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들
 [‘사진책 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일기 2012.4.26.

 


  책을 장만한다. 책을 읽는다. 책꽂이를 장만한다. 책을 꽂는다. 글을 쓴다. 책을 묶는다. 책을 내놓는다. 사람들은 내 책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헤아려 본다.


  도서관 들머리 자리에 내 책들을 꽂아 본다. 내가 읽던 책을 먼저 꽂고, 내가 쓴 책은 나중에 상자에서 끌른다. 어쩌면, 나는 내 책을 살짝 푸대접한 셈이었을까. 나부터 내 책을 아껴야 할 노릇일까.
  튼튼하고 커다란 책꽂이 넷을 들이니 퍽 보기 좋으며 야무지구나 싶다. 즐겁다. 책을 만지는 손이 즐겁고, 책내음이 배는 손이 즐겁다. 이 손으로 낮에는 흙을 만지고, 저녁에는 책을 만지며, 온 하루 살붙이들 살결을 만질 때에 더없이 즐거우리라 생각한다.


  좋은 삶을 생각하자. 아니, 내가 즐길 삶을 생각하자. 아이들과 즐겁게 누릴 삶을 생각하자. 옆지기와 아름다이 이룰 보금자리를 생각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뒷산에서 바라보는 도서관
 [‘사진책 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일기 2012.4.22.

 


  네 식구 뒷산을 오른다. 뒷산에서 멧풀을 뜯어먹고 놀다가 마을 논밭 사잇길을 천천히 걸어 도서관에 들른다. 뒷산에서 도서관을 바라보니 참 예쁘다. 예전에 이곳이 초등학교였을 적에는 훨씬 예뻤겠지. 그무렵 이 시골마을 복닥거리는 아이들 노랫소리가 가득 울렸겠지. 그러나 앞으로 새롭게 아이들과 어른들 노랫소리가 알맞게 울릴 수 있으면 넉넉하리라 생각한다. 학교도, 도서관도, 집도, 공공기관도, 우체국도, 회사도, 모든모든 삶터와 집터와 일터는 이렇게 어여쁜 숲과 들과 멧자락 사이에 알맞춤하게 자리잡아야 즐거울 수 있겠다고 느낀다.


  커다란 책꽂이 하나를 또 옮긴다. 세 차례째 옮기는 커다란 책꽂이는 퍽 수월하게 붙인다. 그래도 이 커다란 책꽂이 하나를 옮기자면 마치 밥 한 그릇 먹는 기운이 들어가는구나 싶다. 무게도 덩치도 대단하다. 속 빈 나뭇조각 아닌 통나무를 잘라서 마련한 책꽂이는 무게도 덩치도 대단한데, 이만 한 책꽂이가 되어야 백 해이든 이백 해이든 고이 이어갈 테지.


  오늘 만화책 자리는 얼추 새로 갈무리했다. 다른 자리도 찬찬히 갈무리하자면, 앞으로 몇 달쯤 더 있어야 할까. 차근차근 갈무리하자. 한두 해 살아갈 마을이 아니니, 오래오래 지내기 좋도록 천천히 사랑하고 아끼자.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페크pek0501 2012-04-27 13: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른 자연과 책, 좋은 건 다 있네요. 사랑스러운 아이까지...
삶이 아름다운 이유입니다.

숲노래 2012-04-27 15:06   좋아요 0 | URL
음.. 그러네요~
오호호~ 다 있어요, 다 있어!

