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나라에서 새로운 문명이나 물건이나 문화를 받아들일 적에

한국말을 바탕으로 새말을 지으면 될 텐데,

한국말을 바탕으로 새말을 짓기보다는

바깥말을 그대로 들여와서 쓰기 일쑤입니다.

아무래도 한국사람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잊거나 잃은 탓입니다.


..


접시·그릇

→ ‘접시’에는 먹을거리를 담습니다. ‘그릇’에는 먹을거리도 담지만, 여느 물건도 담습니다. 그러니까, ‘접시’는 여러 가지 그릇 가운데 한 가지를 가리키는 셈입니다. ‘접시’와 ‘쟁반(錚盤)’은 같은 것을 가리켜요. ‘접시’는 한국말이고 ‘쟁반’은 한자말입니다. 어른들은 ‘접시’와 ‘쟁반’을 다른 자리에 쓰기도 해요. ‘쟁반’을 다른 물건으로 여긴다면, 처음부터 ‘접시’와 얽힌 새로운 낱말을 지어야 올바릅니다. 이를테면 ‘받침접시’나 ‘네모접시’나 ‘둥근접시’ 같은 낱말을 지을 수 있어요. ‘찻접시’라든지 ‘나무접시’ 같은 낱말을 지을 만합니다.


접시

1. 납작하게 반반한 그릇

 - 꽃무늬를 새긴 접시에 봄나물을 담습니다

 - 동그란 접시를 설거지한 다음에 바깥에 말립니다

 - 앞접시

2. 먹을거리를 담은 접시를 세는 이름

 - 밥상에 김치 한 접시만 있어도 좋아요

 - 너희들 몫으로 떡을 한 접시씩 줄게

3. 저울에서 무게를 달 것을 올려놓는 판

 - 밀가루를 접시에 올려서 무게를 재자

그릇

1. 밥이나 물건을 담는 것

 - 비누거품이 가시도록 그릇을 잘 부신 뒤 살강에 얹으렴

 - 어머니가 쓰시는 바느질 그릇이 어디에 있더라

 - 저쪽 시렁에 씨앗을 갈무리하는 그릇을 올려놓았어요

 - 꽃그릇 . 밥그릇 . 물그릇

2. 어떤 일을 할 만한 힘이나 마음이 넉넉히 있는 사람

 - 내 동생은 그릇이 커서 앞으로 훌륭하게 자라리라 생각해요

 - 큰일을 맡길 만한 그릇이 안 된다고 여기기만 하면 발돋움하지 못해요

 - 둘 가운데 누가 그릇이 클까

3. 밥이나 물건을 담는 그릇을 세는 이름

 - 벌써 밥 한 그릇 뚝딱 해치웠구나

 - 저쪽 밥상에 밥과 국을 세 그릇씩 날라 주렴


(최종규 . 2014 - 새로 쓰는 우리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느 말이든
제대로 쓰려고 마음을 기울이면서
제대로 배우려 할 적에
제대로 살려서 씁니다.

어느 말을 배우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말을 배우는 까닭은
내 넋을 제대로 드러내어
피우고 싶은 사랑꽃이 있기 때문입니다.

..


자꾸·꾸준히·부지런히·바지런히·끊임없이
→ 여러 번 되풀이하면서 이을 때에 ‘자꾸’를 씁니다. ‘자꾸’는 “더욱 크게”나 “어쩔 수 없이 더욱”을 가리키는 자리에서도 씁니다. 달라지지 않으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끈질기게 잇는 모습을 ‘꾸준히’로 가리켜요. ‘부지런히’는 어떤 일을 미루지 않고 온 마음을 쏟는 모습을 가리키고, ‘바지런히’는 놀지 않으면서 온 마음을 쏟는 모습을 가리켜요. ‘끊임없이’는 끊이지 않도록 잇는 모습을 가리키면서 씁니다.

