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루코와 일하는 동물 2
이시다 요로즈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7.14.

나랑 노는 네 마음


《요루코와 일하는 동물 2》

 이시다 요로즈

 나민형 옮김

 학산문화사

 2023.12.25.



  마음을 푸근히 놓는 사이라서 함께 놉니다. 마음을 못 놓는 사이라면 못 놀아요. 같이 놀지 못 한다면, 같이 일하지 못 하지요. 놀거나 일할 적에 어울리지 못 한다면, 그냥 같은 곳에 있더라도 거북하면서 힘겹습니다.


  마음을 나누는 사이라서 따뜻하게 살피고 포근하게 다독입니다. 마음을 안 나누는 사이라면 차갑게 등돌리거나 매몰차게 밀어내겠지요. 마음을 나누기에 같이 놀거나 일하고, 마음을 안 나누니 같이 놀거나 일하기 벅찹니다.


  《요루코와 일하는 동물 2》(이시다 요로즈/나민형 옮김, 학산문화사, 2023)은 언제 어디에서 마음을 가볍게 놓고서 즐겁게 하루를 누릴 수 있는지 들려줍니다. 적잖은 이들은 얼핏 “걱정해서 하는 말”이라면서 마음을 들쑤시곤 합니다. 그분들로서는 “걱정해서 하는 말”일는지 모르나, 그분들 말을 듣는 쪽에서는 어떤 마음일는지 하나도 안 헤아리는 모질거나 몹쓸 말이기 일쑤예요.


  굳이 걱정해 주어야 하지 않아요. 마음을 기울이면 됩니다. 걱정한다는 티를 애써 안 내어도 됩니다. 그저 곁에 나란히 있으면서 어떤 마음인지 살피면 됩니다. “왜 그것도 못 해?” 하고 왜 따져야 할까요? 그분들은 아주 가볍게 어느 일을 해낼는지 모르나, 모든 사람이 모든 일을 가볍게 냉큼 해내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때 되면 짝을 찾아서 아기를 낳아야” 하지 않고, “때 되면 목돈을 버는 일자리를 찾아야” 하지 않습니다. 일찌감치 짝을 찾아서 아기를 낳을 수 있고, 느즈막이 짝을 찾아서 아기를 낳을 수 있으며, 내내 호젓하게 지내면서 아기를 안 낳을 수 있어요. 돈을 조금 벌어서 조금 쓰는 수수한 살림길을 나아갈 수 있고, 시골에서 땅을 일구면서 “돈 아닌 살림”으로 하루를 지을 수 있습니다.


  《요루코와 일하는 동물》에 나오는 요루코 씨는 그림꽃을 빚는 길을 걸어갑니다. 남처럼 빨리 많이 그리지는 못 하지만, 스스로 그리고픈 삶과 살림을 차근차근 담아내는 나날입니다. 긴말이 아니어도, 사람말이 아니어도, 눈빛과 몸짓과 마음으로 사근사근 어울릴 수 있는 뭇숨결하고 어울리는 조그마한 마을에서 느긋하면서 아늑합니다.


  곰곰이 보면, 모든 숨결은 다 다르기에 저마다 새롭게 눈을 마주하면서 마음을 나눕니다. 잔나비하고 고슴도치는 다 다른 몸으로 만납니다. 곰하고 고양이는 서로 다른 몸으로 만납니다. 겉몸은 다르되 마음은 하나일 수 있습니다. 하는 일은 다르되 바라보는 길은 나란할 수 있습니다.


  어느 배움터를 다니는 모든 어린이나 푸름이가 똑같은 값(점수)을 받아야 하지 않습니다. 어느 일터를 다니는 모든 어른이 똑같이 움직여야 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알맞게 배우고 익히고 가다듬어서 하루하루 살아내기에 즐겁게 어울립니다. 더 빠르게도 느리게도 할 까닭이 없이, 스스로 푸근한 결을 헤아리면서 나아갈 수 있기에 아름답게 살아갑니다.


  이 나라뿐 아니라 우리 스스로 더 이름높고 더 돈있고 더 힘센 자리에 서야 하는듯 내몰곤 합니다. 일삯을 높게 치는 곳에서 일해야 할까요? 이름값을 드날리는 데에서 지내야 할까요? 큰힘을 부리는 곳에서 우쭐거려야 할까요?


