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8.20. 걷고 보고 듣고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인천하고 서울에서 하루씩 보내면서 이야기꽃을 폈습니다. 이제 책하고 몸을 추슬러서 고흥으로 돌아갈 날인데, 일산에 계신 가시아버지(장인)한테 찾아가기로 했습니다. 가시아버지는 몸이 많이 무너져서 거의 걷지도 못 하고 자리에 앉아서 숨을 헐떡입니다. 가시아버지는 젊은날 ‘발바리’처럼 잰걸음으로 여기 번쩍 저기 번쩍 온일을 다하셨다고 들었어요. 이러던 분이 조금씩 몸이 무너지는 길을 지켜보았는데, 어르신한테 빠진 하나는 예나 이제나 ‘사랑’ 하나라고 느낍니다. 한창 불바람처럼 화끈화끈 일하며 살아가실 적에도 ‘옆에서 하는 말’을 귀담아듣기보다는 ‘스스로 겪은 바’를 밝혀서 ‘나를 따르라’는 몸짓이었는데, 이제 걷지도 움직이기도 힘든 나날인데도 ‘불(화)’을 스스로 못 끄십니다.


  가시아버지뿐 아니라 ‘우리 아버지’도 매한가지입니다. 우리 아버지는 여든 살 나이에도 ‘헬스클럽 바벨’을 만지작거리면서 ‘몸불리기’를 즐겨요. 몸을 불리는 일은 안 나쁩니다만, ‘겉·허울’을 북돋울 줄 알되, ‘속·마음’을 가꾸는 길은 도무지 못 들여다보시더군요. 쇠(바벨)를 들다가 놓쳐서 숨이 막힐 뻔했어도, 쇳덩이(자동차)를 몰다가 도랑에 빠져서 삶죽음을 오가셨어도, 아직 ‘겉·허울’에 훨씬 마음을 쏟아요.


  아침에 서울 가좌나루 둘레 마을책집 네 곳을 찾아갔습니다. 해날(일요일) 이른아침이라 네 곳 모두 안 열었습니다. 전남 고흥 시골에서 살아가는 터라 ‘서울책집이 여는 때’에 맞추어 그곳에 가기란 아주 힘들어요. 비록 책집에 깃들어 책을 읽고 살 수 없더라도 ‘책집 앞을 서성이자’는 마음으로 네 곳을 들렀고, 골목을 거닐면서 가랑비를 맞고 구름을 올려다보았습니다. 네 곳 앞에서 서성일 적에는 요 며칠 사이에 쓴 노래(시)를 종이에 옮겨적어서 손잡이에 끼웠습니다. 낮나절에 일산에 닿아 가시아버지랑 가시어머니랑 이야기를 하고서 길손집에 짐을 풀었는데 잠이 어찌나 쏟아지던지요. 19시 즈음에 가시어머니 전화를 받고 부랴부랴 일어나서 다시 가시아버지한테 갔지만, 더 여쭐 말씀도 더 들을 얘기도 없었습니다.


  다시 길손집으로 와서 이른저녁부터 곯아떨어져서 밤 열두 시 즈음부터 1시간마다 깨었지만 그대로 누워서 등허리를 폅니다. 가시아버지랑 우리 아버지한테 빠진 하나가 ‘사랑’이라면, 두 아버지에 두 어머니가 있는 숲노래 씨는 스스로 얼마나 어떻게 ‘사랑’이라는 씨앗을 몸이며 마음에 품고서 하루를 짓는가 하고 돌아보았어요. 새벽 다섯 시에 기지개를 켜고서 찬뜨물(찬물 + 뜨거운물)로 몸씻이를 하면서 혼잣말을 합니다. “나는 나를 고스란히 보려고 오늘 여기에 있을 테지.” 걷고 보고 들은 모든 말을 ‘낱말책(사전)으로 어질게 옮기면서 푸르게 풀어내는 길’을 새삼스레 처음부터 다시 짚어 봅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8.16. 늦여름 가는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늦여름이 가고 첫가을이 다가옵니다. 늦봄이 가듯 첫여름이 왔고, 늦가을이 가듯 첫겨울도 올 테지요. 올여름은 볕날이 썩 안 깁니다. 이글이글 타오르는 불볕날도 손가락으로 꼽을 만큼 드뭅니다. 바람이(선풍기·에어컨)를 안 쓰면서 살림을 하면 올해 볕날하고 비날하고 구름날하고 바람날을 제대로 읽을 수 있습니다. 서울 아닌 시골에서 살림을 하면 별날하고 풀날도 새록새록 읽을 테고요.


  2014년에 첫선을 보인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을 여러모로 고쳐써서 새로 내놓기로 했습니다. 글쓴이하고 엮는이는 품을 들여서 고쳐쓰고 손질합니다만, 이웃님은 ‘어디를 어떻게 고쳤다는 셈이지?’ 하고 못 알아볼 수 있습니다. 눈여겨보려는 마음이라면 알아봅니다. 어느 대목을 어떻게 고쳐쓰는가 하고 헤아리면, 누구나 말빛을 북돋우는 살림글에 글길을 익힐 수 있습니다.