자꾸
1. 여러 번 되풀이하면서 이어서
 - 감꽃이 자꾸 떨어지는 모습이 마치 꽃비 같아요
 - 아버지가 일어나실 때까지 자꾸 흔들어서 깨우렴
 - 사레가 들렸는지 자꾸 재채기가 나오네
 - 잘 익은 감이 맛있어서 자꾸 손이 가요
2. 더욱 크게
 - 비눗방울이 자꾸 커진다
 - 자꾸 숲속 깊이 들어가니 자동차 소리는 사그라들고 어느덧 멧새 소리만 넘친다
 - 밥은 나오지 않고 고소한 냄새만 피우니 자꾸 배가 고프다
3. 어쩔 수 없이 더욱
 - 네가 추켜세우니 얼굴이 자꾸 달아오른다
 - 네가 늑장을 부리니 나도 자꾸 다그치는 말만 하는구나
 - 오늘 따라 영 심심한 탓에 자꾸 하품이 나온다
꾸준히 (꾸준하다)
: 달라지지 않으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끈질기게
 - 꾸준히 지켜보면 나비가 허물을 벗고 날아오르는 멋진 모습을 볼 수 있어
 - 오래도록 꾸준히 애쓴 끝에 꿈을 이루었어요
 - 너도 나처럼 꾸준히 하면 공기놀이를 잘할 수 있지
 - 나는 어릴 적부터 이 나무를 꾸준하게 보살폈어요
부지런히 (부지런하다)
: 어떤 일을 꾸물거리거나 미루지 않으면서 온 마음을 쏟아서
 - 곧 해가 질 테니 부지런히 씨감자를 심고 집으로 돌아가자
 - 너도 놀지 말고 부지런히 움직여 보렴
 - 부지런히 자전거를 달려 바닷가까지 갔어요
 - 부지런한 사람한테는 좋은 땅과 나쁜 땅이 따로 없다
바지런히 (바지런, 바지런하다)
1. 놀지 않으면서 온 마음을 쏟아서
 - 바지런을 떨어야 기차역에 늦지 않을 듯해
 - 아침부터 마당을 싸리비로 쓰는 언니는 늘 바지런해요
2. 일손을 조금도 놓지 않으면서 가벼운 몸짓으로 온 마음을 쏟아서
 - 할머니는 언제나 바지런히 텃밭을 돌보셔요
 - 바지런한 사람은 어떤 일을 해도 다 잘하지요
끊임없이 (끊임없다)
: 이어지거나 맞닿으며 끊어지지 않게
 - 한겨울에도 샘물이 끊임없이 솟는다
 - 풀은 끊임없이 돋으면서 이 땅에 푸른 숨결을 베푼다
 - 이 들은 저 먼 데까지 끊임없이 펼쳐졌구나
 - 헤엄을 배우려고 끊임없이 물장구를 치면서 애씁니다

(최종규 . 2014 - 새로 쓰는 우리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란 무엇일까요?

'말하다'란 무엇일까요?

말을 알지 못하고서 말을 하는 우리들은 아닐까 하고 생각하면서

'말하다'와 얽힌 몇 가지 한국말을 살펴봅니다.


..


