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편지를 받고서 답장을 썼어요. 아무쪼록 한국말을 새롭게 배우려는 이웃님한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제 답장을 붙입니다.)


어제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책을 읽고 제가 말하고 쓰는 한글에 자신이 없어졌습니다.

이 표현이 맞는지 아닌지 정확히 구분조차 못하면서, 외국어 번역체를 그대로 쓰고 한자말을 많이 알면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금은 말하는 것도 어렵습니다.

저는 글을 쓰는 사람은 아니지만 좀 더 바른 한국말을 쓰고 싶습니다.

이제부터라도 한국말을 공부하려고 하는데 어떤 책을 보고 배워야 하는지 선생님에게 여쭤봐도 될까요?


+ + +


2016.2.17.

삶이 되는 말이라는 생각을


  보내신 글 잘 받았습니다.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을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이 책은 열다섯 살 눈높이에 맞추어서 썼어요. 중학교 나이쯤 되면 찬찬히 헤아리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들려주는 이야기라 할 수 있습니다. 왜 열다섯 살 눈높이를 헤아려서 이 책을 썼느냐 하면, 청소년뿐 아니라 어른도 이제껏 한국말을 찬찬히 돌아보는 삶을 누리지 못하기 마련인 한국 사회이기 때문입니다. 스무 살이나 서른 살이나 마흔 살 나이라 하더라도, 정작 중·고등학교를 다니거나 대학교를 다니는 동안 한국말을 제대로 배운 일도 드물기 마련이에요. 대학교에서는 논문을 쓰며 어려운 한자말을 많이 집어넣어야 마치 학문이 되는 듯이 잘못 배우기까지 하는 한국 사회이고요.


  그러니까 우리 한국 사회에서는 한국말을 제대로 차근차근 배운 사람이 거의 없는 셈이라고까지 할 만해요. 학교에 ‘국어’ 과목이 있지만, 이 과목은 ‘우리말’이나 ‘한국말’을 가르치거나 배우는 수업이 아니라, 입시 문제를 푸는 수업이 되기 일쑤예요. 한국말을 슬기롭게 익혀서 아름답고 알맞게 쓰는 길을 한국 사회나 학교에서는 좀처럼 못 배운다고 할까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에 앞서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하고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하고 《사자성어 한국말로 번역하기》하고 《생각하는 글쓰기》하고 《사랑하는 글쓰기》하고 《뿌리깊은 글쓰기》 같은 책을 썼습니다. 제가 쓴 책입니다만, 한국말을 학교에서나 집에서나 마을에서나 사회에서 배운 일이 없거나 드문 이웃님한테 말을 새롭게 살펴서 익히는 길동무가 되기를 바라면서 쓴 책이에요. 이 책들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비는 마음입니다.


  그런데, 한 가지 알아두실 대목이 있어요. 무엇인가 하면, 외국어 번역체나 어려운 한자말을 쓰더라도 크게 대수롭지는 않습니다. 스스로 ‘내가 잘못된 말을 썼구나!’ 하고 생각하지는 말아 주셔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같은 책을 썼으면서 왜 이런 말을 하나 하고 궁금하게 여기실 수 있을 텐데요, 외국어 번역체나 외국말이나 일본말이나 일본 한자말 같은 말을 쓴다고 해서 ‘잘못’이지 않습니다. 아직 한국말을 제대로 배운 적이 없어서 그런 말투를 썼을 뿐이에요.


  그러니까, 우리가 스스로 깎아내리거나 아쉽게 여기는 마음은 없어야 해요. 아직 못 배워서 아직 잘 모를 뿐이랍니다. 그러니, 즐겁게 배우면 돼요. 아이들이 말을 처음 익힐 적에 ‘난 말을 하나도 모르잖아!’ 하면서 짜증을 내거나 골을 부리지 않아요 ^^;;;;; 그렇지요? 아이들이 말을 차근차근 배우면서 아주 기뻐하고 좋아하고 사랑하고 웃듯이, 우리도 어른인 몸이자 삶으로 한국말을 ‘아주 처음부터 새롭게 배우는 자리’에서는 ‘아이고 힘들어!’ 같은 생각이 들면 안 돼요. 이런 생각이 들면 너무 어렵습니다.


