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박민규 님, “명백한 도용이고”



  지난 2015년 8월 17일치 〈중앙시사매거진〉이라는 잡지에 박민규 님이 ‘새로운 인터뷰’를 하고 ‘새롭게 써서 보낸 글’이 실렸다고 한다. 이 글을 뒤늦게 알고 읽어 보았다. 고개를 끄덕이면서 읽지만, 쓸쓸한 마음은 가시지 않는다. 지난 2015년 7월 30일에 소설가 박민규 님 책을 놓고 ‘소설가 박민규 님, 안타깝습니다 (삼미슈퍼스타즈 팬클럽)’라는 짤막한 글을 쓴 적이 있는데, 그냥 안타깝다. (blog.aladin.co.kr/hbooks/7682139)


  평론가는 이런저런 떠도는 몇 가지 이야기만 짚을 수 있을 테지만, ‘삼미슈퍼스타즈 팬클럽 회원’이었고, 어릴 적부터 ‘삼미슈퍼스타즈 응원단 어린이’로 지낸 나로서는 박민규 님이 선보인 책과 여러 인터뷰가 그동안 참으로 가슴이 찢어지도록 아팠다.


  그래도 소설가 박민규 님은 스스로 “명백한 도용이고 비난받아 마땅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당시 저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인간이었고 무지야말로 가장 부끄러운 부덕의 소치가 분명하다.” 하고 말했다. 얼마 만인가? 거의 열두 해 만인가? 열두 해 만에 드디어 이런 말을 하는가?


  그렇지만, 가만히 생각해 본다. 왜 박민규 님은 달포쯤 앞서는 “낙인이 찍히고 표절 작가가 되고.”라 말하면서 이녁이 아무것도 도용이나 표절을 하지 않았다고 당차게 외칠 수 있었을까?


  나는 소설가 박민규 님이 언론사나 평론가한테 사과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소설가 박민규 님이 사과할 사람이 있다면 1980년대 첫무렵 인천에서 ‘삼미슈퍼스타즈 야구선수로 뛴 사람들’, ‘삼미슈퍼스타즈를 애증 가득한 눈길로 응원한 사람들’, 그리고 ‘삼미슈퍼스타즈가 해체된 뒤에도 조용히 옛일을 되새기면서 팬클럽을 꾸린 사람들’이 아닐까? 4348.9.19.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람과 책읽기)


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078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가 박민규 님, 안타깝습니다


 〈월간 중앙〉에 소설가 박민규 님 인터뷰 기사가 나왔다.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하고 얽혀 표절이냐 아니냐 하는 말이 나왔다고 한다. 이 말은 이 작품이 처음 한겨레신문사 문학상을 받을 무렵부터 나돌았다. 소설가 박민규 님은 이녁 책에 “연락할 길이 없는 한재영 님께” 같은 말을 붙이기도 했으나, 참말 연락할 길이 없었는지 있었는지 알 노릇이 없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소설가 박민규 님은 다음처럼 이야기를 한다.


ㄱ. “그냥 썼죠. 저작권이 있는 글이라고 전혀 인식을 못했어요.”

ㄴ. “분명히 그 글을 보긴 봤어요. 하지만 자료 수집 과정에서 알게 된 거에 불과해요. 처음에는 야구 자료를 얻기 위해 KBO를 찾아갔어요. 그리고 신문사에 가서 장당 얼마를 주고 신문 3년 치를 복사했어요. 이후 그 인터넷 글을 보게 됐고요. 실제로 인천에서 성장하고 삼미를 응원했던 사람 3~4명을 알음알음으로 소개받아서 이야기도 들었고요. 그런데 ‘삼미’에 얽힌 일이라든지 추억들은 거의 비슷해요.”

ㄷ. “공식적으로 이런 표절 관련 질문을 받은 게 데뷔 12년 만에 처음이에요. 대체 어떤 실수를 한 건지 해결을 봤으면 좋겠어요. 작가는 개인이라서 일방적인 주장에 대응하기 어려워요. 그런데 인터넷에 여론이라는 게 형성되면 그냥 그걸로 낙인이 돼버리는 거죠. 어떤 게 저작물이고 저작권인지 그런 것도 사실 불분명한 상황이잖아요. 데뷔작 때 수집한 자료들이 있었다던 게시판이라든지 그런 사이트들마저도 우후죽순으로 생겼다 없어지고 해서 출처조차 확인이 불분명해요. 그런데도 낙인이 찍히고 표절 작가가 되고.”