이르다 2·말하다·지껄이다·읊다·외다·외우다

→ 귀로 들을 수 있도록 말로 나타내는 일이 ‘말하다’입니다. 말은 소리인데, 그냥 소리가 아닌 우리 마음과 생각과 뜻을 담은 소리입니다. 소리로 마음과 생각과 뜻을 들려주기에 ‘말’이 됩니다. ‘말하다’는 생각이나 마음이나 느낌을 그대로 나타내는 모습을 밑뜻으로 삼습니다. ‘이르다’는 어떻게 하라거나 무엇이라 밝히거나 어떠하다고 알리려고 말하는 일을 밑뜻으로 삼습니다. ‘말하다’는 나타내거나 드러내는 느낌이 짙으나, 자꾸 말하고 또 말해도 알아듣지 못하기도 하기 때문에 ‘꾸짖다’와 같은 뜻으로 쓰임새가 넓어지기도 합니다. ‘이르다’는 일러바치다라든지 타이르다와 같은 뜻으로 쓰임새를 넓힙니다. 이름을 붙일 적에도 ‘이르다’를 씁니다. 큰소리를 내는 모습을 가리키거나 ‘말하다’를 낮추려는 뜻으로 ‘지껄이다’를 씁니다. 소리를 내어 어떤 글을 읽을 적에 ‘읊다’를 쓰고, 같은 말을 되풀이한다는 뜻으로 ‘외다’를 쓰며, 어떤 말을 머릿속에 잘 담아서 나타낼 적에 ‘외우다’를 씁니다.


이르다 2

1. 어떻게 하라고, 무엇이라고, 어떠하다고 귀로 들을 수 있도록 나타내다

 - 어머니는 무엇이든 늘 차근차근 일러 줍니다

 - 더 일러야 할 대목이 있으면 바로 일러 주렴

 - 이 방법은 나한테 일러도 잘 모르겠으니 누나한테 일러야지 싶어

 - 집으로 돌아가서 모두 이쪽으로 오라고 일러 주라

 - 네가 나한테 이르기를 이쪽 길이 맞다고 했는데 막다른 골목이던걸

2. 잘 알도록 밝혀서 이끌다 (타이르다, 달래다)

 - 우는 동생한테는 부드럽고 따스하게 천천히 일러야지

 - 아버지가 여러 번 똑똑히 일렀지만 그만 깜빡 잊었어요

 - 물에 들어가 헤엄치기 앞서 지킬 것을 차근차근 일러 줍니다

 - 동무한테 이제부터 모임에 늦지 말라고 단단히 일러야겠어요

 - 오빠한테는 내가 이를 테니까 너는 여기에서 기다려

3. 미리 알리다

 - 그러면 모레에 언제 이곳에 오면 되는지 일러 주렴

 - 다음에 어디에서 보자고 일러 주지 않고 그냥 가면 어떡하니

 - 곧 손님이 오시니 찻물을 끓이라고 어머니가 이르십니다

4. 잘못을 윗사람한테 알리다 (일러바치다)

 - 말하지 않기로 하고서는 언니한테 몰래 이르다니 괘씸해

 - 동생은 툭하면 어머니한테 가서 다 일러요

5. 이름을 붙이거나 가리켜 나타내다

 - 이 들꽃은 무엇이라 이를는지 궁금해

 - 우리 마을은 가리재라 이르는 고개를 넘으면 나와요

6. 옛날부터 어떠하다고 책에 나오거나 누군가 말로 나타내다

 - 할아버지가 이르기를, 이 마을은 예부터 우거진 비자나무숲이었대요

 - 이 책에 이르기를 생각을 맑게 지으면 무엇이든 이룬다고 하는구나

말하다

1. 생각이나 느낌을 귀로 들을 수 있도록 나타내다 (말로 나타내다)

 - 이제 네 생각을 말해 보렴

 - 큰오빠는 바다에 가자고 말하고, 작은오빠는 숲에 가자고 말합니다

 - 네 마음을 알 수 있도록 나한테 말해 주기를 바라

 - 말하기 어렵다면 굳이 말하지 않아도 돼

 - 쉽게 말할 만하지 않아서 글로 적으려고 해

2. 잘 알도록 밝혀서 귀로 듣도록 하다 (말로 알리다)

 - 나한테는 아무도 말하지 않아서 미처 몰랐습니다

 - 구름을 보니 곧 비가 올 듯하다고 할머니가 말합니다

 - 너희끼리만 알지 말고 나한테도 말해 주면 좋겠어

3. 어떤 일을 돕거나 맡아 달라고 하다 (부탁하다)

