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넋 2023.1.31.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4 김연경 남진 사진


2023년 1월 30일, 난데없는 글(신문기사)이 떴습니다. ‘배구선수 김연경’하고 ‘노래하는 남진’ 두 사람이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김기현’하고 꽃다발을 든 채 함께 찰칵 찍은 탓이라는데, 오늘날은 지난날하고 달라 고작 하루가 지나지 않아 민낯이 환하게 드러납니다. 지난날이라면 며칠 아닌 몇 달이나 몇 해 동안 거짓글에 속아 ‘김연경·남진 손가락질’을 하는 사람들이 있을 테지요. 김연경 님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온누리 으뜸별(최고선수)입니다. 누리집(인스타) 벗만 160만이 훌쩍 넘지만, 길에서 문득 스치는 사랑이(팬)가 있어도 기꺼이 찰칵 찍히면서 ‘엄지척’을 해준다고 널리 알려졌습니다. 김연경 님은 지난 스무 해 동안 따로 ‘벼슬길(정치색)’을 밝힌 적이 없이 오롯이 배구만 판 삶입니다. 왼오른이 없이 한길을 파는 사람한테 “이쪽이냐 저쪽이냐 갈라치기”를 하려 든다면, 시커먼 꿍꿍이를 노리는 무리이거나, 시컴둥이한테서 뒷돈을 받은 놈일 테지요. 글꾼(작가)도 읽님(독자)이 책에 손글씨(사인)를 적어 달라면 누구라도 다 적어 주고 함께 찰칵 찍습니다. 읽님이 왼오른이든 따질 일이 없어요. 우리는 모두 다른 숨빛인 사람이거든요. 허울은 눈가림·거짓말로 터지고, 참빛은 살림·나눔으로 피어납니다.

.

ㅅㄴㄹ

.

숲노래 씨는 ‘이름글꾼(유명작가)’은 아니나

책하고 사전을 몇 써낸 사람으로서

숲노래 책과 사전을 사읽은 분이 누구이든

다 손글씨랑 동시를 적어서 건네고

사진도 함께 찍는다.


‘김연경·남진 사진’은

김기현이란 놈팡이가 거짓장난을 친

민낯이 드러나기는 했되,


정치성향이 이러하든 저러하든

어느 쪽을 밀든 말든

그저 ‘다 다른 사람’으로 바라보면서

우리 스스로 ‘다 다른 한길’을

즐겁게 걸어가면서

이 푸른별을 아름답게 가꾸는 일에

온마음과 온사랑을 쏟을 노릇 아닐까?


‘다음 사이트 덧글’을 보고서

이렇게 깜깜이가 많나 싶어

조금 놀랐으나

우리 눈높이를 고스란히 드러냈을 뿐이라고

느낀다.


그래도

민낯이 다 드러난 1월 31일 저녁부터는

깜깜이로 김연경 선수를 깎아내리던 덧글이

모조리 사라진 듯싶다.


김연경 선수는

소속구단 흥국생명이 막질을 벌였어도

학교폭력 칼둥이 자매가 막짓을 일삼았어도

모든 민낯이 드러날 때까지

조용히 지켜보고 연습·운동만 하면서

꽃등이라는 자리를 가꾸어 왔다.


2004년부터 2023년 오늘까지

김연경 선수 경기를 거의 다 본 사람으로서

글 한 조각 남긴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3 슬램덩크 표절



  어릴 적에 곧잘 ‘AFKN’을 틀었습니다. 제가 살던 인천은 ‘2’에서 ‘주한미군방송’이 나왔습니다. ‘새서미 스트리트·The Little Mole·스타 트렉·심슨 가족’에 ‘WWF·NFL·MLB·NBA·NCAA·NHL’도 보았어요. 어릴 적에는 뭔 소리인지 몰라도 우리나라에서는 안 보여주는 여러 이야기를 누릴 수 있었고, 이웃나라에서는 저런 이야기를 보는구나 하고 헤아렸습니다. 1990년 여름에는 ‘이탈리아 월드컵 대회’를 주한미군방송으로 보았어요. 이해에 《슬램 덩크》 몰래책(해적판)이 떠돌았습니다. 동무들은 《북두의 권》하고 《드래곤 볼》 몰래책도 글붓집(문방구)에서 300∼500원에 사서 돌려읽는데 ‘주한미군방송 NBA(미국프로농구)’를 빼다박은 몸놀림 그림이 영 시원찮아 “난 안 볼래” 하고 손사래쳤습니다. 《슬램 덩크》는 그때나 이제나 널리 읽힙니다. 2022년 겨울에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나오며 다시 바람을 일으키는 듯한데, 이제 웬만한 사람들이 다 아는 ‘미국프로농구 몸놀림 따라그림(표절)’을 놓고 이노우에 다케히코 씨가 딱히 무슨 말을 밝히지는 않은 듯싶습니다. 새로 선보이는 그림은 지음삯(저작권)을 제대로 치렀을까요? 아니면 무슨 뒷배가 있을까요? 그분은 베낌질(표절)로 여민 그림이 안 창피할까요?


ㅅㄴㄹ


이노우에 다케히코 씨는 여러모로 뒷배가 있었으리라. 아무 뒷배가 없이 ‘저작권을 깐깐하게 따지는 미국’에서 손놓거나 봐줄 수 없는 노릇이니까. 문득 허영만 씨 《퇴색공간》이 떠오른다. 우리나라 허영만 씨는 전두환·노태우 우두머리가 판치던 무렵, 안기부 뒷배를 받았구나 싶은 그림꽃을 꽤 펴냈다. 《오! 한강》만 아는 사람이 많으나, 《퇴색공간》이 버젓이 있다.


