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34 : 기실 역사 속 민중들의 꿈 정말 소박



기실(其實) : 1. 실제의 사정. ‘사실은’, ‘실제 사정’으로 순화 2. 실제에 있어서

역사(歷史) : 1. 인류 사회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 또는 그 기록 ≒ 사·춘추 2. 어떠한 사물이나 사실이 존재해 온 연혁 3. 자연 현상이 변하여 온 자취 4. 역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 = 역사학 5. [책명] 기원전 425년 무렵에 그리스의 헤로도토스가 쓴 역사책 6. [책명] 기원전 400년 무렵에 그리스의 투키디데스가 쓴 역사책

민중(民衆) : 국가나 사회를 구성하는 일반 국민. 피지배 계급으로서의 일반 대중을 이른다 ≒ 민서

정말(正-) : 1. 거짓이 없이 말 그대로임 2.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사실을 말할 때 쓰는 말 3. 자신의 말을 강하게 긍정할 때 쓰는 말 4. = 정말로 5. 어떤 일을 심각하게 여기거나 동의할 때 쓰는 말 6. 어떤 일에 대하여 다짐할 때 쓰는 말 7. 어떤 사람이나 물건 따위에 대하여 화가 나거나 기가 막힘을 나타내는 말

소박(素朴) : 꾸밈이나 거짓이 없고 수수하다



영어라면 “in history”처럼 쓸는지 모르나, 우리말씨로는 “역사에서”라고만 합니다. 이 보기글이라면 “역사 속에서”를 ‘그동안’이나 ‘여태’로 고쳐쓸 만합니다. ‘들사람’이며 ‘들꽃사람’은 ‘하루’를 ‘살아가’거든요. 꿈은 크거나 작지는 않습니다. 꿈은 수수하거나 조촐합니다. 꿈은 단출하거나 씨앗 같습니다. 모름지기 모든 말은 수수한 들사람이 살림을 꾸리는 길에 사랑으로 지은 꿈씨앗이라고 여길 만합니다. ㅅㄴㄹ



기실 역사 속에서 우리 민중들의 꿈은 정말 소박하지 않았던가

→ 모름지기 그동안 우리 들사람 꿈은 수수하지 않은가

→ 여태 우리 들꽃사람 꿈은 참으로 조촐하지 않은가

《원시별》(손석춘, 철수와영희, 2023) 30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37 : 흑고니 한 쌍 우아하게 호수 위



흑고니(黑-) : [동물] 오릿과의 새. ≒ 검은고니·흑백조·흑조

쌍(雙) : 1. 둘씩 짝을 이룬 것 2. 둘을 하나로 묶어 세는 단위 3. ‘두 짝으로 이루어짐’의 뜻을 나타내는 말

우아하다(優雅-) : 고상하고 기품이 있으며 아름답다

호수(湖水) : [지리] 땅이 우묵하게 들어가 물이 괴어 있는 곳. 대체로 못이나 늪보다 훨씬 넓고 깊다



일본에서는 ‘swan’이라는 새를 ‘백조(白鳥)’라는 한자말로 옮깁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고니’라는 낱말로 가리켰습니다. “곱다 + 이”인 얼개로, ‘고운새’란 뜻입니다. 고니 가운데 까만깃이 있으니, 이때에는 ‘흑백조’라고 쓸 수 없다고 여겨 ‘흑고니’처럼 쓰기도 하는데, ‘검은고니·깜고니’라고 해야 알맞습니다. 검은고니 둘은 못물에 아름답게 미끄러집니다. “못물 위”는 하늘이니, “못물 위를 난다”고 해야 하고, 미끄러질 적에는 ‘못물에’로 적어야 올바릅니다. ㅅㄴㄹ



흑고니 한 쌍이 우아하게 호수 위를 미끄러져요

→ 깜고니 한 짝이 곱게 못물에 미끄러져요

→ 검은고니 둘이 멋스러이 못물에 미끄러져요

《새가 된다는 건》(팀 버케드·캐서린 레이너/노승영 옮김, 원더박스, 2023) 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차 次


