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9, 7, 6, 4, 2, 1.5 : 전북 전주라는 고장에서 길손집에 깃들어 하루를 묵은 지 꽤 된다. 아마 2002년부터였을까. 돌이키면 거의 해마다 전주에 여러 볼일로 찾아와서 늘 다른 길손집에서 묵었을 텐데 늘 하룻삯이 달랐다. 가장 많이 치른 때는 하루 9만 원, 오늘 2020년 10월 29일 어느 길손집은 1.5만 원인데, 참말로 하늘땅처럼 벌어진다. 그렇다고 9만 원을 치르고 묵은 집이 넓거나 시원하거나 좋지 않았다. 외려 오늘 묵는 1.5만 원짜리 길손집이 가장 넓고 가장 시원하고 가장 화학약품 냄새가 적구나 싶다. 웃기면 웃기지만 곰곰이 따지면 참으로 겉속이 다른 우리네 모습이지 싶다. 우리는 저마다 어떤 보금자리를 가꾸는가? 우리는 스스로 어떤 삶길을 걸을까? 이웃님이 하룻삯을 대주어 하루 25만 원짜리 칸이나 하루 10만 원짜리 칸에서 묵은 적이 몇 날 있는데 그러한 곳이 썩 좋지 않았다. 값은 제법 나가지만 별을 볼 수 없을 뿐더러, 창문을 열어 바깥바람을 쐴 수도 없더라. 마당도 없고 나무를 쓰다듬을 수 없는 곳에서 하룻밤을 묵고서 100만 원을 치른들 무엇이 좋을까? 맨발로 풀밭을 거닐다가 풀벌레 노랫소리에 귀를 기울일 틈이 없다면 그곳이 하룻밤 1000만 원이라 한들 뭐가 대단할까? 아늑한 잠자리란 무엇일는지, 참으로 밑바닥부터 다시 생각하는 이 나라가 되기를 빈다. 2020.10.29.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1500 + 3000 예방주사 또는 예방접종 : 2020년 10월 24일에서 25일로 넘어갈 무렵, 나라(질병관리청)에서는 ‘독감 예방주사 사망자’를 밝혔다. 2019년에 ‘독감 예방주사를 맞고 이레가 안 되어 죽은 사람 가운데 65살이 넘은 사람이 1500’이라고 한단다. 2019년에 ‘독감으로 죽은 사람은 3000’이라고 한단다. 왜 이 ‘죽음 숫자’를 여태 꽁꽁 감추었을까? ‘2020년 독감 예방주사로 죽은 사람이 아직 50’이니까 얼마 안 될 뿐 아니라, 걱정도 두려울 일도 없다고 밝히는 셈인데, 이런 나라가 멀쩡한가? 이렇게 밝히는 나라를 믿거나 따르는 사람을 멀쩡하다고 해야 할까? 사람들이 손에 쥔 촛불힘으로 얼결에 나라일꾼이 된 그들은 무슨 짓을 일삼는 셈일까? 핵발전소를 닫는다면서 시골 멧자락에 온통 ‘중국에서 사들인 햇볕판’을 허벌나게 박아 놓았다. 숲을 밀면서 무슨 푸른길을 가겠다는 소리일까? 저짝을 믿을 일이 없지만, 이짝도 믿을 일이 없다. 그렇다면 그짝은? 글쎄 어느 짝도 미덥지 않다. 우리는 우리가 스스로 지키고 돌보고 가꾸어야 할 뿐이다. 2020.10.25. ㅅㄴㄹ


* ‘예방접종’이 뭔지 제대로 알고프다면 다음 책을 읽으면 된다.

《예방접종 어떻게 믿습니까》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하여》

《예방접종, 부모의 딜레마》

《예방접종이 오히려 병을 부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좋은책 나쁜책 사이 : 좋은책하고 나쁜책 사이는 없다. 읽는 눈에 따라 다를 뿐. 참으로 철없는 그림책 하나를 읽고 나서 느낌글을 쓰다가 생각한다. “그린이는 어쩜 이렇게 철없을까?” 그러나 철없는 채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책을 엮으면 이렇게 되는구나 하고 돌아본다. 내가 철없는 채 살면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린다면 이렇게 되었겠다고 깨닫는다. 철없는 눈빛으로 빚은 그림책은 나쁜책일까? 아니다. 그러면 좋은책인가? 아니다. 팔림새로 치면 좀 팔린 책일 테고, 이름값으로 치면 좀 이름값을 얻은 책일 텐데, 이 그림책을 펼친 사람들한테 다 다르게 이야기로 스며들었겠지. 무엇이든 알려주고 보여주면서 일깨운다. 저마다 어떤 눈길로 오늘 하루를 살아가는가를 가만히 풀어낸다. 어느 책을 읽을 적에는 “아, 그래그래, 이렇게 살면서 바보가 되고 싶지 않아.” 하고 느낀다. 어느 책을 읽을 적에는 “아, 그래그래, 이렇게 살면서 노래하니 스스로 사랑이란 꽃을 피우는구나.” 하고 배운다. 그저 읽는 눈에 따라 다른 책이 있을 뿐이다. 좋은책도 나쁜책도 없다. 2020.10.13.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조정래 박태준 토착왜구 일본유학 호텔밥 : 붓을 쥔 사람은 제 손으로 두 가지 글을 써도 될까? 지난날 쓴 글이 부끄럽거나 어리숙했다고 여긴다면, 지난날을 돌아보거나 뉘우치거나 되새기면서 고개숙이는 붓질을 할 만하니, 이때에는 한 손으로 두 글을 쓰는 셈이다. 그러나 돌아봄도 뉘우침도 되새김도 고개숙임도 아닌, 핑계로 가득한 두 가지 글을 쓴다면, 이녁 민낯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꼴이라고 본다.