  아기는 아기로 태어납니다. 큰아이도 작은아이도 아닌 아이입니다. 다 다른 아이가 다 다르게 뛰놀고 배우고 사랑받으면서 다 다른 어른으로 천천히 철들기에 사람살이가 즐겁고 아름다워요. 우리나라에서 아기가 적게 태어나는 까닭을 언제쯤 제대로 바라볼 수 있을까요? 다 다른 사람이 다 다른 사랑으로 하루하루 누리는 터전이라면, 나라에서 목돈을 쏟아붓지 않아도 누구나 기쁘게 짝을 맺어 포근한 보금자리에서 아기를 낳을 테지요. 보금자리나 보금마을이 아닌, 배움불굿(입시지옥)에 일불굿(취업지옥)이라면, 누가 짝을 맺고 싶겠으며, 누가 아기를 낳아 돌보고 싶겠습니까.


  어버이라면, 돈을 받으려고 아기를 낳지 않습니다. 어버이라면, 아기를 먹이고 입히고 재우기만 하지 않습니다. 아기가 누릴 사랑을 헤아리기에 어버이입니다. 아이가 차근차근 익힐 살림과 들숲바다를 살피기에 ‘배움터(학교)’ 구실입니다. 맨발로 뛰놀 들과 숲과 바다가 어디에서나 푸르고 넉넉하다면, 어느 시골도 사라질 일이 없고, 아기는 골골샅샅에서 까르르 웃으면서 기지개를 켜겠지요.


ㅅㄴㄹ


‘일 끝내고 녹초가 됐었는데, 뭔가 개운하게 땀을 흘린 것 같아!’ (19쪽)


‘역시 긴장된다. 남이 내 머리를 만지는 것도, 나한테 말을 거는 것도 불편해.’ (27쪽)


‘이렇게 가만히 있는 시마 짱을 멀리서 보는 건 드문 일인 것 같네. 스체키 할 때는 좋지만, 역시 쓸쓸해! 이 상태가 계속되면 어떡하지!’ (52쪽)


“글쎄요, 제가 동물들한테 인기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 어쨌든 집요하게 행동하면 안 되고.” (77쪽)


“치구사, 티베트모래여우 씨가 슬픈 얼굴을 하고 있어∼!” “처음부터 계속 같은 표정처럼 보입니다만?” (101쪽)


#夜子とおつとめどうぶつ

#石田万


복슬복슬 성분이 부족하다

→ 복슬복슬 기운이 적다

→ 복슬복슬이 모자라다

3쪽


저게 바로 어른의 재력인 거야

→ 저 모습은 바로 어른 돈줄이야

→ 바로 어른 밑천이야

8쪽


프리스비 같은 거 해본 적 없단 말이야∼∼!!

→ 접시는 해본 적 없단 말이야!!

→ 고리는 해본 적 없단 말이야!!

14쪽


남이 내 머리를 만지는 것도, 나한테 말을 거는 것도 불편해

→ 남이 내 머리를 만져도, 나한테 말을 걸어도 거북해

→ 남이 내 머리를 만지건, 나한테 말을 걸건 힘들어

27쪽


크리스마스에는 어디나 북적이니까 집에 있는 게 제일 좋아

→ 섣달잔치에는 어디나 북적이니까 집에 있으면 가장 나아

→ 거룩잔치에는 어디나 북적이니까 집에 있어야 가장 나아

11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리가면 24
스즈에 미우치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7.8.

어긋나며 어울리는


《유리가면 24》

 미우치 스즈에

 해외단행본기획팀 옮김

 대원씨아이

 2010.6.30.



  마음을 기울여서 하기에 어울립니다. 마음을 안 기울이고 안 하려고 드니 안 어울립니다. 마음이 없는 채 움직이니 어긋납니다. 마음이 있기에 부드러이 다가가지요. 마음이 있지 않을 때는 어긋나지만, 마음이 있을 때에는 안 어긋납니다.


  재주가 있기에 어울리지 않습니다. 재주만 내세우니 오히려 안 어울립니다. 솜씨가 있기에 안 어긋날까요? 솜씨만 부리니 거꾸로 어긋나게 마련입니다. 그러니까 이름이 있거나 돈이 있거나 힘이 있더라도 안 어울릴 수 있어요. 이름도 돈도 힘도 없지만 어울리곤 합니다. 마음이 없는 채 이름과 돈과 힘으로 내세우니 끝없이 어긋나요. 이름도 돈도 힘도 없다지만 마음에 사랑씨앗을 심으니 언제 어디에서나 반짝반짝 어울려요.