 제일 차 세계 대전 → 첫째 온싸움 / 첫 큰싸움

 수십 차 방문했다 → 자주 찾아갔다 / 숱하게 찾아갔다

 잠이 막 들려던 차에 → 잠이 막 들려고 했는데 / 잠이 막 들려던 터에

 가려던 차였는데 → 가려던 길이었는데 / 가려던 터였는데

 입사 3년 차 → 일한 지 세 해 / 일꾼 세 해째

 임신 8주 차 → 밴 지 8이레째

 결혼 10년 차에 → 꽃맺이 10해째에

 연구차 → 살피러 / 살펴보러


  ‘-차(次)’는 “1. (주로 한자어 수 뒤에 쓰여) ‘번’, ‘차례’의 뜻을 나타내는 말 2. 어떠한 일을 하던 기회나 순간 3. [수학] 방정식 따위의 차수를 이르는 말 4. 주기나 경과의 해당 시기를 나타내는 말”을 뜻한다고 합니다. ‘걸음·걸음새·걸음꽃’이나 ‘때문·말미암다’로 손봅니다. ‘-로·-으로·-하러·-할 셈으로’로 손보고, ‘벌·발·발자국·발짝·발자취’나 ‘째·-째칸·-째판·자락·자리’로 손볼 수 있습니다. ‘바닥·바탕 움큼·줌·춤·짝·켤레’나 ‘일·참·터·판’이나 ‘틈·말미·짬’으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위로차 온 사람, 격려차 온 사람