 - 이따가 아버지더러 가지고 오시라고 말해 놓을게

 - 아무래도 혼자서는 힘들 듯해서 누나한테 말했어요

 - 나한테도 종이접기를 가르쳐 달라고 말했어요

4. 말리거나 하지 말라는 뜻을 말로 나타내다 (타이르다, 꾸짖다)

 - 몇 번이나 말해도 듣지 않네

 - 그 녀석이 내 동생을 자꾸 괴롭히니 오늘은 따끔하게 말해야겠네

5. 옳고 그름이나 값어치를 밝히거나 가리거나 따지거나 살피다

 - 아버지는 내가 쓴 시를 읽으시더니 좋다고 말하셔요

 - 사람들은 시집살이노래가 고단한 삶과 아픔을 웃음으로 살려 냈다고 말한다

 - 이 자리에 없는 사람을 뒤에서 함부로 말하지 말자

6. 어떤 것·일·모습·흐름·속내를 나타내거나 드러내다

 - 너는 이 일이 무엇을 말하는지 알겠니

 - 그 선물꾸러미는 그 아이가 너한테 보내는 마음을 말하는 셈이지 싶어

 - 사랑을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궁금해요

7. 간추리거나 다른 말로 바꾸거나 쉽게 말로 나타내다 (앞말과 이어서 씀)

 - 그래, 알았어. 말하자면 어제 네가 처음으로 어머니한테 밥을 차려 드렸구나

 - 어제 우리가 이기기는 이겼지. 말하자면 이겼어도 진 경기와 같아

 - 이렇게 나무는 아름답습니다. 말하자면 나무가 있어야 우리 삶도 아름답지요

8. 힘을 주어 나타내거나 다시 한 번 되풀이하다 (‘말하면’이나 ‘말하자면’ 꼴로 씀)

 - 김치 맛으로 말하면 우리 집은 할머니보다 할아버지 솜씨가 한결 깊어

 - 팔씨름으로 말하자면 우리 언니가 너희보다 훨씬 셀걸

 - 우리 마을을 말하면 언제나 아늑하고 아름다운 시골이지

지껄이다 

1. 큰소리로 떠들썩하게 이야기하다

 - 여기저기에서 들썩들썩 지껄이니 골이 아프다

 - 가까이에서 지껄이니 귀가 멍멍하다

2. ‘말하다’를 낮잡아서 이르는 말 (조용히 말해도 ‘지껄이다’이며 나쁜 뜻으로 씀)

 - 엉터리 같은 소리는 지껄이지 말아라

 - 잘 모르면서 함부로 지껄이지는 않기를 바라

읊다

1. 높낮이를 맞추어 소리를 내어 읽거나 되풀이하다

 - 우리 큰누나는 시를 아주 잘 읊습니다

 - 아버지는 잠자리에서 늘 시를 몇 줄 읊으셔요

2. 시를 짓다

 - 짙푸른 여름을 시로 읊는다

 - 우리가 즐긴 눈놀이를 시로 읊어 보자

외다

1. 같은 말을 되풀이하다

 - 동무가 먼저 한 말을 외지 말고 네 생각을 말하렴

 - 주절주절 외지 말고 똑똑하게 뜻을 밝혀 봐

2. ‘외우다’를 줄인 말 

 - 책 한 권을 외기는 쉽지 않더라

 - 제법 긴 글인데 줄줄 잘 외는구나

외우다

1. 말이나 글을 잊지 않고 잘 떠올리다

 - 나는 큰아버지 댁 주소도 외울 수 있어요

 - 어제 배운 이야기를 한번 외워 볼까

2. 말이나 글을 잘 떠올린 뒤, 틀리지 않게 그대로 들려주다

 - 내가 그 시에서 앞쪽을 외울 테니 네가 뒤쪽을 외워 주라

 - 어머니는 내가 예전에 했던 말을 외워서 고스란히 나한테 돌려줍니다

3. 버릇처럼 늘 말하다 (입버릇처럼 말하다)

 - 너는 즐거울 때마다 ‘아이 좋아 아이 좋아’ 하고 외우더라

 - 조금만 힘들면 하기 싫다고 외우는데 좀 끈질기게 버텨 보렴


(최종규 . 2014 - 새로 쓰는 우리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음 다섯 가지 낱말을 알맞게 뜻을 살펴서

즐겁게 두루 쓰는 사람을 

요즈음 들어

거의 못 봅니다.