  아이가 처음 말을 배우듯이, 우리 어른들도 한국말을 이제부터 처음으로 배운다고 하는 마음이 되어야지요. 그래서, 늘 기쁨으로 배워 보셔요. 하루에 한 마디를 새로 배우든, 한 주나 한 달에 다문 한 가지를 새로 배우든 늘 기쁨이 되도록 가다듬어 보셔요. 이렇게 하면 무척 쉬우면서 즐겁게 한국말을 배울 수 있어요.


  제가 쓴 책은 ‘한국말 이야기’도 다루지만, 글월(문장)을 아주 꼼꼼히 다듬은 글이기도 해요. 저로서는 제가 배운 테두리에서 가장 정갈하면서 사랑스러운 한국말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면서 글을 수없이 가다듬어서 그 같은 책을 썼어요. 그리고 그 책에 실은 글은 ‘입으로 말하면서 쓴 글’이에요. 입으로 말하면서 손질하고 고쳤어요.


  무슨 뜻인가 하면,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이나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나 《뿌리깊은 글쓰기》 같은 책을 장만해서 읽어 주신다면, 이 책을 소리내어 읽어 주시기를 바라요. 그래야, 이러한 한국말이 입과 머리와 몸에 익어요.


  제가 골라서 쓴 낱말 가운데 낯선 낱말이 있으면, 그냥 한자말로 쓰셔도 돼요. 처음부터 모두 다 바꾸려 하지 마셔요. 받아들여서 배울 수 있는 만큼 천천히 배우시기를 바라요. 자, 이때에도 아이들을 생각하시면 돼요. 아이들은 며칠이나 몇 달 만에 한국말을 깨우치지 않아요 ^^;;; 그렇겠지요? 아이들도 여러 해에 걸쳐서 말을 익히지요. 기본 의사소통은 한두 해나 서너 해 만에도 다 깨우치지만, 한국말을 제대로 잘 살려서 쓰기까지는 아이들도 얼추 열 해가 걸립니다. 아이들이 열 해에 걸쳐서 한국말 바탕을 닦는다는 삶결을 헤아리시면서, 어른인 우리도 ‘앞으로 열 해’에 걸쳐서 천천히 한국말을 새로 배우겠다는 마음이 되어 보셔요. 이러한 마음으로 열 해를 차근차근 살아내시면, 앞으로 열 해 뒤에는 놀랄 만큼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한국말을 쓰시면서, 멋진 문학가나 철학가나 어버이나 어른이나 사람으로 우뚝 설 수 있겠지요.


  글을 쓰는 마음은 이오덕 님이 쓴 《우리 문장 쓰기》가 길동무가 될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글과 말과 삶이 얽힌 수수께끼를 헤아리는 데에는 《람타 화이트북》이 길동무가 될 만하다고 생각해요. 아무쪼록 즐거우면서 기쁜 마음이 되셔서, 열 해에 걸쳐 차근차근 ‘느릿느릿’ 배우시면서 말삶을 가꾸어 보셔요.


  그리고, 제 누리집에 올리는 글을 꾸준히 동무 삼아서 읽어 보셔도 될 테고요. 제 누리집은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책날개에 적혔습니다. 네이버 블로그(http://blog.naver.com/hbooklove)로 들어오셔도 되고요. 고맙습니다. 새해에 기쁨 짓는 나날 누리셔요. ^___^


2016.2.17. 숲노래 올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로운 한국말사전(국어사전)을 꿈꾸는 모임’인 〔숲노래〕 이름으로 나온 첫 책이기도 한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이 나왔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이 함께 볼 수 있을 만한 눈높이로 엮었으며, 한국사람이라면 누구나 즐겁게 읽으면서 한국말을 새롭게 바라보면서 배우고 생각하고 갈고닦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썼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을 비롯해서, 어른들 모두 한국말을 한국말답게 쓰고 다루면서 곱게 가꾸는 길에 이 책 한 권이 밑바탕이나 길동무가 될 수 있기를 꿈꿉니다. 즐겁게 읽어 주셔요. 고맙습니다.


