  《유리가면 24》(미우치 스즈에/해외단행본기획팀 옮김, 대원씨아이, 2010)은 두 길을 들려줍니다. 왜 어긋나거나 어울리는지 보여줍니다. 왜 안 어긋나거나 안 어울리는지 나란히 보여주고요.

  두 사람이 어긋나는 까닭은 늘 하나예요. 돈이나 이름이나 힘이 없어서가 아닙니다. 못생기거나 키가 작거나 크기 때문이 아닙니다. 마음이 없기 때문입니다.


  두 사람이 어울리는 까닭은 언제나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돈에 이름에 힘은 없지만 마음이 있으니 어울려요. 서로 돌아보고 아끼는 눈빛과 숨결이 흐르니 어울립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 두 길을 곰곰이 짚을 노릇입니다. 마음에도 없는 말이란, 이웃한테도 스미지 못 할 뿐 아니라, 먼저 우리 스스로 좀먹습니다. 저쪽이든 그쪽이든 우리가 들려주는 말에 귀를 닫더라도, 마음에 사랑을 심은 말을 차곡차곡 펴면, 우리 삶자리에서 새록새록 깨어나는 빛살이 온누리를 천천히 적셔요.


  할퀴는 말은 남이 아닌 나를 할큅니다. 나무라는 말은 남이 아닌 나를 나무라지요. 마음으로 다가와서 짚고 살펴서 들려주는 말이어도 얼핏 까칠하거나 껄끄럽다고 여기면, 햇볕도 산들바람도 봄비도 쳐내는 셈입니다. 마음이 없이 치켜세우는 말을 그저 좋다고 웃으면, 스스로 허울에 갇히면서 허물벗기를 잊고 말아요.


  《유리가면》에 나오는 두 아이는 늘 거듭나려고 온마음을 기울입니다. 허울스러운 몸짓이 아닌 허물벗기를 하려는 몸짓입니다. 두 아이를 가르치고 이끌고 지켜보는 스승이나 동무나 이웃도 마찬가지예요. 허물벗기에 온마음을 다 하는 두 아이하고 어울리면서 스승도 허물을 벗고 동무도 허물을 벗습니다. 재주나 솜씨만으로 춤추지 못 합니다. 마음을 담은 손끝과 발끝이기에 비로소 춤입니다.


ㅅㄴㄹ


“나한테 본때를 보여주겠다고 하지 않았나. 그만큼 자신이 있다면 내 앞에서 연기할 수 있다는 얘기겠지? 아니면 그냥 허풍인가?” (21쪽)


“이런 이런, 또 일 생각인 겁니까?” “아니, 한 명의 연기자와, 한 명의 바보 같은 팬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어.” (29쪽)


“응, 왜?” “으응. 뭐랄까, 아유미가 햄버거를 물고 있는 모습이 상상이 안 돼서. 왠지 어울리지 않는걸. 난 말야, 아직 알디스를 파악하지 못했어. 내 친구가 그러는데 그건 내가 그런 대접을 받아보지 못해서 그런 거래. 환경이 사람을 만든다, 알디스의 환경을 이해하지 못하면 안 된다고.” (71쪽)


“아유미는 오리겔드를 연기하기에 적합한 재능을 갖고 있다. 넌 알디스를 연기하기 적합한 재능을 갖고 있고. 자기들의 겉모습에만 치우쳐서 그 재능을 제대로 깨우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164쪽)


#美内すずえ #ガラスの仮面


미스 캐스팅이다

→ 어긋난다

→ 따로논다

→ 말도 안 된다

→ 엇가락이다

5


폭우가 와도, 폭설이 내려도, 아니 지진이 일어나

→ 물벼락도, 눈벼락도, 아니 땅이 울려

→ 벼락비도, 벼락눈도, 아니 땅이 갈라져

172


보라색 장미의 사람을 만날 수 있다

→ 보라꽃찔레 사람을 만날 수 있다

173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나카나 5
니시모리 히로유키 지음, 장지연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6.30.

누구 곁에 있겠니


《카나카나 5》

 니시모리 히로유키

 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23.12.25.



