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꽃

#숲노래노래꽃 #우리말동시사전

어린이랑 노래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말에 담는 살림을
숲빛으로 상냥하게 들려주는
작은 길을 #노래꽃 으로 여겨
마실길에 늘 챙긴다.

어느새 누더기가 되는
#노래꽃적이

그래도 새로 그리고 쓰며
서울(도시)하고 시골이
서로 사이에 숲을 두며
이웃이 되기를 빈다.

그리고
서울을 씩씩하게 버리고
부릉이는 다부지게 버리고
맨발 맨손 맨몸으로
#해바람비 를 품을 동무를
그린다.

#나는노래이다

군산에서 떠난 버스는 광주에 닿고
고흥으로 돌아가는데
해님을 보며 웃는다.

#숲노래 씨는
아직 민소매 깡똥바지.
#용서점 #부천용서점
#고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살림꽃
2022.10.31.

서른 해 남짓 함께한
긴바지는
지난해부터
깡똥바지로 바뀌었다.

밑단을 잘라서
안팎으로 덧대고
또 덧대고
자꾸 덧대어도
낡은 자리는 해진다.

아이들 예전 옷 가운데
꽃무늬천을 잘라
새로 덧댄다.

조금만 기우고서
자전거 몰아
면소재지에
붕어빵 사러 가려 하다가
해가 넘어간다.

시골에서는
저녁 다섯 시 넘으면
붕어빵 장수도 들어간다.

서울도 다들 좀
일찍 닫고
집에서 서로 얼굴 보며
얘기하는 살림으로
이제라도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

#이태원사고 를
추모로만 끝내지 말자.
저마다 삶을 확
바꾸어야 한다.
#숲노래 #바느질 #깡똥바지
#시골살이 #고흥살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배움빛 2022.8.31.

숲집놀이터 276. 한집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가부장제’였을까? ‘가부장제’란 ‘가부장’이란 중국말을 쓰던 무렵에 서거나 퍼졌을 텐데, 중국이나 일본을 섬기던 무리가 나라를 휘어잡던 무렵이 아닌, 사람들 누구나 스스로 살림을 지으며 살아가던 때에는 이런 낡고 고약한 틀이 설 까닭이 없었다. 나라(정부·국가)를 보면, 으레 사내가 우두머리에 서면서 가시내를 몽땅 짓밟으려 한다. 어느 나라이고 가시내가 어깨를 펴는 틀이나 터전하고 멀다. 그런데 어떤 나라가 서든 ‘나라를 섬기지 않는 조그마한 집이나 마을’에서는 ‘가부장’이 없다. 나라(정부·국가)는 늘 사내를 홀려서 작은힘(가부장권력)을 쥐어 주고서 돈·이름·힘이란 떡고물을 안긴다. 숱한 사내는 우두머리가 시키는 대로 홀리고 휩쓸린다. 거의 모든 가시내는 나라한테 안 홀리고 안 휘둘리면서 아이를 바라보고 짝꿍을 마주한다. 아름답거나 사랑스러운 집이라면 ‘나라를 안 쳐다보고, 나라에서 주는 떡고물을 거스르면서, 오직 아이랑 곁짝을 바라보는 살림’이다. 사람은 ‘너랑 나’ 둘이 어우러져서 ‘우리’를 사랑으로 맺는 슬기로운 살림길을 걸을 적에 비로소 빛난다.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다”는 말은 “사람은 사회생활을 해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사람이 사람다우려면 가시버시(남녀·부부)가 수수한 사람으로서 서로 사랑이란 슬기로 마주하는 살림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사회생활 = 우두머리 허수아비 노릇’이다. 우리 살림집이 즐거이 ‘한집’을 이루자면, 아무도 우두머리(가부장)일 수 없다. 어버이도 아이도 저마다 지킴이요 돌봄이로서 보금자리를 가꾸기에 반짝반짝 별빛으로 햇빛으로 즐거운 오늘을 짓고 누리고 나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배움빛 2022.7.19.