‘머리말’에서


  이 책에서 어린이와 푸름이 여러분한테 들려주려고 하는 이야기는 바로 ‘한국말’입니다. ‘새롭게 쓰는’ 한국말 이야기입니다. 서양 말투나 번역 말투나 일본 말투에 물들지 않은 고요한 한국말이란 무엇인가를 알려주려고 합니다. 중국 한자말이나 일본 한자말이 아닌, 여기에다가 옛날 궁중에서 쓰거나 지식인이 쓰던 한국 한자말도 아닌, 그저 수수한 ‘한국말(한겨레 말)’이란 무엇인가 하는 이야기를 처음부터 새롭게 생각하자고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려고 합니다.


  그렇다고 한자말이나 영어를 쓰지 말자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한자말이나 영어를 쓰든 안 쓰든, 먼저 한국말이 어떠한 말인지를 알거나 느끼는 마음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에서는 ‘한자말이나 영어를 말끔히 털어낸 한국말’은 어떤 모습인가 하는 실마리도 함께 보여주려고 합니다. ‘맨얼굴인 한국말’을 알아야 새롭게 가꿀 말과 넋과 꿈을 찾을 수 있을 테니까요.


  하나씩 배우고 차근차근 익힐 수 있기를 바랍니다. 언제나 처음으로 배운다는 마음이 되면서 천천히 돌아볼 수 있기를 바라요. 오늘 하루부터 새롭게 듣고 읽으면서 기쁘게 말꽃을 피우고 이야기꽃으로 말잔치를 이룬다고 여길 수 있기를 빌어요. 한국말을 처음부터 다시 생각하면서 새롭게 배우려고 이 책을 손에 쥔 모든 이웃님한테 고맙다는 말씀을 올립니다.






‘토씨 -의’를 다루는 글 끝자락에서


  사전에 담는 한국말은 아직 제대로 선 적이 없습니다. 한국말을 사전에 담으려고 한 학자와 지식인은 아직 한국말을 제대로 바라본 적이 없습니다. 한국말사전을 옆에 놓고 한국말을 익히려는 한국사람은 아직 한국말을 제대로 마주한 적이 없습니다.


  서양사람이나 일본사람이 ‘of’와 ‘の’를 ‘-의’라는 꼴로 한국말에 심었는지 모르지만, 한국사람 스스로 ‘-의’라는 토씨를 한국말에 억지스레 심었다고 해야 옳다고 느낍니다. 한국 사회는 아직 ‘스스로 서기’를 못 합니다. 한국 문화는 아직 ‘손수 삶을 지어 스스로 서기’로 나아가지 못 합니다. 어쩔 수 없는 노릇입니다. 아직 한국사람은 한국말을 옳게 세우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한국말을 제대로 보고 제대로 느끼며 제대로 쓸 수 있을 때에, 사회도 문화도 교육도 정치도 경제도 제대로 서서 제대로 흐를 수 있습니다.





차례


ㄱ. 이름씨 · 매인이름씨 · 대이름씨 (명사 · 의존 명사 · 대명사)

가운데 · 개 · 것 · 경우· 고객님 · 귀하 · 그/그들 · 그것 · 그녀 · 까닭에/때문에 · 나름 · 마찬가지 · 선생님 · 속 · 아래 · 안 · 엄마/아빠 · 위 · 저희 · 정말 · 진짜 · 호랑이/호랑나비/호랑이띠


ㄴ. 어찌씨 · 이음씨 · 느낌씨 · 얹음씨(부사 · 접속 부사 · 감탄사 · 관사)

가끔씩/이따금씩 · 가장 · 그래서/그러나/그러니까/그러므로/그런데 · 그리고/따라서 ·너무/너무너무 · 아울러 · 하면/하여/해서 · 하지만/한데/허나 · 한 ·혹은 · 휴/휴우


ㄷ. 움직씨 · 그림씨(동사 · 형용사)

가져오다/낳다 · 가지다 · 같다(것 같다) · 달리다/달려가다 · 대하다(-에 대하다) · 던지다 · 드리다 · 만들다 · 많다 · 바래다(바램) · 있다 · 주다(전화 주다) · 지니다 · 파랗다/푸르다 · 푸르른(푸르르다)


ㄹ. 토씨 · 씨끝(조사 · 어미)

-께/-께서 · -께로/-에게로/-한테로 · -들 · -로부터/-으로부터 · -ㅁ과 동시에/-와(과) 동시에 · -ㅁ에 따라/-함에 따라 · -ㅁ으로써 · 보다 · 뿐 · -었었-/-았었- · -에로 · -에 있어/-에게 있어 · -한(무엇)