ㄹ. “혼자 동굴에 앉아서 완전한 창조를 한다고 해도 우연한 일치, 마치 교통사고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거죠.”


  박민규 님은 소설가로 등단하기 앞서 ‘잡지 〈BESTSELLER〉’ 편집장이었다. 잡지 편집장 일을 하던 분이 ‘다른 사람 글을 그냥 써도 된다’고 여길 만한지 궁금하다.

  삼미에 얽힌 추억은 거의 비슷하다고 하나, 바로 거의 비슷한 추억을 가슴에 품은 사람들한테서 이야기를 듣지 않고서야 삼미 슈퍼스타즈 이야기를 쓸 수 없다.

  ‘공식적인 표절 질문’을 받기로는 처음일는지 모르나 ‘비공식적인 표절 질문’은 받았을 터이다. 작가는 그냥 개인이 아니라 ‘잡지 〈월간 중앙〉하고 인터뷰를 해서, 하고 싶은 말을 다 할 수 있는 공인’이 아닐까?

  삼미 슈퍼스타즈를 떠올리는 팬클럽이 있었고, 이 팬클럽 게시판에서는 예전 일을 떠올리는 적잖은 사람이 드나들었다. 그렇다고 아주 많지는 않았다. 그리고, 삼미 팬클럽은 ‘우후죽순으로 생겼다 없어지지’ 않았다. 삼미 팬클럽은 거의 하나밖에 없었다 할 만하고, 박민규 님 소설책이 나온 뒤 여러모로 상처를 입고 pc통신 팬클럽을 해체했다.

  우연하게 일치한다는 말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양자역학을 말하고 싶은 셈일까 궁금하다. 양자역학에 따른다면 ‘우연하게 비슷한 소재’가 나타날 수 있고 ‘우연하게 비슷한 이야기’를 서로 다른 곳에서 창작할 수도 있겠지.






댓글(3)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15-07-30 22:44   좋아요 0 | URL
좋아하는 작가인데~~~
그리고 정말 정말 재미나게 읽은 소설인데~~~ㅜ
충격이네요

숲노래 2015-07-30 23:36   좋아요 0 | URL
많은 이들이 삼미소설을 재미나게 읽어 주셨기에
저도 이 작품을 놓고 이런 글을 써야 하는 일이 쓸쓸하지만,

삼미슈퍼스타즈 원년 소년팬이자
청보핀토스 어린이팬이자
태평양돌핀스 청소년팬이자
현대유니콘스 어른팬으로 지냈던 사람으로서
삼미소설이 나오고 삼미팬클럽이 상처받으면서
해체되어야 했을 적에
무척이나 가슴이 아팠습니다...

blanca 2015-07-31 13:58   좋아요 0 | URL
ㅣㅑㅏ
 

진보논객 한윤형



  나는 한윤형 님 글을 읽은 일이 없다. 내가 ‘진보가 아니’기 때문도 아니고, ‘ㅈㅈㄷ을 좋아하’기 때문도 아니다. 그저 내 눈길이 한윤형 님 글에 가지 않았고, 내 마음을 사로잡을 만한 즐거움이 있다고 느끼지 않았다. ‘한윤형 데이트 폭력’이나 ‘한윤형 사과글’도 따로 읽지 않는다. 무슨 소리인가 어리둥절했고, 이런 일이 왜 생기는가 하고 알쏭달쏭했다.


  낮에 손빨래를 하며 문득 생각에 잠긴다. 폭력이란 무엇일까? 폭력을 일으키는 쪽은 거의 다 ‘사내(남자)’이고, ‘폭력을 일으키는 사내(남자)’는 거의 다 힘(권력)이 있다. 사내가 거머쥔 힘은 ‘주먹힘’이랑 ‘발힘(발길질을 하는 힘)’을 비롯해서 ‘이름값 힘’에다가 ‘돈힘’이 있다. 요즈음은 여기에다가 ‘사회권력’이나 ‘정치권력’이나 ‘교회권력’이라는 힘이 있다.