  《카나카나 5》(니시모리 히로유키/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23)을 읽습니다. 어른도 아이도 곧잘 되읽습니다. 그림님이 처음 선보인 그림꽃을 돌아보자면, 어느새 이만큼 오는구나 싶도록 붓끝을 가다듬어서 줄거리를 여미는구나 싶습니다. 얼핏 보면, 처음 선보인 그림꽃부터 퍽 오래도록 주먹싸움을 담는구나 싶었는데, 오로지 주먹질로만 기울지 않았어요. “누구 곁”에 어떻게 있으면, “오늘을 보내는 마음”을 어떻게 다스리는지 돌아보는 얼거리였다고 할 만합니다.


  나라지기나 고을지기 곁에 있는 사람이라면, 나라지기나 고을지기 눈치를 본다든지, 이들하고 함께 움직입니다. 들숲바다 곁에 있는 사람이라면, 들과 숲과 바다가 어떻게 흐르면서 철빛이 새로운가를 읽고 느끼고 받아들입니다. 어린이 곁에 있는 사람이라면, 함께 놀고 소꿉하고 살림하는 길을 어떻게 사랑으로 품고 씨앗을 남기는가를 생각합니다.


  누구 곁에 있습니까? 누구 곁에 있겠습니까? 곁에 두는 살림에 따라서 하루가 확 다릅니다. 곁에 놓는 마음에 따라서 생각이 샘솟기도 하지만, 생각이 죽어버리기도 합니다.


  오늘날 숱한 사람들은 사랑이나 들숲바다나 어린이를 곁에 안 둔다고 느껴요. 다들 돈과 이름과 힘을 곁에 두려고들 합니다. 이 나라가 왜 메마를까요? 그놈들 탓이 아닌, 우리 스스로 “곁에 둔 씨앗” 그대로입니다.


ㅅㄴㄹ


“마사, 미안해.  음식 가지고 장난쳐서.” “괜찮아, 카나. 그건 다 큰 어른들도 하는 짓이니까. 자신감을 가져, 카나카!” (9쪽)


“뭐 하는 짓이에요, 마사 씨! 하나도 안 웃겨요! 이런 나조차도 그런 심한 짓은 안 해요! 확실하게 만회하세요.” (18쪽)


“내가, 내가 생일은 바람에, 영영 오지 말 것이지. 요즘은 나 때문에 일도 못 했는데. 3500엔, 500엔짜리가 7개. 오늘은 돈 많이 썼는데. 이제 괜찮은데.” (28쪽)


“아버지, 나, 세계 최고의 주먹밥을 먹었어요! 세 개나 먹었어요. 그 후에 마시는 차가 또 어찌나.” (42쪽)


“멋이죠.” “뭐엇?” “당신이 끔찍한 짓을 당하는 걸 잠자코 구경하는 것보다, 지금은 구해주고 언젠가 쓰러뜨린다. 이게 훨씬 더 멋스러우니까.” (126쪽)


+

#カナカナ #西森博之


과자로 장난치고 있는 게 너냐∼?

→ 네가 바삭이로 장난치냐?

→ 네가 까까로 장난치냐?

→ 네가 강정으로 장난치냐?

8쪽


취학이 뭐야? 카나한테 일 시키는 거야―?

→ 들어가다니? 카나한테 일을 시켜?