  책으로 태어나는 글꾸러미는 글쓴이하고 엮는이가 얼마나 더 손대고 고치고 추스르느냐에 따라서 글빛이 사뭇 다릅니다. ‘읽기 좋은 글’도 나쁘지는 않으나, 숲노래 씨는 ‘읽기 좋은 글’은 굳이 안 씁니다. 숲노래 씨 글살림은 ‘익히며 즐거운 글’을 쓰는 하루입니다. 말 한 마디를 애쓰고 마음쓰고 힘써서 가다듬는 밑뜻은 늘 하나예요. 말 한 마디가 마음에 생각씨앗 한 톨로 스밀 적에 스스로 새롭게 즐거우면서 아름답게 사랑으로 깨어나도록 북돋웁니다.


  왜 ‘우리말’을 갈무리하고 들려주는가 하면, 수수하고 투박한 여느 우리말이 바로 우리 스스로 일깨우면서 일으키는 씨앗말이거든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2223년 8월 18일 금요일 19시에

인천 배다리 아벨시다락방에서 '우리말 어원 이야기꽃'을 폅니다.

이 자리에 오는 분은 이 '밑말나무 그림'을 종이로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8.11. 돌개바람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올들어 해바람비를 한결 깊이 느끼고 넓게 생각합니다. 숲노래 씨는 전남 고흥이라는 시골자락에서 살아가니까 날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해바람비를 살필밖에 없어요. 더구나 쇳덩이(자동차)를 안 몰기 때문에 쇳내음이나 쇳소리도 안 듣고, 아예 쳐다보지 않아요. 어릴 적에 어버이하고 함께살던 인천에서는 잿집(아파트)이었으되, 닷겹(5층)짜리였고, 연탄을 때는 곳이었어요. 아는 분은 알 텐데, 예전 잿집도 연탄으로 불을 땠습니다. 겨울이면 집도 얼어붙고, 어느 날은 -15℃이기도 했습니다. 요새는 이런 곳을 잿집(아파트)이라고 여기지 않겠지요. 그저 숱한 골목집 가운데 닷겹으로 쌓은 얼거리였을 뿐입니다.


  언제라도 바로 오늘인 듯 떠올리는데, 1985년 여름에 돌개바람이 인천을 가로질렀고, 아무도 없는 길에 홀로 바람을 바라보면서 “바람아, 나도 같이 날고 싶어!” 하고 외쳤어요. 어릴 적에 늘 두들겨맞고 들볶이고 꾸지람을 먹으면서 하루라도 느긋이 보낸 적이 없었는데, 이런 눈물바람을 문득 빗방울에 씻으면서 “날고 싶다”는 마음을 띄웠더니 바람이 훅 안아서 하늘로 띄우더군요.


  바람은 어린이 마음을 알고 느끼고 읽습니다. 티없이 바라고 바라보는 어린이한테 언제나 마음동무인 바람입니다. 《북풍의 등에서》라는 오랜 책이 있어요. 이웃님들이 이 아름책을 부디 여러 벌 천천히 읽고 새겨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가 어른이자 어버이라면, 아이들이 사랑으로 물려받을 만한 글을 쓰고 책을 엮을 일이라고 봅니다. 우리가 ‘사람’이라면, 우리 글감과 그림감과 사진감과 이야깃감은 늘 ‘사랑’이되, ‘숲빛으로 물들면서 스스로 살림을 짓고 노래하는 사랑’이어야 사람다우리라 봅니다.


  쇳덩이가 가득하고 죽음김(배기가스)이 매캐한 곳에서만 매미가 온힘을 쥐어짜듯 악을 쓰면서 웁니다. 이와 달리 푸르게 우거진 숲에서 매미는 느긋이 노래해요. 느긋이 노랫가락을 펴다가 쉬면서 바람을 마시고 해를 보고 나비를 지켜봅니다. 오늘날 서울(도시)은 매미가 노래를 잊고 잃을 만큼 사납고 매캐합니다.


  아이들한테 무슨 책을 읽히는지 돌아보기로 해요. 어른으로서 무슨 글을 쓰고 읽는지 다시 살피기로 해요. ‘뜻있거나 좋은 책’이 아닌 ‘사랑으로 아름답고 참한 책’이 아니라면 구태여 읽을 까닭도 쓸 까닭도 없다고 봅니다.