어른문학에서든 어린이문학에서든

이러한 말을 쓸 일은 

이제 없기 때문일까요.


..


이내·내리·내내·줄곧·줄기차게

→ 그대로 이어지는 모습을 가리키는 낱말 가운데 ‘이내’는 머뭇거리지 않고 그대로 잇는 모습을 가리킵니다. ‘내리’는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모습을 가리키는 한편, “잇따라 자꾸”와 “마구”를 나타내기도 해요.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진다고 할 때에는 ‘내내’라 하고, 어떤 데에서 더 이어지는 모습을 가리키려고 ‘줄곧’을 씁니다. 억세거나 세차게 이어지는 모습을 가리킬 적에는 ‘줄기차다’를 써요. 비나 눈이 줄기차게 내린다면 제법 지칠 만합니다. 비나 눈이 줄곧 내린다면 그칠 낌새가 안 보인다는 뜻입니다. 비나 눈이 내내 내린다면 그야말로 쉬지 않고 내린다는 뜻입니다. 비나 눈이 내리 내린다면 ‘비를 이어 다시 비’나 ‘눈을 이어 다시 눈’이라 할 만큼 자꾸 비나 눈이 내린다는 뜻입니다.


이내

1. 그때에 더 머뭇거리지 않고 그대로

 - 품에 안으니 이내 잠드는 아이

 - 이내 차분한 목소리가 된다

 - 배불리 먹으니 이내 하품이 나온다

2. 그때 모습이나 흐름이 그대로 이어져

 - 어젯밤부터 이내 곁에서 보살폈어요

 - 지난해하고 올해하고 이내 같은 얼굴이네

3. 가까운 곳에

 - 집 앞에 이내 붙은 텃밭이야

내리

1. 위에서 아래로

 - 물은 내리 흐릅니다

 - 골짝물은 내리 흐르니까 조금 더 올라가 볼까

 - 내리사랑 치사랑

2. 잇따라 자꾸

 - 쉬지 않고 내리 걷기만 하니 다리가 아파

 - 우리 집은 내리 아들인데, 너희 집은 내리 딸이로구나

 - 네가 전화도 안 받아서 아침부터 내리 기다렸어

 - 며칠째 내리 눈이 내려 온 마을이 하얗다

3. 아무렇게나 세차게 (마구)

 - 가만히 지나가는 벌레를 내리 밟으면 어쩌니

 - 이불 빨래를 할 적에는 그렇게 내리 밟지 말고 차근차근 골고루 밟아야지

 - 고비를 하나 넘겼다 싶으니 다른 고비가 내리 찾아드네

내내

: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서

 - 너는 내내 잔소리만 하는구나

 - 한 해 내내 따스한 마을입니다

 - 아침부터 내내 싱글벙글 웃는구나

 - 하루 내내 아무것도 못 먹었다니 배고프겠구나

 - 할아버지도 내내 잘 지내셔야 해요

줄곧

: 어떤 일·모습·흐름·끝에서 더 나아가거나 잇거나 따라서

 - 너는 줄곧 집에만 있었구나

 - 내 동생은 줄곧 고구마만 먹어요

 - 오늘은 너희 집까지 줄곧 자전거로 달려 보았어

 - 자면서 줄곧 이불을 걷어차더니 고뿔에 걸렸구나

 - 여러 날 줄곧 내리는 비에 민들레도 꽃봉오리를 닫는다

줄기차다

1. 억세고 세차게 나아가서 조금도 쉬지 않고 이어지다

 - 작은오빠는 피아노 앞에 앉으면 몇 시간이고 줄기차게 쳐요

 - 장대비가 벌써 두 시간째 줄기차게 쏟아진다

 - 우리 땅을 알고 싶어서 해남부터 서울까지 줄기차게 걸었습니다

2. 끊이지 않으면서 몹시 잘 견디거나 붙다 (질기다)