→ 달래러 온 사람, 북돋움 온 사람

→ 비나리 온 사람, 다독임 온 사람

《한국현대언론사》(송건호, 삼민사, 1990) 198쪽


문병차 간 일이 있었다

→ 쓰다듬을 간 일이 있다

→ 북돋우러 간 일이 있다

《한국현대언론사》(송건호, 삼민사, 1990) 199쪽


일본에 휴양차 온 게 아니에요

→ 일본에 쉬러 오지 않았어요

→ 일본에 놀러 오지 않았어요

《피아노의 숲 8》(이시키 마코토/유은영 옮김, 삼양출판사, 2002) 28쪽


그러던 차에 마침

→ 그러던 터에 마침

→ 그런데 마침

→ 그러다가 마침

《아 유 해피?》(박상규 엮음, 한길사, 2004) 226쪽


아쉬운 마음이 남아있던 차에

→ 아쉬운 마음이 남은 터에

→ 아쉬운 마음이 남았는데

→ 아쉬웠던 터에

→ 아쉬웠는데

《얘야 생태가 웰빙이란다》(사카시타 사카에/연주미 옮김, 이매진, 2004) 21쪽


이날 8차에 걸친 곤장의 여독으로 이지서가 죽어버리자

→ 이날 8판에 걸친 볼기질 탓에 이지서가 죽어버리자

→ 이날 8판에 걸친 볼기치기로 이지서가 죽어버리자

《정감록》(김탁, 살림, 2005) 164쪽


사업차 다른 곳에 가 있던 적이

→ 일하러 다른 곳에 갔던 적이

→ 일로 다른 곳에 간 적이

→ 일 때문에 다른 곳에 간 적이

→ 일을 보러 다른 곳에 간 적이

《그랑빌 우화》(그랑빌/햇살과나무꾼 옮김, 실천문학사, 2005) 279쪽


사회생활 5년차 선배

→ 바깥일 다섯해 윗님

→ 모둠살이 닷해 길불

→ 일터 다섯해 길잡이

《더러운 것이 좋아!》(하정아, 북스, 2005) 29쪽


유학차 미국으로 간 이래

→ 배우러 미국으로 간 뒤

→ 배움길로 미국으로 간 뒤

→ 미국으로 배우러 간 뒤

《그때 그곳에서》(에드워드 김, 바람구두, 2006) 82쪽


4차와 5차 여행중에도

→ 넉걸음과 닷걸음에도

→ 넉마실과 닷마실에도

《아내와 걸었다》(김종휘, 샨티, 2007) 166쪽


제자 1년차야

→ 배움 첫해야

→ 밑길 한 해야

《책 속으로의 여행 2》(아마노 타카/박선영 옮김, 학산문화사, 2008) 101쪽


입사 9년차 기본급은 챙겨 받고 있으니까

→ 일한 지 아홉 해 밑삯은 챙겨 받으니까

《토끼 드롭스 3》(우니타 유미/양수현 옮김, 애니북스, 2008) 119쪽


자료 조사차 쿠바를 방문하여

→ 밑감을 살피러 쿠바로 가서

→ 밑글을 모으러 쿠바에 가서

《사라진 숲의 왕을 찾아서》(필립 후즈/김명남 옮김, 돌베개, 2015) 268쪽


어떻게 해야 하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던 차에

→ 어떻게 해야 하나 흐름을 살펴보다가

→ 어떻게 해야 하나 판을 찬찬히 보다가

→ 어떻게 해야 하나 흐름을 돌아보다가

→ 어떻게 해야 하나 판을 곰곰이 따지다가

《노동자의 어머니, 이소선 평전》(민종덕, 돌베개, 2016) 309쪽


사업차 홍콩과 상하이, 일본을 자주 오가신 덕택에

→ 일하러 홍콩과 상하이, 일본을 자주 오가셔서

→ 일 때문에 홍콩과 상하이, 일본을 자주 오가셔서

→ 일이 있어 홍콩과 상하이, 일본을 자주 오가셔서

《자전거 타는 CEO》(킹 리우·여우쯔엔/오승윤 옮김, OCEO, 2017) 38쪽


그리하여 17년차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서점을 오픈했다

→ 그리하여 열일곱 해를 다닌 일터를 그만두고 책집을 연다

→ 그리하여 열일곱 해나 다닌 곳를 그만두고 책집을 차린다

→ 그리하여 열일곱 해 다닌 데를 그만두고 책가게를 한다

《책사랑꾼, 이색 서점에서 무얼 보았나?》(김건숙, 바이북스, 2017) 95쪽


A나라가 궁금하던 차였어요

→ ㄱ나라가 궁금했어요

→ 가나라가 궁금한 판이에요

《금의 나라 물의 나라》(이와모토 나오/김진희 옮김, 애니북스, 2017) 68쪽


실을 바늘구멍에 넣는다. 1차 시도다

→ 실을 바늘구멍에 넣는다. 처음이다

→ 실을 바늘구멍에 넣는다. 첫걸음이다

《우연히 만난 그 길》(시흥 어린이, 삶말, 2017) 86쪽


육아 경력 10년 차. 놀이동산, 키즈카페, 미술관, 박물관

→ 아이돌봄 열 해째. 놀이터, 아이찻집, 그림터, 옛살림터

→ 아이랑 열 해째. 놀이터, 어린이찻집, 그림터, 옛살림터

《엄마도 행복한 놀이터》(이소영·이유진, 오마이북, 2017) 22쪽


궁금하던 차에 맞닥뜨린

→ 궁금했는데 맞닥뜨린

→ 궁금하던 판에 맞닥뜨린

《동사의 삶》(최준영, 푸른영토, 2017) 99쪽


4년차 엄마

→ 네 해 엄마

→ 엄마 네 해

→ 엄마살이 네 해

→ 엄마살림 내 헤

《모모네 자수 일기》(몬덴 에미코/편설란 옮김, 단추, 2018) 3쪽


그러던 차에 일손이 필요한 국내 지역으로 자원봉사를 하러 갔습니다

→ 그러던 터에 일손을 바라는 다른 고장으로 도우러 갔습니다

→ 그러다가 일손이 모자란 다른 마을로 거들러 갔습니다

《여자, 귀촌을 했습니다》(이사 토모미/류순미 옮김, 열매하나, 2018) 61쪽


30분 동안 밥차 쓰고 오세요

→ 30분 밥틈 쓰고 오세요

→ 30분 밥말미 쓰고 오세요

→ 30분 밥짬 쓰고 오세요

《노동, 우리는 정말 알고 있을까》(노현웅과 다섯 사람, 철수와영희, 2018) 153쪽


회사원 1년 차인 솔로입니다

→ 일꾼 첫 해째 혼자입니다

→ 일바치 첫 해 혼잣몸입니다

→ 일순이 첫 해 짝 없습니다

《솔로 이야기 6》(타니카와 후미코/한나리 옮김, 대원씨아이, 2018) 59쪽


귀촌 14년 차인 저는

→ 시골살이 14해인데

→ 시골서 열네 해인데

《위험이 아이를 키운다》(편해문, 소나무, 2019) 20쪽


집을 지어 이사를 간다고 인사차 찾아왔다

→ 집을 지어 옮긴다고 알리러 찾아왔다

→ 집을 지어 떠난다고 말하러 찾아왔다

《전라선》(김지연, 열화당, 2019) 13쪽


저는 22년 차 초등 교사입니다

→ 저는 22해째 씨앗길잡이입니다

→ 저는 어린길잡이 22해입니다

《100교시 그림책 수업》(김영숙, 열매하나, 2022) 5쪽


곰팡이가 세상을 지배하는 이야기를 써 봐야지 마음먹던 차에

→ 곰팡이가 온누리를 쥐는 이야기를 써 봐야지 마음먹었는데

《책과 우연들》(김초엽, 열림원, 2022) 19쪽


마침 출출하던 차인데

→ 마침 출출하던 참인데

→ 마침 출출한데

《칸무리 씨의 시계공방 4》(히와타리 린/원성민 옮김, 대원씨아이, 2022) 71쪽


1차 소비자, 2차 소비자, 3차 소비자가 순서대로 자리잡고 있어요

→ 첫째 손님, 둘째 손님, 셋째 손님이 차곡차곡 자리잡아요

→ 으뜸 살림이, 버금 살림이, 딸림 살림이가 이어서 자리잡아요

《선생님, 생태계를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해요?》(이상수, 철수와영희, 2023) 1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고온다습