  돌개바람을 미워하거나 두려워하는 마음이라면, 우리는 밑뿌리부터 썩었다는 뜻이지 않을까요? 돌개바람은 바다에서 태어납니다. 바다는 뭍을 사랑으로 포근히 감싸는 물빛입니다. 무엇이 밉거나 두렵나요? ‘참나’를 함께 바라보기로 해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8.1. 주호민을 보며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숲노래 씨는 ‘웹툰’을 아예 안 보기에 누가 뭘 그리는지 아예 모릅니다. 곁님이 아주 예전에 ‘신과 함께’라는 웹툰이 ‘우리 옛 문화와 신화’를 다루는 듯한데 좀 보면 어떻겠느냐 하고 얘기해서 그런가 보다 하고 좀 들여다보다가 ‘영 엉터리 줄거리에 그림까지 엉성해’서 “아니, 이런 엉터리 웹툰을 왜 보라고 해요?” 하고 물어보았습니다. “여보, 우리 오랜 문화와 신화를 웹툰으로 그리는 사람 봤어요?” “웹툰을 아예 안 보니 그런 사람이 있는 줄 아예 모르지. 만화에는 몇몇 분이 계시지.”


  나중에 《신과 함께》가 낱책으로 나온 뒤에 몇 자락을 사서 다시 읽어 보았는데, 다시 읽어 보아도 엉성하고 엉터리인 대목은 매한가지입니다. ‘우리 옛 문화와 신화’를 그림감으로 삼았다고 하더라도 그저 높이 사거나 좋게 볼 수는 없습니다. 옛살림을 담든 오늘살림을 담든 ‘제대로’ 담을 일이고, ‘올바로’ 그릴 일이고, ‘사랑으로 하루를 짓는 어질며 참하고 착한 숨결을 들려줄’ 일이라고 여깁니다.


  주호민 씨가 ‘돈·이름·힘’을 노리기보다는, ‘그림솜씨를 갈고닦으면서 만화를 빛내는 길에 씨앗 한 톨 심겠다는 마음’이었다면, 《신과 함께》는 엄청 달랐으리라 봅니다. ‘아름씨앗·사랑씨앗·꿈씨앗을 심는 그림길’로 걸어갔으면, 어쩌면 영화로도 안 나오고 썩 돈벌이도 못 했을 수 있어요. 그러나 2023년 7월 끝자락에 온나라에 불거진 “성추행·폭력 일삼은 아이를 돌보는 길잡이(특수교사)를 ‘아동학대로 고발’하는 짓”은 안 했으리라 봐요. 마음에 ‘삶·살림·사랑’을 심는 사람이라면, 밖에서 ‘돈·이름·힘’을 노리느라 바쁘게 하루를 보내지 않습니다. 보금자리에서 아이랑 놀고 어울리고 살림하고 일하면서 더 느리고 느긋하며 느슨하게 ‘살림꾼(전업주부)’을 노래하겠지요.


  경북 포항에 ‘학교앞거북이’라는 펴냄터가 작게 있습니다. 곧 그림책을 새로 낸다면서 책두레(텀블벅)를 바라는 글을 띄우는군요. 숲노래 씨는 기꺼이 ‘둘째 씨앗’을 함께 심기로 합니다.


https://www.tumblbug.com/daheng


  우리는 돈을 벌려고 이 땅에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이름값을 드날리려고 이 별에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힘을 거머쥐면서 마구 부리려고 이곳에서 어우러져 살아가지 않습니다. 우리는 저마다 다른 숨결을 저마다 다른 눈빛으로 밝혀서 저마다 다른 보금자리에서, 저마다 나란히 풀꽃나무를 품는 숲빛으로 물들어 해바람비를 즐기는 사랑스러운 사람으로 서려고 이 땅에 이 별에 왔고, 이 나라 사람으로 서로 만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7.25. 다른 숨거둠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지난 2022년 12월에는 숲노래 씨 셈틀이 숨을 거두었습니다. 2023년 7월에는 숲노래 씨 곁님 셈틀이 숨을 거둡니다. 두 사람이 쓰던 셈틀은 참으로 오래도록 곁에 있었어요. 오늘은 곁님 셈틀을 들고 고흥으로 나가려 합니다. 셈틀집에 맡겨서 속(하드디스크)을 살리고서, 새 셈틀을 장만하는 길을 찾으려 합니다.


  지난 쇠날(금요일)에 인천으로 이야기꽃을 펴러 마실을 가느라, 하루 앞서인 나무날(목요일)도, 또 하루 더 앞서인 날도, 집에 가만히 머물지 못 하고서 부산스레 움직입니다. 해날(일요일)에 고흥으로 돌아왔지만, 달날(월요일)은 읍내로 가서 새삼스레 이야기꽃을 폈고, 오늘 불날(화요일)도 셈틀을 안고서 바깥일을 보려고 합니다.


  기지개를 켭니다. 빨래를 했더니 큰아이가 마당에 널어 줍니다. 작은아이는 스스로 밥을 지어서 차려놓습니다. 얼마 앞서까지 혼자 맡던 집안일을 조금조금 덜어가는 두 아이가 있으니 더더욱 기지개를 켤 만합니다. 함께 자라고, 같이 살아가고, 나란히 노래하는 오늘 하루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