 - 나는 네가 올 때까지 줄기차게 기다렸어

 - 줄기차게 바란 끝에 드디어 꿈을 이루었어

 - 나는 누나 꽁무니를 줄기차게 좇고, 동생은 내 꽁무니를 줄기차게 좇아요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떤 말이든 제대로 즐겁게 써야 마음에 남으면서

두고두고 쓸 수 있습니다. 

제대로 안 쓰거나 즐겁게 안 쓴다면

제아무리 아름답거나 훌륭하다는 말이라 하더라도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한국말이나 한글이 아름답거나 훌륭하다고 여긴다면

제대로 즐겁게 잘 써야 합니다.


..



알뜰살뜰·알뜰하다·살뜰하다

→ 일이나 살림을 아주 잘 꾸리는 모습과 다른 사람을 아주 참되며 넓은 마음으로 아끼거나 보살피는 모습을 가리켜 ‘알뜰살뜰’이라 합니다. ‘알뜰’과 ‘살뜰’을 더한 낱말인 ‘알뜰살뜰’입니다. 알뜰하게 살림을 꾸린다거나 알뜰한 마음으로 이웃을 보살필 줄 아는 사람이라면 ‘알뜰이’라 할 만합니다. 살뜰하게 살림을 꾸린다거나 살뜰한 마음으로 동무를 아낄 줄 아는 사람이라면 ‘살뜰이’라 할 만해요. 알뜰살뜰하다면 ‘알뜰살뜰이’라 할 수 있어요. 뜻이나 느낌으로 살피면, ‘살뜰하다’가 ‘알뜰하다’보다 한결 깊습니다. 다만, 어느 쪽이 더 높다거나 낮지 않습니다. 두 낱말은 모두 둘레 사람들을 사랑하거나 아끼는 마음을 담아요.


알뜰살뜰

1. 일이나 살림을 아주 잘 꾸리는 모습

 - 소꿉놀이를 알뜰살뜰 멋지게 하는구나

 - 어머니와 아버지는 서로 도우면서 살림을 알뜰살뜰 가꾸셔요

2. 다른 사람을 아주 참되며 넓은 마음으로 아끼거나 보살피는 모습

 - 할머니는 우리를 언제나 알뜰살뜰 아껴 줍니다

 - 너는 네 동생을 알뜰살뜰 돌봐 주는구나

알뜰하다

1. 일이나 살림을 잘 한다

 - 나도 열 살이 되었으니 누나처럼 도마질도 알뜰히 하고 싶어

 - 내 방부터 알뜰히 치운 다음 집 청소를 거들려고 해요

 - 할아버지는 텃밭을 늘 알뜰히 일굽니다

2. 다른 사람을 아끼거나 보살피는 마음이 참되며 넓다

 - 언니와 나는 서로 좋아하면서 알뜰히 

살뜰하다

1. 일이나 살림을 매우 마음을 쏟아 잘 꾸려서 빈틈이 없다

 - 봄이 되니 작은어머니가 살뜰히 가꾸는 능금밭이 하얀 꽃잔치예요

 - 심부름을 하고 받은 돈을 살뜰히 모아서 자전거를 장만했어요

2.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이 매우 따스하고 넓다

 - 몸살이 났을 때에 작은형이 살뜰히 보살펴 주아서 깨끗이 나았어요

 - 살뜰히 어루만지는 아버지 손길이 좋아요


(최종규 . 2014 - 새로 쓰는 우리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