  아무튼, 한윤형 님이 ‘글을 안 쓰겠다(절필)’고 밝힌 듯하다. 낯부끄러워서라도 글을 쓸 수 없을 테며, 낯부끄러운 짓이 뒤늦게 밝혀졌는데 이런 사람 글을 실어 줄 만한 매체가 선뜻 나오기도 어려울 노릇이리라 본다. 그러면, 한윤형 같은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내 자리에서 가만히 돌아본다. 아이들하고 복닥이다가 아이들을 나무라거나 아이들한테 빽 소리를 지르고는 스스로 내가 몹시 밉거나 싫어서 아플 때가 있다. 여린 아이들을 나무란들, 또 빽 소리를 지른들, 아이들이 ‘말을 잘 듣게 해’서 도무지 나한테 뭐가 좋을는지 알 수 없으나, 아이와 지내면서 곧잘 이런 바보짓을 하면서 참말 스스로 바보가 된다.


  바보짓을 하나하나 되새기면서 밥을 짓고 빨래를 한다. 바보짓을 삭이면서 비질을 하고 걸레질을 한다. 바보짓을 낱낱이 돌아보면서 나무를 쓰다듬고 풀을 뜯는다. 그리고, 나긋나긋한 목소리를 되찾아서 자장노래를 부르며 아이들을 재운다. 아이들을 다그친 날은 어김없이 ‘아이들이 잠들고 나’서 눈물이 뚝뚝 듣는다.


  한윤형 님 같은 이들이 ‘진보논객’ 같은 허울좋은 이름은 모두 내려놓을 수 있기를 빈다. 신경숙 님 같은 이들도 ‘작가’ 같은 허울좋은 이름은 모조리 내다버릴 수 있기를 빈다. 도시를 떠나서 시골로 가고, 시골에서 텃밭을 일구고 나무를 심으면서 적어도 몇 해쯤 ‘참말 글 한 줄 안 쓰고 책 한 줄 안 읽는’ 삶을 보내 보기를 바란다. 나중에 ‘참으로 글을 안 쓰고 못 배기겠다’ 싶다면, 다른 글은 쓰지 말고 ‘시골에서 손수 씨앗을 심고 돌보면서 곡식이랑 열매를 거두는 이야기’하고 ‘숲에서 바람이 구름을 날리면서 들려주는 노랫소리 이야기’를 글로 쓸 수 있기를 바란다.


  아름다운 마음이 온몸에 깃들지 못하기에 폭력을 저지른다. 아름다운 마음을 배우지 못했기에 그만 폭력을 일삼는다. 사과글로는 폭력을 씻지 못한다. 삶을 새롭게 가다듬어야 비로소 ‘사랑’을 가슴에 담을 수 있다. 사랑을 가슴에 담으려면 ‘참회록 쓰기’ 같은 일보다는 ‘씨앗 심기’와 ‘나무 어루만지기’와 ‘숲바람 쐬기’가 가장 걸맞고 알맞으리라 본다. 이제 나는 아이들을 자전거에 태우고 나들이를 다녀와야겠다. 4348.6.28.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람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경숙 님 소설과 미시마 유키오 님



  잡지 《전라도닷컴》에 보낼 글을 쓰다가 실마리가 자꾸 꼬이는구나 싶어서 숨을 돌리는데, 문득 ‘신경숙 표절 논란’이라는 글월이 눈에 뜨인다. 집에서도 모시잎을 가루로 내어 쓸 수 있는 길을 살펴보며, 이 이야기를 글로 쓰려다가, 누리그물(포털사이트) ‘인기검색어’로 갑자기 소설꾼 신경숙 님 이름이 뜨기에, 뭔 일이 있나 싶어서 한 번 들여다본다. 그러고 나서, 이응준 님이 쓴 글을 찬찬히 읽어 본다. 어쩐지 숨이 막힌다. 표절 시비를 받아야 하는 사람을 보니 숨이 막히고, 표절을 밝히는 글을 쓰려고 한국문단에 여덟 해나 발을 끊고서 변호사까지 미리 알아본 뒤에 글을 썼다고 하는 대목에서도 숨이 막힌다. 표절을 밝히는 글을 쓰는 사람이 왜 변호사까지 알아보아야 하고, 왜 한국문단에 발까지 끊어야 할까? 한국 사회는 이렇게 꽉 막힌 곳일까?