하늘바람 2012-04-28 1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도서관에는 누가 다녀가나요?
가고 싶네요
개인도서관 넘 근사합니다

숲노래 2012-04-28 15:05   좋아요 0 | URL
아직 책 갈무리가 한참 남아서 공개하지는 않아요.
올여름은 되어야 비로소 어느 만큼 갈무리를 마치고
공개를 하겠지요~ ^^

분꽃 2012-04-29 1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맨아래쪽칸에는 책을 안 꽂는게 어떨까요?? 먼지도 많이 타고, 어쩌다보면 발길에 채이기도 하고요. 집안이 아니라서 많이 망가질 듯 해요. 제 생각에는요...^^;;;

숲노래 2012-04-30 02:29   좋아요 0 | URL
아직 바닥을 어찌하지 못하지만, 맨발로 다니도록 하려고요.
그래서 맨 밑바닥에도 책을 꽂으려 해요~ ^^

나중에 바닥 청소하려면 애먹겠지요 @.@

아무래도 대형청소기가 있어야 할까 싶기도 해요... 이궁...
 


 큰 책꽂이 옮기기
 [‘사진책 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일기 2012.4.19.

 


  아주 커다란 책꽂이를 스무 개쯤 얻은 지 석 주가 지났다. 혼자서 이 책꽂이들을 나르고 자리잡는다. 두 사람이 나란히 마주잡고 들면 그리 어렵잖이 나르거나 자리잡을 수 있지만, 혼자서 하자니 힘이 무척 부친다. 그러나 아이 어머니더러 도와 달라 할 만한 무게가 아니다. 혼자서는 등짐을 질 수 없을 뿐더러, 너비와 길이 모두 참말 크다. 두 짝을 맞붙여 세우면 책을 신나게 꽂을 만큼 좋은 녀석인데, 들어 나르기 참 버겁다.


  줄자로 길이와 너비를 잰다. 교실 문을 지나갈 수 있겠다고 느끼며 혼자 나른다. 골마루 한쪽에 세운 녀석을 십 미터 남짓 끌다가는 한쪽으로 눕히며 낮은 문턱 사이를 지나 밀어넣는데, 이동안 등판과 이마에 땀이 비오듯 쏟아진다. 머리와 등짝과 두 손을 몽땅 써서 무거운 책꽂이를 밀어넣고 나서 한숨을 돌린다. 눕혀서 넣었기에 천천히 일으켜세운다. 그냥 일으켜세우면 천장에 닿는 만큼 옆으로 돌려 눕히며 세운다. 이러다 책꽂이 무게에 그만 손을 놓쳐 쿠웅 하고 넘어진다. 아래쪽 뒷판이 조금 깨진다. 마지막에 놓치다니.


  하나를 들였으니 다른 책꽂이도 이처럼 들이면 되겠구나 하고 생각한다. 여러모로 높고 넓어 먼저 들인 책꽂이 자리하고 어떻게 어울리도록 해야 할까 싶기도 하다. 창문 쪽에 맞붙이면 해가 너무 잘 들어오니 책이 바래어 안 된다. 창문을 좀 가릴 테지만, 돌려서 붙여야 할까.


  책꽂이 사이를 지르는 나무 한쪽으로 천장하고 이어 보는데, 이렇게 해서는 무게를 못 버틴다. 작은 나무토막으로 네모상자를 만들어 책꽂이가 천장하고 꽉 끼도록 넣어야겠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단풍나무 푸른 빛깔
 [‘사진책 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일기 2012.4.18.


  사람들은 단풍나무라 말하면 으레 붉게 물든 잎사귀만 떠올린다. 나도 시골에 보금자리를 마련해서 살아가기 앞서까지는 단풍나무는 붉은잎으로만 생각했다. 이러다가 시골에 보금자리를 마련한 뒤 단풍꽃과 단풍씨를 보면서, ‘그래 내가 국민학교 다니던 때 학교에서 날마다 보던 단풍나무는 봄부터 가을까지 다른 빛깔이었잖아. 게다가 단풍씨앗으로 얼마나 재미나게 놀았나.’ 하고 떠올렸다.


  4월 15일께만 하더라도 새 잎사귀가 돌돌 말린 채 살짝 푸른 점처럼 보이던 단풍나무였는데 4월 17일이 되니 새 잎사귀는 거의 풀린 모습이고, 4월 18일을 맞이해 단풍잎이 모두 활짝 펼쳐진다. 푸른 잎사귀가 싱그럽다. 푸른 잎사귀 사이사이로 봄맞이 단풍꽃이 새로 피려고 한껏 기지개를 켠다.


