 수다에 귀를 기울이면서 아이 꿈을 헤아리고, 아이하고 생각을 주고받으면서 아이 사랑을 맞아들이면 넉넉하다. 누구 틀에 맞추고 안 맞추고는 썩 대수롭지 않다. 아이는 아이대로 아이 길을 간다. 어른이나 어버이는 어른이나 어버이로서 우리 길을 가면 된다. 이 길을 가다가 아니다 싶으면 뒤돌아서거나 처음부터 새로 가면 된다. 어른이나 어버이가 할 일은 쉽다. 마음을 틔우고 아이하고 얘기하면 된다. 이야기를 하면서 생각을 나누면 ‘틀’이 아닌 ‘길’이 서고, 이윽고 ‘사랑’이 무엇인지 스스로 알아보기 마련이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