11쪽


난 주인공이 되고 싶지 않아. 조연이 좋아

→ 난 꽃님이 되고 싶지 않아. 도울래

→ 난 빛나고 싶지 않아. 곁들이 할래

21쪽


통한의 일격

→ 뼈아픈 주먹

→ 아픈 한주먹

52쪽


알려줘, 마사. 후학을 위해서

→ 알려줘, 마사. 앞날을 헤아려

→ 알려줘, 마사. 뒷날을 생각해

56쪽


스스로 도금을 씌우고, 그리고 스스로 벗어버렸어

→ 스스로 씌우고, 스스로 벗어버렸어

→ 스스로 덮고, 스스로 벗어버렸어

→ 스스로 입히고, 스스로 벗어버렸어

66쪽


나의 지나친 기우겠지

→ 내가 너무 걱정했지

→ 군걱정이겠지

86쪽


요즘 세상에 여자한테 그런 소리 하면 음담패설이야

→ 요즘에 순이한테 그런 소리 하면 더러워

→ 요즘에 가시내한테 그런 소리 하면 지질해

87쪽


부디 선의의 해석을

→ 부디 잘 보기를

→ 부디 곱게 읽기를

102쪽


언젠가는 소리 내서 태클 걸고 싶다

→ 언젠가는 소리 내서 막고 싶다

→ 언젠가는 소리 내서 붙들고 싶다

138쪽


의(義)를 보고도 행하지 않는 것은 용서 없는 짓이야

→ 바른길을 보고도 하지 않으면 봐줄 수 없는 짓이야

→ 사람길을 보고도 따르지 않으면 봐줄 수 없어

139쪽


푸른 하늘에 빨려 들어갔어

→ 파란하늘에 빨려들어갔어

146쪽


천년만년 구시렁구시렁. 그만하고 사과나 해

→ 늘 구시렁구시렁. 그만하고 뉘우치기나 해

→ 내내 구시렁구시렁. 그만하고 고개나 숙여

15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시장 삼대째 18 - 다금바리
하시모토 미츠오 지음 / 대명종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6.29.

골라먹지 않기


《어시장 삼대째 18 다금바리》

 나베시마 마사하루 글

 하시모토 미츠오 그림

 편집부 옮김

 조은세상

 2006.6.23.



  ‘고루먹기’하고 ‘골라먹기’는 얼핏 다른 듯싶지만 닮습니다. ‘고루’ 먹을 적에도 고루고루 ‘고르’면서 먹습니다. 골라서 먹을 적에도 우리한테 맞는 밥을 헤아리면서 ‘고루’ 먹습니다.


  ‘고루먹기’는 ‘모두먹기’가 아닙니다. 스스로 눈을 밝혀서 고른 결을 맞아들이는 길입니다. ‘골라먹기’는 ‘가려먹기’가 아니지요. 스스로 어떤 몸인지 차근차근 짚고서 스스로 살릴 길을 고르게 받아들이는 길입니다.


  《어시장 삼대째 18 다금바리》(나베시마 마사하루·하시모토 미츠오/편집부 옮김, 조은세상, 2006)를 펴면 ‘다금바리’라는 헤엄이를 놓고서 어떻게 바라보는가 하는 이야기로 첫머리를 엽니다. 모르는 사람이 보면 그저 모르거나 아리송할 텐데, 아직 몰랐다고 하더라도 가만히 보고 다시 보고 거듭 보고 새로 보려고 한다면, 어느새 ‘고루’하고 ‘골라’가 얼마나 닮으면서 다른가를 알아차리지요.


  다른 길이라서 어느 쪽이 낫거나 나쁘지 않은 줄 안다면, 닮은 길이라서 어느 쪽이 나쁘거나 낫지 않은 줄도 알 테지요. 우리 삶터는 아직 ‘다름’을 못 받아들일 뿐 아니라, 안 쳐다보기까지 합니다. 제대로 보고, 다시 들여다보고, 새로 살펴보고, 거듭 쳐다보고, 천천히 바라볼 때라야 겨우 눈을 뜰 텐데, 처음부터 그저 눈을 감거나 등을 돌린다면, 하나도 모르기도 할 테고, 이웃하고 동무를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짓을 함부로 하게 마련입니다.


  골라서 먹기에 나쁘지 않지만, 골라먹기를 하기 앞서 모든 맛을 다 보아야 할 테지요. 모두 맛보았기에 우리 몸에 맞거나 안 맞는 결을 알아차립니다. 그런데 우리 몸에 안 맞는구나 싶어도 일부러 받아들일 때가 있어요. 스스로 거듭나려고 할 때에는 ‘여태까지 안 맞는다’고 여긴 결을 맞아들이지요. 스스로 깨어나려고 할 때에도 ‘이제까지 안 쳐다보고 안 받아들였다’고 여긴 곳으로 나아갑니다.


  누구나 삶터를 골라서 지냅니다. 서울에서도 살고 시골에서도 살아요. ‘서울’도 여럿이니, 이름 그대로 서울이 있고, 부산과 인천과 대구와 광주와 대전이 있어요. 또한 전주와 나주와 포항과 순천과 강릉과 춘천이 있지요. 우리는 누구나 ‘골라’서 살아갑니다. 다만, 어느 고장을 골라서 살아가더라도 ‘우리나라 어느 곳’이든 저마다 다르게 아름답게 삶을 지을 터전인 줄 알아차릴 노릇입니다.


