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사람노래 . 강경애 2023.2.2.



땀을 바친 땅에

힘들여 씨앗을 심고서

날마다 돌아보고 일궈

논밭이 푸르게 태어나


비지땀 흐른 등판은

하얗게 소금꽃 피는데

짜디짠 바닷물이라면

바닷방울도 땀방울일까


밭가꾸고 살림하며 투박한

두 손으로 아기 안고

집짓고 밥지으며 수수한

두 손에 꽃잎 내리고


어둡고 고요한 밤에

별이 한결 밝구나

동틀녘마다 새삼스레

구름너울 보며 일어선다


ㅅㄴㄹ 


사람은 흙에 뿌리내리면서 자라는 풀꽃나무한테서 밥·옷·집을 얻고 누리고 나누는 살림입니다. 그런데 ‘나라를 세워서 이끄는 임금·벼슬아치·나리·글바치는 흙하고 등지거나 동떨어진 채 힘·이름·돈을 움켜쥐고서 ‘수수한 사람(백성)’을 억눌러 왔어요. 오늘날 우리는 누구나 마음껏 배우거나 책을 읽거나 글을 쓸 수 있으나, 1443년에 ‘훈민정음’이 태어났어도 ‘수수한 사람’들은 배움터(학교)도 글도 책도 없이 흙만 일구는 삶이었어요. 그나마도 ‘흙으로 지은 낟알·열매·옷·나무’를 비롯한 숱한 살림살이를 죄 나라(정부)한테 빼앗기고 나리(양반)가 앗아갔어요. 강경애(1907∼1943) 님은 이런 차갑고 갑갑한 나라가 일본한테 휘둘리던 무렵에 태어나 글을 익혔고, 스스로 익힌 글로 ‘흙으로 살아가는 수수한 사람들’ 이야기를 차곡차곡 썼어요. 스스로 흙빛살림을 지으면서 흙빛소리를 흙빛글로 여미는 첫길을 열었다고 여길 만합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사람노래 . 닥터 수스 Dr. Seuss 2022.11.21.



물 흐르는 소리를 듣는다면

물결소리를 물결노래로 그리지

바람 부는 소리를 느낀다면

바람소리를 바람노래로 옮기네


가랑잎 구르는 소리에는

잎망울부터 잎사귀 사이에

해를 먹고 비를 마신\

모든 이야기가 깃들어


아기가 웃는 소리에는

이 별에 태어난 보람에

어버이가 들려주는 사랑에

하루하루 새로 기쁨이 퍼져


너랑 나를 가르면 싸우지만

너랑 내가 나누면 사이좋고

하늘처럼 하나로 아우르면

하얗게 반짝이는 별빛이야


ㅅㄴㄹ


삶자리 어디에나 익살이 가득하면서 즐겁게 어울릴 적에 ‘아름나라’를 이룬다고 여긴 닥터 수스(1904∼1991) 님입니다. 다투는 짓이 아닌 살리는 마음을 바라면서 그림을 여미었고, 어느 이야기이든 척척 맞아떨어지면서 구슬처럼 흐르는 가락을 얹어서 노래로 들려주고 펼 수 있기를 바랐지요. 생각이 뛰놀고 말결이 춤처럼 어우러지면, 모든 아이가 저마다 의젓하고 웃음빛으로 자라리라 여겼어요. 틀에 박힌 어른들이 어린이를 섣불리 가두지 않도록, 어느 한쪽만 옳을 수 없다는 뜻을 그림책으로 여미었어요. 크거나 작다고 가를 수 없이 저마다 아름답고, 높거나 낮다고 따질 수 없이 온누리(우주)가 하나로 어울린다는 뜻을 차곡차곡 글·그림에 담으려 했어요. 어떤 분은 닥터 수스 님 그림이 어느 겨레를 놀린다고 여기기도 하지만, 다 다른 겨레·나라·사람·숨결을 그저 다 다른 빛깔로 그리면서 ‘울타리 없는’ 어깨동무를 선보이려고 한 그림일 뿐입니다. 어린이도 어른도 눈길이 갇히면 마음이 갇히고 생각까지 억눌리고 마는 줄 알아차릴 수 있다면, 《호튼》이나 《크리스마스를 훔친 그린치(How the Grinch stole Christmas)》나 《바솔러뮤 커빈즈의 모자 500개》나 《갓에 냥이(the Cat in the Hat)》에 숨은빛을 읽을 테지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숲빛노래 . 톳 2023.2.1.



바닷물은 방울처럼 통통

가볍게 날고 놀고

춤추면서 어우러지다가

고요히 잠들어


해님은 희뿌윰히 톡톡

가볍게 돋고 밝고

눈부시게 피어나다가

가만히 넘어가


갈매기는 모래밭에 툭툭

가볍게 앉고 쉬고

거닐면서 바람쐬다가

어느새 날아가


바닷속에서 자라며

바닷가를 돌아보고

바닷내음 품어보는

바다나무 톳 한 그루



땅바닥에 뿌리내리면서 푸르게 자라는 나무가 있고, 바닷바닥에 뿌리내려서 푸르게 살아가는 ‘바닷나물’인 ‘톳’이 있어요. 사람들은 톳을 따서 밥살림으로 누리는데 톡톡 씹는 통통한 결은 우리 몸에 바다빛으로 튼튼히 스며요. 바닷속에서 따뜻하고 푸르게 살면서 품는 기운은 뭍에서 뛰고 놀고 노래하는 사람들한테 찰랑찰랑 싱그러운 마음을 북돋운다고 하겠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책집노래 . 훔친책 2023.1.7.



네가 읽고픈 책이라면

네 땀방울 들여

찬찬히 번 돈을

즐겁게 쓰렴


네가 쓰고픈 글이라면

네 눈물꽃 웃음꽃으로

천천히 지은 삶을

기쁘게 담으렴


훔친책은 외려 못 읽어

훔침글은 곧 들통나지

장만한 책은 곁에 둘 테고

손수 쓴 글은 늘 빛나지


들숲은

끝없이 맺고 잇는

작은 씨앗으로

한결같이 푸르고 밝아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우리말 노래꽃

숲빛노래 . 나비살이 2023.1.23.



잎을 갉으며 잎내음 물씬

마디마디 받아들이고서

밤빛을 헤아리며

잠이 들지


허물을 벗으면서 조금조금

작은몸 키우고 키우다가

배고픔 사라지며

고치 틀지


풀잎물 가득한 몸을

바람에 햇볕에 별빛에

그대로 맡기며

고이 녹여


햇살 한 줄기 드는 날

알록달록 날개 달고서

고마운 풀꽃나무 찾으며

꽃가루 옮겨


ㅅㄴㄹ


꽃가루받이를 하며 꽃꿀을 누리는 나비입니다. 날개를 달고 풀꽃나무 곁에서 씨앗맺이를 거들기 앞서는 풀잎이나 나뭇잎을 갉으며 천천히 몸을 살찌우는 나날을 보내요. 푸나무는 뒷날에 깨어날 나비를 그리며 기꺼이 잎을 내어준답니다. 애벌레는 풀물을 넉넉히 누리고서 깊이 잠들고, 앞으로 바람춤으로 놀 새길을 꿈꾸지요. 허물벗기랑 날개돋이를 우리 모두한테 가만히 보여주는 ‘나비’는 “나는(날아오르는) 빛”이라 여길 만합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