(독재부역 만화 퇴색공간 이야기) https://blog.naver.com/hbooklove/6006418373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2 아줌마 눈길



  지난날 글바치는 우리말을 안 쓰고 우리글에 담지 않았습니다. 예전 글바치는 중국말을 하면서 중국글을 썼고, 조선이 무너질 즈음에는 일본말을 하면서 일본글을 썼어요. 1945년 뒤에도 이 글결은 그리 안 바뀌다가 영어가 스며들었고 옮김말씨(번역체)가 섞였습니다. 이제는 거의 모두 한글로 글을 쓰지만, 막상 ‘무늬만 한글’이되 ‘우리말·우리글’로 마음과 삶과 넋을 밝히는 글을 쓰는 분은 드뭅니다. 이제는 사라졌다 싶은 ‘필자(筆者)’라는 한자말을 우리말로 옮기면 ‘붓꾼·붓바치’입니다. 요새는 ‘작가(作家)’란 한자말이 널리 퍼지는데 우리말로 옮기면 ‘지음이(짓는이)·쓰는이(글쓴이)’입니다. 글을 쓰든 그림을 그리든 빛꽃(사진)을 찍든 스스로 ‘필자·작가·예술가’로 여기면 겉치레나 꾸밈새로 기울어요. 스스로 ‘삶·사랑·숲’을 품는 ‘사람’으로 여겨야 비로소 ‘지음이·쓰는이’로 섭니다. 글순이라면 “아줌마 눈길”로, 글돌이라면 “아저씨 눈길”로 살림을 오순도순 짓는 보금자리숲 이야기를 담을 적에 스스로 빛나는 지음길·글길·그림길·빛꽃길을 이루리라 생각합니다. ‘작가로서 창작과 예술과 비평’을 하려 들면 허울스럽습니다. 살림지기로서 숲빛을 담아 이야기를 짓기에 사랑스럽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1 십진분류법



듀이 십진분류법 : 000 컴퓨터 과학 정보 총류, 100 철학, 심리학 200 종교, 300 사회 과학, 400 언어, 500 과학, 600 기술, 700 예술 레크리에이션, 800 문학, 900 역사, 지리


일본 십진분류법 : 0류 총기(總記), 1류 철학, 2류 역사, 3류 사회과학, 4류 자연과학, 5류 기술 공학 공업, 6류 산업, 7류 예술, 8류 언어, 9류 문학


한국 십진분류법 : 000 총류, 100, 철학, 200 종교, 300 사회과학, 400 자연과학, 500 기술과학, 600 예술, 700 언어, 800 문학, 900 역사


  곰곰 보면 ‘서양 책숲길(도서관학)’을 옮긴 ‘일본 십진분류법’을 일본이 이 나라에 심었고 여태 고스란히 흐릅니다. 낱말책을 쓰느라 모든 갈래 책을 두루 읽으며 헤아리자니, 어느 책갈래(십진분류법)이든 우리 책빛·책길·책결에는 안 어울리는구나 싶어요. 저는 제가 읽고 건사해서 책마루숲(서재도서관)에 놓는 책을 새롭게 나눕니다.


숲노래 책갈래 : ㄱ모둠, ㄴ삶책, ㄷ살림책, ㄹ사랑책, ㅁ숲책, ㅂ사람책, ㅅ이야기책, ㅇ노래책, ㅈ빛책, ㅊ낱말책


숲노래 책가름 : 사진책, 그림책, 만화책, 배움책, 어린이책, 손바닥책, 오래책, 노래책(시집), 얘기책(산문·소설), 삶책(인문), 숲책(환경), 낱말책, 순이책(여성), 어른책(빛나는 어른 책칸), 살림책(문화), 책책(책을 말하는 책), 믿음책

.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0 자퇴



  1982∼1987년을 다닌 어린배움터에서는 날마다 길잡이한테 두들겨맞고 꾸지람을 들었으며, 때로는 또래나 언니한테 얻어맞고 돈을 빼앗겼지만, 이럭저럭 다닐 만했습니다. 푸른배움터로 들어간 1988년은 불구덩이가 바로 이런 모습이로구나 싶어 그만두고 싶었는데 우리 언니가 “국졸로 어떻게 빌어먹으려고?” 하고 꾸짖어서 세 해를 꾹 참았습니다. 1991년에 들어간 새 푸름배움터는 그나마 나았어도 매한가지여서 또 그만두고 싶었으니 우리 언니가 “우리 집안에서 대학교 갈 사람은 너밖에 없는데 뭘 그만둬!” 하고 나무라서 다시 견뎠습니다. 1994년에 열린배움터에 들어가서 첫 여섯 달을 보내며 “아, 이곳은 배움터가 아니라 노닥터잖아! 배움삯(등록금)이 너무 아깝다!” 소리가 날마다 튀어나왔습니다. 이제서야 우리 언니는 “너도 할 만큼 했으니 네가 알아서 할 때야.” 하더군요. 우리 언니도 집안에서 맏이란 이름으로 온갖 가시밭을 말없이 받아들였겠지요. 다섯 철(학기)을 억지로 버틴 그곳에서 얻은 몇 가지를 꼽아 봅니다. 첫째, 우리나라 배움터는 불구덩이나 노닥터이다. 둘째, 그 돈·품·틈이면 새길을 짓는다. 셋째, 배우고 싶으면 혼자 스스로 배우자. 넷째, 한국외대는 문익환 님을 기리는 노래 ‘꽃씨’가 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