  서울이 가장 낫지 않고, 가장 나쁘지 않습니다. 시골이 더 나쁘지 않고, 더 낫지 않습니다. 다 다른 삶에 맞추어 다 다른 삶터입니다. 이 얼거리를 느끼고 읽고 받아들일 뿐 아니라, 말할 수 있으면서 나누는 마음으로 자라야, 비로소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나 어른으로 섭니다.


  철들지 않기에 함부로 뽑거나 가리더군요. 철든 사람은 고루 살펴서 읽고, 골라서 헤아리며 읽지요. 철들지 않으려 하기에 몇몇 갈래에 얽매입니다. 철든 마음을 모르기에 자꾸자꾸 서울로만 쏠리면서 ‘이름·돈·힘’에 매달립니다.


  글은 그저 글일 노릇입니다. 이름난 이가 써야 빛나지 않습니다. 수수한 옆집 아저씨가 쓰기에 안 빛나지 않습니다. 그림은 그냥 그림입니다. 빼어난 이가 붓을 놀려야 아름답지 않습니다. 옆집 아이가 문득 쥔 붓으로 슥슥 담아도 아름답습니다.


  우리가 밥살림으로 맞아들이는 ‘고깃살’이라면, 고깃살을 바라보고 마주하는 마음에 따라서 다 다릅니다. 고기밥이 아닌 풀밥을 누릴 적에도 매한가지예요. 풀밥이어야 훌륭하지 않고, 고기밥이라서 힘나지 않습니다. 어느 밥이건, 우리가 마음에 사랑을 심어서 기쁘게 나누고 즐겁게 펴려는 생각이 흐를 노릇입니다.


  골라먹거나 골라읽지는 않으나, 고르게 곱게 곰곰이 가다듬을 줄 아는 눈길에 손길에 매무새일 때에 사람답습니다. 가리거나 가르지 않을 줄 알 적에, 품고 풀면서 푸르게 피어나려는 마음으로 걸어갈 적에, 우리는 저마다 다르게 아름다운 사람입니다.


ㅅㄴㄹ


“지방에 따라 이름이 다르다지만, 농성어도 다금바리! 이것도 다금바리라고 한다구요?” “그렇네. 여기서야 농성어와 다금바리로 명확히 구분하지만, 거기선 둘 다 그렇게 부른다더군. 이해하기 힘들걸세.” (39쪽)


“다금바리는 농성어만큼 알려지지 않았지만, 정말 아는 사람만 먹는 맛이 뛰어난 생선일세. 다금바리만 찾는 요리사와 생선집이 있을 정도로 평가 받는 생선이란 말이지. 나도 먹어 보고 나서야 이놈을 취급하기 시작한 거라네.” (42쪽)


“냉동 참치의 품질이 전부 다르기에 그에 맞춰 해동을 해야 하네.” (101쪽)


“모두 도루묵이 맛있는 생선이라고는 알고 있지만, 도쿄의 츠키지 어시장 사람들에게도 그저 그런 생선이라는 점을 요전에 다시 느꼈지요.” (151쪽)


“농약, 가정의 폐수, 연안의 공사, 해초의 감소 등.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우리가 너무 남획을 해서일세. 신의 선물이라고 좋아서, 산란하러 오는 놈들을 산란도 하기 전에 마구잡이로 잡았으니 당연한 거 아닌가.” (163쪽)


“삼대째, 그래선 저 양반의 호의를 무시하는 겁니다.” “호의? 저 양반이 나에게?” “맞아요. 어르신이 우리에게 싸게 사가는 테크닉은 우리가 왕도매상에게 물건을 살 때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76쪽)


“동네 생선가게가 줄어들면 가정에서도 생선을 덜 먹게 될지도.” (188쪽)


+


#築地魚河岸三代目 #はしもとみつお #鍋島雅治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거 그리고 죽어 2
토요다 미노루 지음, 이은주 옮김 / 대원씨아이(만화)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6.26.

모르면서 안 배운다면


《이거 그리고 죽어 2》

 토요다 미노루

 이은주 옮김

 대원씨아이

 2024.5.31.