  신경숙 님이 표절을 했다는 글은 미시마 유키오라는 일본사람이 쓴 글이라고 한다. 미시마 유키오 님은 제국주의를 높이 떠받든 사람이다. 한 마디로 말하자면, 전쟁 미치광이라고 할 미시마 유키오 님이다. 전쟁 미치광이라고 해서 나쁜 놈이라고 할 생각은 없다. 전쟁놀이에 사로잡힌 나머지 삶도 사랑도 꿈도 못 보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


  표절이 참이든 거짓이든 대수로운 일은 아니라고 본다. 왜 대수로운 일은 아니라고 보느냐 하면, 표절이 참이라면 고개 숙여 잘못을 빌고, 모든 이름값이랑 상패와 훈장을 내려놓고, 조용히 살아가면 된다. 표절이 참이 아니라면 씩씩하게 고개를 들고 한결 아름답고 멋스러운 글을 쓰면 된다. 소설꾼 신경숙 님은 어떤 길을 걸어가려나? 4348.6.17.물.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사람과 책읽기)


http://www.huffingtonpost.kr/eungjun-lee/story_b_7583798.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작은 지소연



  공을 차는 지소연 님이 있다. 스물네 살이라 하고 키는 161센티미터라고 한다. 이녁은 ‘지메시’라는 이름을 얻기도 하는데, ‘메시’라는 사람은 스물여덟 살에 키는 170센티미터라고 한다. 메시라고 하는 사람은 축구를 대단히 잘해서 ‘하느님’ 소리를 듣는다. 키가 작고 몸도 그리 크지 않은 두 사람인데, 둘은 발놀림이나 몸놀림이 몹시 빼어나다고 한다.


  키가 크거나 덩치가 좋아야 공을 잘 차지 않는다. 몸집이 크거나 힘이 세야 운동경기를 잘 하지 않는다. 두 사람은 운동경기를 어떻게 하는가를 놀랍도록 보여주고, 운동경기뿐 아니라 삶을 어떻게 짓는가를 찬찬히 알려준다.


  161센티미터라는 키와 가벼운 몸무게로 20∼30센티미터는 더 크고 몸도 훨씬 큰 사람들을 젖히거나 밀리지 않으면서, 하늘 높이 뜬 공도 거뜬히 받는다면, 이 모습을 보면서 무엇을 생각할 수 있을까. 169센티미터라는 키로 배구 무대에서 후위공격까지 하던 장윤희 님이 있다. 여자로서 169센티미터라면 작은 키가 아닐 테지만, 배구선수로서 이만 한 키라면 참으로 작다. 그러나 이녁은 나비처럼 날고 벌처럼 쏘듯이 경기장에서 뛰어다녔다.


  모든 일은 언제나 마음과 생각으로 한다. 하겠노라는 생각을 마음에 단단히 새길 때에 어떤 일이든 한다. 하겠노라는 생각이 없어서 마음에 아무것도 새기지 않을 때에는 참말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천 쪽이나 만 쪽에 이르는 책을 어떻게 읽을까? 읽겠노라는 생각을 마음에 즐겁게 새기면 며칠이 아니라 하루 만에 읽을 수도 있다. 몸도 키도 작은 수많은 어머니들이 어떻게 아이들을 업고 안고 이끌면서 저자마실을 할 수 있었겠는가. 작은 몸집으로 어떻게 살림을 다부지게 이끌고 가꾸면서 아이들한테 사랑과 꿈을 가르칠 수 있었겠는가.


  작은 사람은 그저 몸이 작을 뿐이다. 겉으로 보이는 몸은 작아도, 속으로 바라보는 마음이 크면 못 할 만한 일이 없다. 겉으로 보이는 몸은 커도, 속으로 바라보는 마음이 작으면 못 할 일만 있다. 4348.4.30.나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사람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