나는 고등학교를 다니던 1991년에 마을책집에서 《태백산맥》을 하나씩 사서 읽었다. 한 자락을 다 읽으면 마을책집에 다시 가서 뒷걸음을 챙겨서 읽었다. 이러다가 대여섯걸음 무렵부터 잘 안 읽히더라. 그래도 끝까지 다 사 두자 생각했으나, 어쩐지 줄거리가 뒤엉키는구나 싶어 그만두기로 했다.


우리 형은 《태백산맥》뿐 아니라 《한강》까지 모두 장만해서 읽더라. “형, 나는 이 사람 책 도무지 안 읽히던데, 형은 어떻게 읽었어?” “뭐야? 넌 아직도 안 읽었냐? 다른 쓰잘데기없는 책은 읽지 말고 이 책들부터 읽어라. 아니면 내가 사 주랴?”


나는 ‘조정래 읽기’를 ‘태백산맥 대여섯 자락’에서 멈추고 더는 안 읽기로 했는데, 나중에 이녁 책을 새로 읽어야 한다면 형한테서 빌리자고 생각했고, 아직 형한테서 빌리지 않는다. 아니, 빌릴 마음을 깨끗이 접었다. 조정래 이분이 ‘박태준 위인전’을 펴낸 때에 ‘조정래는 앞말하고 뒷말이 다른 사람, 또는 한 손으로 두 가지를 말하는 사람’이라고 느꼈다.


2020년 10월 어느 날, 조정래 이분이 어디에 나와서 ‘토착왜구·일본유학·친일파’ 이야기를 들추었다. 이분은 그대 아버지만큼은 ‘일본유학’을 했어도 토착왜구도 친일파도 아니라고 한다지. 다른 사람은 모조리 토착왜구나 친일파가 된다지.


자, 그러면 대통령 딸은? 윤동주 시인은? 일제강점기에 이 나라를 떠나 일본으로 배우러 간 사람을 얼마나 헤아리면서 그런 말을 읊으실까? 일본경찰에 쫓겨 숨듯이 일본으로 건너가서 조용히 배운 사람이 수두룩하다. 일본경찰 아닌 친일경찰에 쫓겨 달아나듯이 일본으로 넘어가서 숨죽이며 배운 사람도 많다. 이 나라 벼슬아치나 우두머리는 도무지 믿을 수 없고, 그렇다고 일본제국주의에 빌붙기 싫지만, 앞선 배움길을 우리보다 일찌감치 연 일본한테서 눈물로 배워서 새롭게 일어서려는 다짐으로 일본으로 찾아가서 배운 사람도 참으로 많다.


나라를 팔아먹은 사람은 일본으로 안 건너갔어도 팔아먹었다. 스스로 삶을 사랑하며 이 나라가 푸른숲이 되도록 마음을 기울인 사람은 일본이건 미국이건 중국을 넘나들어도 언제나 고요히 아름길을 걸었다.


손에 붓을 쥔 그대여, 사람들을 둘로 쪼개지 마라. 부끄럽지 않은가? 붓잡이 사이에는 ‘선배·대선배’가 없다. 얼마나 낡아빠진 생각으로 붓을 쥐기에, 그대는 그대보다 스무 살이 젊은, 그렇지만 쉰 줄 나이를 훌쩍 넘고 예순에 가까운 사람더러 ‘대선배를 존경할 줄 모르는 불경죄’ 같은 말을 들먹이는가?


막글을 퍼붓지 말고 글을 쓰기를 빈다. 그대가 참으로 붓잡이라면, 모든 돈·이름·힘·나이를 집어치우고서, 오직 언제나 첫발을 떼는 풋풋한 글꾼이라는 마음이 되어 가장 수수하면서 더없이 들꽃같은 글을 쓰시라. 조정래 이분은 호텔밥을 오랫동안 잡수시다 보니, 이제 시골 흙지기 밥차림이 무엇인지 하나도 안 보이시나 보다. 2020.10.16.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마음을 받다(선물을 받다) : 어제 깜짝 놀랐습니다. 하늘을 날아 노래가 날아왔어요. 노래가 하나, 둘, 셋, 넷, ……. 이 노래를 차근차근 누리려고 해요. 고맙습니다! 2020.10.15. ㅅㄴㄹ


昨日びっくりしました。 空を飛んで歌が飛んできました。 歌が1、2、3、4 ……。 この歌を一つ一つ享受しようと思います。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


쉽게 ‘선물’이라고 하지만, ‘마음’이나 ‘노래’나 ‘사랑’이나 ‘빛’이라는 낱말로 새롭게 나타낼 만하지 싶습니다.


簡單に「贈り物」と言いますが、「心」や「歌」や「愛」や「光」という單語で新しく表すに値すると思いま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