  그림꽃을 읽는 사람도 많지만, 그림꽃을 안 읽는 사람도 많습니다. 그림꽃으로 돈을 버는 사람도 있지만, 그림꽃으로 마음을 나누면서 새롭게 사랑이라는 길을 열려는 눈빛인 사람도 있습니다. 그림꽃이라면 그저 얕보거나 꺼리거나 내치는 사람도 많은데, 그림꽃이건 아니건 우리 삶을 어떻게 그려내는 길인지 헤아리면서 천천히 다가서는 사람도 꾸준히 있습니다.


  그림꽃을 얕보는 사람이라면 그림꽃을 영 모른다고 할 만합니다. 어린이책이나 그림책을 낮보는 사람이라면 어린이책이나 그림책을 하나도 모른다고 할 만하지요. 시골을 멀리하거나 등돌리는 사람이라면 시골을 도무지 모른다고 할 테고요.


  두 가지 매무새인 ‘알다’하고 ‘모르다’를 돌아봅니다. ‘알다 = 새롭게 배우려는 마음을 일으키다’입니다. 그래서 ‘알다 = 내가 모르는 줄 알다’부터 첫 발짝을 뗍니다. 모르는 줄 알아야 비로소 배우는 길을 갈 수 있고, 모르는 대목을 차근차근 짚고 살피면서 천천히 알아가게 마련입니다. ‘모르다 = 새롭게 배우려는 마음이 없다’입니다. 그래서 ‘모르다 = 내가 안다고 여기다 + 알지 않으면서도 아는 척하다’입니다. 그러니 ‘모르다 = 꿈쩍조차 않으면서 딱딱하게 말라죽거나 굳어버리다’로 기울더군요.


  《이거 그리고 죽어 2》(토요다 미노루/이은주 옮김, 대원씨아이, 2024)은 그림꽃이라는 살림길로 다가서려는 여러 푸름이가 어떻게 하루하루 새롭게 피어나는지를 짚고 들려줍니다. 그림꽃은 여느 그림이나 글보다 뛰어나지 않습니다. 여느 그림이나 글은 그림꽃보다 뛰어나지 않습니다. 글도 그림도 그림꽃도 그저 다른 길입니다. 저마다 다른 길이기에 저마다 새롭게 이 삶을 담아냅니다. 서로 다른 길인 만큼 이 길을 걷는 우리는 언제나 새록새록 배우고 익혀서 하루를 노래하는 꿈을 옮길 수 있습니다.


  글·그림·그림꽃은 붓끝만으로 빚지 않습니다. 붓솜씨만으로 안 태어납니다. 붓놀림이 뛰어나다고 해서 글이나 그림이나 그림꽃이 아름답지 않습니다. 재주가 있는 사람이야 수두룩합니다만, 사랑이라는 마음을 싣지 않으면 재주부리기에서 그쳐요. 이러다가 재주를 앞세워 돈벌이·이름얻기·힘자랑에 갇힙니다.


  우리나라 글밭이 아름다운가요? 우리나라 꽃밭(예술계)이 사랑스럽나요? 벼슬밭(정치계)에서 아름다운 이야기가 피어나는가요? 배움밭(교육계·학교)은 어떤지요? 곰곰이 보면 이 나라 어느 곳에서도 영 안 아름다운 말이 끝없이 불거지고, 그저 얄궂거나 안타까운 짓이 자꾸자꾸 나타납니다.


  모르면서 안 배우니까 얄궂습니다. 모르기에 배우니까 아름답습니다. 모르는데 감추니까 잘못과 말썽을 자꾸 일삼습니다. 모르기에 환히 드러내면서 배우려고 묻고 여쭈는 사람은 천천히 깨어나고 피어납니다.


  배우지 않는 사람은 버릇대로 하더군요. 배우는 사람한테는 버릇이 없더군요. 배우려 하지 않으니 틀에 박힌 몸짓과 말짓이 가득하여 막짓을 서슴지 않더군요. 배우는 사람은 누구한테서나 기꺼이 배우는 동안 몸도 마음도 말도 나날이 새롭게 눈뜨면서 싱그럽더군요.


  우리나라는 아직 책숲(도서관)에 ‘만화책’이 못 꽂힙니다. 길잡이(교사·사서)부터 ‘만화책’을 안 읽을 뿐 아니라, 어떤 만화책을 어린이랑 푸름이랑 어른하고 나누거나 함께 읽고 새길 적에 즐겁고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러운가를 여태 살핀 일이 없다시피 합니다. ‘만화’를 모르면서 ‘웹툰’이나 ‘그래픽노블’ 같은 말만 앞세우는 분이 늘어납니다. 왜 ‘웹툰’이나 ‘그래픽노블’ 같은 말만 앞세울까요? ‘만화’를 제대로 본 적부터 드물고, ‘배우면서 알아가고 살아가려는 마음씨앗’부터 건사하지 않은 탓입니다.