 계절풍의 영향으로 고온다습하다 → 철바람 탓에 후텁지근하다

 고온다습한 공기가 지속해서 유입되어 → 따뜻끈적 바람이 꾸준히 들어와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기후 극복하기 → 여름철 후더운 날씨 견디기


고온다습 : x

고온(高溫) : 높은 온도

다습(多濕) : 습기가 많음



  따로 낱말책에 없으나, 일본을 거쳐서 들어온 ‘고온다습’이라는 말씨가 있습니다. ‘고온 + 다습’일 테니, 우리말로는 “따뜻하고 축축하다·따뜻하고 끈적하다”라 하면 됩니다. 단출하게 ‘따뜻축축·따뜻끈적’이라 할 만하지요. 예부터 우리 나름대로 쓰던 ‘후덥다’하고 ‘후덥지근·후텁지근’ 같은 낱말도 있습니다. ㅅㄴㄹ



섬은 고온다습한 환경에 태풍도 잦아서 집의 노후화가 빨라

→ 섬은 후텁지근하고 큰바람도 잦아서 집이 빨리 낡아

→ 섬은 후덥고 돌개바람도 잦아서 집이 빨리 삭아

《머리 자르러 왔습니다 1》(타카하시 신/정은 옮김, 대원씨아이, 2021) 29쪽


그게 일단 일본 기후는 고온다습하니까, 녹슬기 쉬운 조건이긴 해요

→ 아무래도 일본 날씨는 따뜻축축하니까, 슬기에 쉽긴 해요

→ 다만 일본은 후덥지근하니까, 쇠곰팡이 쉽게 끼긴 해요

《칸무리 씨의 시계공방 4》(히와타리 린/원성민 옮김, 대원씨아이, 2022) 4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4.10.

오늘말. 툭하면


하던 대로 그냥 하면서 버릇이 생깁니다. 이제까지 똑같았다면 오늘부터 길을 틀면서 매무새를 추스를 수 있습니다. 더 나은 살림결이 아닌, 언제나 즐겁게 일구는 살림새를 헤아리면서 차근차근 걸어갑니다. 곧잘 울타리를 세우는 사람이 있고, 노상 이런저런 타령을 하는 사람이 있어요. 툭하면 말없이 바꾼다거나 걸핏하면 이쪽에 달라붙다가 저쪽에 들러붙기도 하는군요. 마음에 안 든다면 흔히 마주치는 이 몸놀림이 성가실 만합니다. 굳이 다른 사람 모습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는다면 가만가만 젖어드는 햇볕으로 하루를 물들일 만합니다. 어느 쪽이든 삶입니다. 어느 걸음이든 살림입니다. 다 같을 수 없고, 늘 그대로 나아가지는 않습니다. 또 하는구나 싶으나 새삼스레 갈아치웁니다. 거듭 일삼는구나 싶지만 문득 다독입니다. 봄볕에 웃음을 짓는 꽃송이처럼 살자고 생각합니다. 겨울이면 눈밭을 품에 안는 들숲처럼 오늘을 돌보자고 생각합니다. 손에 익은 일만 하지 않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일을 스스럼없이 받아들입니다. 아직 몸에 배지 않았어도 반갑게 맞이합니다. 자꾸 넘어져도 꾸준히 일어나서 느긋느긋 달랩니다.


ㅅㄴㄹ


버릇·길·하다·움직이다·살림새·살림길·살림결·삶결·삶틀·삶길·살림·삶·살다·걸핏하면·툭하면·제꺽하면·심심하면·곧잘·다시·꼬박·거듭·또·으레·자꾸·잦다·자주·흔하다·그냥·그대로·물들다·길들다·뿌리내리다·절다·젖다·배다·낯익다·익다·익숙하다·일삼다·붙다·달라붙다·들러붙다·노상·늘·언제나·아무 때나·같다·똑같다·모습·매무새·몸놀림·이골·-질·짓·타령·얼개·울·울타리·틀·품 ← 습관, 습관화, 습관적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