숲집놀이터 275. 혁명



스스로 갈아엎고(혁명) 싶다면 아기를 낳아서 돌볼 노릇이다. 스스로 아주 새사람으로 거듭나고 싶다면 아이랑 놀고 소꿉하고 살림하면서 하루를 새삼스레 돌아볼 노릇이다. 아기를 낳을 만한 몸이 아닐 적에는, 아기를 받아들이면(입양) 된다. 또는 마을이나 이웃에서 살아가고 뛰놀고 노래하는 아이를 언제나 상냥하고 즐거우면서 슬기로이 마주하면서 보살필 줄 아는 어른으로 살면 된다. 나이만 먹고 몸뚱이만 클 적에는 죽음길이다. 나이를 잊고서 아기·아이·어린이·푸름이하고 어깨동무하는 눈빛으로 마음을 가다듬을 적에는 삶길이다. 나이만 먹고 몸뚱이만 큰 이들은 아기·아이·어린이·푸름이한테 함부로 말을 놓거나 ‘아무말잔치’를 일삼고, 시키기만 하더라. 나이를 먹기보다는 스스로 꿈꾸고 하루를 그리고 살림을 짓고 사랑을 노래하는 사람으로 살아갈 적에는, 늘 아이 눈높이로 말할 뿐 아니라 아이하고 함께 나아갈 길을 살피면서 상냥하고 어진 길을 새록새록 배우고. ‘아이낳기’란, “어버이가 그동안 믿은 틀을 몽땅 허물어버리고, 아이한테 맞추어 새길을 꽃길로 짓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배움빛 2022.6.30.

숲집놀이터 274. 퉁퉁



아이를 안고 업으며 돌아다니면 다리가 퉁퉁 붓는다. 뼈마디도 시큰거린다. 문득 몸을 바라보면 안 아프거나 안 쑤시거나 안 결리거나 안 고단한 데가 없다고 할 만하다. 이때마다 늘 생각을 새롭게 추스르면서 빙긋 웃는다. “아하, 천기저귀를 쓰고, 유리병을 쓰고, 아이 도시락이랑 장난감이랑 그림책이랑 그림종이랑 붓이랑 부채랑 이모저모 잔뜩 챙겨서 등짐으로 메고 다니면 이렇구나.” 하고 깨닫는데, “우리 어머니는 어떻게 혼자 이런 살림을 다 건사하면서 지내셨으려나?” 하고 돌아본다. 그리고 “우리 어머니를 낳은 어머니에, 우리 어머니를 낳은 어머니를 낳은 어머니에 …….” 하고 끝없이 생각을 잇는데, 어느 때에 이르러 하나도 안 아프고 안 쑤시고 안 결리고 안 고단하게 살림을 사랑한 어버이를 만난다. 아주 멀잖은 어느 무렵 우리 옛 어버이는 나즈막히 속삭인다. “얘야, 네가 스스로 짐을 짊어진 채 힘들다고 생각하니 힘들단다. 네가 스스로 사랑을 품고서 아이한테 빙그레 웃음짓는 노래를 들려주면 무엇이 힘들겠니? 모든 하루가 기쁨이자 웃음꽃이 아닐까?” 가시어머니(장모님)가 혀를 끌끌 찬다. 우리 어머니도 혀를 끌끌끌 찬다. “너, 돈 없어서 그래? 차(자가용) 사줄까?” “어머니, 저는 차를 살 돈이 없기도 하지만, 차를 살 돈이 있어도 안 사고 싶어요. 아이를 안고 업으면서 이 짐을 짊어지며 다니는 하루가 대단히 즐거운걸요. 아이도 이렇게 즐겁고 웃고 노래하다가 잠들잖아요.” “그러니까 힘들잖아.” “어머니는 저를 낳아 돌볼 적에 힘드셨어요?” “나? 왜 그렇게 물어? 안 힘들었다면 거짓말이지만, 힘들기만 했겠니?” “거 봐요. 어머니도 사랑을 느끼셨잖아요.” “아니, 왜 사서 고생을 하냐구?” “사서 고생이 아니라, 기쁨을 날마다 누리는 길이에요.” “에그, 잘났어!” “그럼요, 어머니가 낳아 주었는걸요.”


ㅅㄴㄹ


2008년 여름에 큰아이를 낳고서 2011년에 작은아이를 낳은 다음, 2014년까지 어머니한테서 자주 듣던 핀잔을 그대로 옮겼습니다. 어머니, 어머니 핀잔을 그대로 옮겼습니다만, 너그러이 봐주시기를 바랍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