  책 갈무리 하고 책꽂이 자리잡고 하는 일로 바쁘지만, 한참 단풍나무를 바라보며 봄을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지난 2010년 7월에 나온 《골목빛, 골목동네에 피어난 꽃》이라는 사진책이 있습니다. 이 사진책은 언론 소개를 거의 못 받기도 하고, 이래저래 비평이든 비판이든 서평이든 독후감이든(@.@) 거의 아무것도 못 받은 책이라 할 만합니다. 이러저러하다 보니, 골목동네 삶을 이야기하는 책으로서도, 골목길 발자취를 돌아보는 책으로서도, 골목사람 웃음눈물을 들려주는 책으로서도, 즐거이 읽히지 못하면서 출판사 창고에 가득 쌓이고 말았어요 ..


.. 출판사에서 창고에 오래도록 잔뜩 쌓이는 책은, 창고 관리비를 많이 물어야 하니 여러모로 버겁습니다. 이리하여 출판사 창고에서 적잖은 책을 제가 받아서 모시기로 했습니다(@.@) ..


.. 그렇다고, 《골목빛, 골목동네에 피어난 꽃》이 새책방에서 사라지지 않아요. 새책방에서 주문하는 분이 있으면 사서 읽으실 수 있어요. 다만, 이번에 출판사 창고에서 저한테 이 책이 여러 상자 들어오는 만큼, 이 책들이 즐겁게 읽히면서 좋은 이야기꽃 피우면서 찬찬히 알려질 수 있기를 바란다는 뜻을 밝히고 싶습니다 ..


.. 책을 읽고 싶은 분한테 책을 보내는 일이 마땅하다고 생각해요. 다만, 책을 거저로 주는 일은 생각하지 않아요. 저부터 스스로 모든 책을 제 살림돈을 털어 장만해서 사자고 생각하며 살아가거든요. 제 책 또한 제 책을 읽으려 하는 분한테는 제값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느껴요. 그래서, ‘사진책 도서관 함께살기 지킴이’를 더 받으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이 여러모로 도와주셨기에 ‘전남 고흥 시골마을 폐교’ 한켠을 빌린 도서관 삭월세를 즐겁게 낼 형편이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한 걸음 나아가, 도서관 터가 되는 폐교를 통째로 사들일 꿈을 꾸고 싶어요. 폐교를 통째로 사들이자면, 3만 명한테서 1만 원씩 받을 수 있으면 돼요. 또는 3천 명한테서 열 달에 걸쳐 1만 원씩 받아도 폐교를 통째로 사들일 수 있어요. 1천5백 명한테서 스무 달에 걸쳐 1만 원씩 받으면 스무 달 뒤에 폐교를 통째로 사들일 수 있겠지요. ‘사진책 도서관 함께살기 지킴이’가 되어 시골폐교 한 곳을 통째로 사들이도록 도와주시는 분한테 《골목빛, 골목동네에 피어난 꽃》을 보내려고 합니다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다달이 1만 원 보내기
  → 한 해에 10만 원 보내기
  → 한꺼번에 200만 원 보내기 +.+
   (어디로?)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도서관 지킴이가 되려는 분은 ‘책 받을 주소·이름·전화번호’를 알려주셔요
  →
hbooklove@naver.com
  → 011.341.7125
 ◈ 도서관 지킴이가 된 분한테는 다른 책도 틈틈이 부칩니다

 


.. 사진책 《골목빛, 골목동네에 피어난 꽃》을 읽는 분들이 저마다 고향이나 보금자리에서 사랑스럽고 아름답게 이야기 한 자락 일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 도서관 지킴이인 분한테는 이 책을 모두 1권씩 부칩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