ㅁ. 일본 말투

땡땡이 ① · 땡땡이 ② · 며느리배꼽/며느리밑씻개 · 부락/자연 부락 · 빵꾸/펑크 · 삐까번쩍 · 시작 · 시합/진검 승부 · 십팔번 · 앙꼬/소보로(소보루) · 애로 사항 · 에또 · ‘―’ · 잉꼬/잉꼬부부 · 자체 · 제군 · 준비 땅(요이 땅)


ㅂ. 얄궂은 말투

0% · 100%/100점 · 180도 바뀌다 · 2%(2퍼센트/2프로/2% 부족할 때) · 노답/노잼 · K씨 · 숫자말 · 시간 읽기 · 이름씨꼴로 쓴 말 · 임자말 자리(우리는/나는/저는) · 입음꼴로 쓴 말 ‘-하게 되다’


ㅅ. 이런 말 저런 말

‘-에 대해’ · ‘관계자 외 출입금지’ · ‘필요시’ · “아래 번호로 전화하세요” · ‘스틱’ · “환승 시 하차 태그하세요” · ‘개봉 시 주의 사항’ · “잘못 만들어진 책은 구입처에서 바꾸어드립니다” · “작가와의 협의에 따라 인지는 붙이지 않습니다” · ‘희망 소비자 가격’ · “거동이 불편하세요?” · “거론할 이유 없다” · “거칠게 말하자면” · “이런 결과를 낳았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 ‘기타 등등’ · ‘낙엽이 지는 계절’ · “다름 아니라” · “얼른 답을 주세요” · “대담은 2014년 초에 있었다” · “뜨거운 태양이 지구를 달구네” · “지금 생각하니 만감이 교차하는군요” · ‘매일같이/매일처럼’ · “많은 관심 부탁합니다” · “매분마다 바뀐답니다” · “무임승차하지 마세요” · ‘불특정 다수의 의견’ · ‘삼시 세끼’ · “서로 상대에게 힘이 되자” · ‘선망의 눈/선망의 대상’ · “시도 때도 없이 와요” · ‘시시때때로’ · “식사하셨어요” · “우려가 있습니다” · “의견 충돌이 있습니다” ·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 “이해가 되나요?” · “자타가 공인하는 실력입니다” · “좋은 질문이에요” · ‘지속 가능한 미래’ · “맡은 바 직무를 수행합니다” · “적을 향해 포문을 열었다” · “그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행복 지수가 올라갑니다” · “희색이 만면합니다”


ㅇ. 토씨 ‘-의’

‘나의’와 ‘내’ · ‘나의’와 ‘우리’ · ‘之’와 ‘의’ · ‘of’와 ‘の’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ppletreeje 2015-10-05 14: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로 출간하신 새 책이 참 산뜻하니 예쁘네요~~
저도 일간 읽어 보고 싶습니다 ^^
애 많이 쓰셨습니다~~*^^*

숲노래 2015-10-05 16:05   좋아요 0 | URL
출판사 일꾼하고 디자인 하는 분하고 그림 그리신 분 모두
마감에 쫓기면서 그야말로...
저도 아픈 다리에 파스를 신나게 뿌리며 다 함께 ^^;;
한글날 앞서 책이 태어나도록 온힘을 쏟았어요.
적어도 여섯 사람이 이레 즈음
밤잠을 거의 못 자면서 함께 빚은 책입니다.
아무쪼록 널리 사랑받아서 이 책 하나로 나눌 이야기가
새록새록 즐겁게 깃들 수 있기를 빌어요.
고맙습니다 ^^

북다이제스터 2015-10-05 17: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로운 책 축하드립니다^^
차례만 봐도 그동안 저자 노고가 생생합니다. ^^

숲노래 2015-10-06 04:29   좋아요 0 | URL
읽어 주고 생각해 주며 함께 배우는 이웃님이 있기에
언제나 여러모로 즐거이
글을 쓰고 책을 엮는구나 하고 느껴요.
고맙습니다 ^^
 

한글날에 나올 수 있을는지 없을는지

아직 알 수 없지만

겉그림이 살짝 나온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입니다.