  다만, 그림꽃이라고 해서 모두 아름답거나 알차지 않습니다. 글·그림·그림꽃 모두 쭉정이나 허수아비가 있습니다. 쭉정이 마음으로 쓰면 ‘쭉정이 글’입니다. 쭉정이 손길로 그리면 ‘쭉정이 그림꽃’입니다. 숱한 그림꽃을 두루 읽고 살피면서 어린이 곁에 놓을 그림꽃을 헤아릴 줄 알아야 어른스럽습니다.


ㅅㄴㄹ


“저 십자가는 뭐야?” “응? 글쎄. 뭘까.” “흐음. 오, 타, 줄, 리, 아.” (25쪽)


“그게 과연 좋은 방법일까? 코코로의 마음은 코코로 자신의 것이잖아.” (67쪽)


“그러고 보니, 수업 시간에도 늘 만화만 그리고, 스터디 할 때도 만화만 그렸어!” “응. 만화만 그리다 보니까 유급을 해버렸지, 뭐야.” (80쪽)


“밤의 정적과 천천히 아침이 밝아오는 느낌. 행복하고는 조금 다를지도 모르지만 참 사랑스러운 시간이었어요.” “우와∼ 선생님의 만화 이야기를 듣다니. 기뻐요∼.” (97쪽)


“난 잘 그리기만 한 만화는 싫어. 생각이 담기지 않은 메소드에 마음이 움직이는 게 분하거든. 만화에서 사랑을 느끼고 싶어.” (110쪽)


‘뭘로 죽이지? 물론 만화로 죽여야지. 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아니야. 죽이겠다는 의지가 필요한 거지.’ (188쪽)


#これ描いて死ね #とよ田みのる


교복도 하복으로 바뀌었으니, 심기일전 합시다

→ 배움옷도 여름옷으로 바꿨으니, 새로섭시다

→ 배움옷도 여름옷이니, 추슬러 봅시다

→ 배움옷도 여름옷이니, 다잡아 봅시다

12쪽


야스미 글씨는 가독성이 좋으니까

→ 야스미는 글씨가 깔끔하니까

→ 야스미는 글씨가 고우니까

→ 야스미는 글씨가 반듯하니까

→ 야스미는 또박또박 쓰니까

→ 야스미는 정갈하게 쓰니까

12쪽


오리지널 창작 온리라고, 2차 창작도, 코스튬 플레이도 금지야

→ 새로 그려야만 하고, 따오기도, 꽃빔도 안 돼

→ 손수 지어야만 하고, 옮기기도, 나래옷도 안 돼

→ 스스로 빚어야만 하고, 배워짓기도, 꾸밈놀이도 안 돼

45쪽


도쿄에 가려면 숙박 여행이 되겠지요

→ 도쿄에 가려면 자고 오겠지요

49쪽


야스미가 했던 귀납법으로 가자

→ 야스미처럼 헤아리자

→ 야스미처럼 돌아보자

→ 야스미처럼 살펴보자

70쪽


유급을 했으니까 정신 차리고 공부해야죠

→ 떨어졌으니까 넋차리고 배워야죠

→ 꿇었으니까 얼차리고 익혀야죠

79쪽


우와∼ 선생님의 만화 이야기를 듣다니. 기뻐요∼

→ 우와! 샘님 그림꽃 이야기를 듣다니. 기뻐요!

97쪽


선내에서 뛰지 마

→ 배에서 뛰지 마

→ 뱃칸에서 뛰지 마

102쪽


생각이 담기지 않은 메소드에 마음이 움직이는 게 분하거든

→ 생각이 담기지 않는 얼개에 마음이 움직이면 싫거든

→ 생각이 담기지 않는 틀에 마음이 움직이면 보기싫거든

110쪽


집 방향도 모두 같지 않으니까 소실점도 각각 잡아 줘야 하는구나

→ 집도 모두 같지 않으니까 모둠길도 따로 잡아 줘야 하는구나

→ 집도 모두 같지 않게 뻗으니까 금도 따로 잡아야 하는구나

17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