어쨌든 책 펴낸 날짜는 2015년 10월 9일이 됩니다 ^^





여러 사람 따스하고 너른 손길을 받아

아름답고 알찬 이야기 꾸러미로

이 땅에 사랑스러운 노래가 될 수 있기를

꿈꿉니다.





책이 짠 하고 태어나서

책방마다 살그마니 놓이면

이 책을 기쁘게 알아보아 주시면서

신나게 장만해 주시고,

또 재미나게 읽어 주시기를 빌어요.

고맙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5-09-24 08: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숲노래님의 열다섯 번째 책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책이 나오면 신나게 장만해 재밌게 읽을께요~~

숲노래 2015-09-24 08:49   좋아요 0 | URL
아, 열다섯 번째 책인가요?
저도 숫자를 세지 않아서 모르는데,
그렇군요! @.@

열다섯이라는 숫자를 들으니
백쉰이라는 책을 펴내는 날까지
더욱 힘차게 달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말씀 고맙습니다 ^^
오늘로 편집디자인을 잘 마무리할 수 있을 듯합니다.
다만, 5교를 보아야 하겠지만요 @.@

보슬비 2015-09-24 14: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로운책 출간 축하드려요~~
편집디자인 잘 마무리하시어, 예정된 날짜에 출간되길 바랄께요~
저는 도서관에 희망도서로 신청하겠습니다. ㅎㅎ

숲노래 2015-09-24 14:44   좋아요 0 | URL
보슬비 님 계신 마을 도서관에 이 책이 예쁘게 꽂힐 날을 기다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http://blog.naver.com/hbooklove/220289655340


새로운 책을 낼 밑돈을 조금 마련했습니다.

즐겁게 그린 꿈대로

기쁘게 이루었습니다.


<시골에서 자전거와 함께 살기>라는 책을 펴낼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출판사를 찾아야 합니다.

멋진 출판사는 곧 나타나서

전남 고흥에서 자전거를 누리는 우리 이야기를

책으로 곱게 엮어 줄 테지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민들레처럼 2015-03-04 14: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려요~기쁘게 엮어줄 출판사가 나오겠죠. ^^

숲노래 2015-03-04 15:59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곧 짠 하고 노래하듯이 나와 주리라 생각해요~~~
 

한국사람이 한국말을 쓸 적에 '-들(복수형)'을 잘못 쓰는 보기를 살피느라

한창 골머리를 앓는데,

서울에 있는 출판사에서 전화가 온다.

전화를 건 출판사 책지기님은

목소리에 들뜨고 설레는 기운이 서린다.

무슨 일일까?


문화체육관광부와 이런저런 곳에서(어떤 곳인지 나는 잘 모르니)

무슨무슨 책을 뽑아서 지원사업을 하는 듯한데(이 또한 나는 잘 모르니)

이번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이 

이 지원사업에 뽑혔다고 한다.


전화를 끊고 마당을 쓴다.

늦가을 비가 내리는 마당은

초피나무 노란 가랑잎이 그득하다.

빗물과 잎을 쓰레받기에 담아

나무 둘레에 뿌린다.


한참 일을 마치고 땀을 식히면서

인터넷을 뒤적이니

알라딘서재 이웃님(다락방 님)도 이 지원사업에

이녁 책이 뽑혔다는 글이 보인다.

이웃님 책도 꾸준히 사랑받으면서 읽히기를 바라고,

내 책도 한결같이 사랑받으면서 읽히기를 꿈꾼다.


내 책,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이 앞으로도 한결같이 사랑받으면서 읽혀서,

이 책이 읽히면서 버는 글삯으로

이곳 전남 고흥에 연 '사진책도서관'이 한결 튼튼히 뿌리내릴 수 있기를...

두 손을 모아 빈다.


'한국말(우리말)'을 다루는 책이 잘 안 읽히는 한국 사회에서

아무쪼록 이 책들이 두루 사랑받기를 다시금 빌면서...

'-들'을 바르게 쓰는 이야기를 얼른 갈무리해야겠네 @.@





댓글(6)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11-28 12: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11-28 12: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북극곰 2014-11-28 13: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려요~!^^

숲노래 2014-11-28 15:01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

순오기 2014-11-28 17: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잘됐네요. 축하드립니다~~^^

숲노래 2014-11-28 22:00   좋아요 0 | URL
넵,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