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148 : 그림책 읽기
새벽에 일어나서 글쓰기를 하고, 바깥이 희뿌윰히 밝는 아침에 쌀을 씻어 불리며, 국거리로 끓일 다시마를 끊고 말린버섯을 풀어 불립니다. 이윽고 뒷간에 갔다 와서 글쓰기를 마저 하다 보면 아이가 먼저 깨어납니다. 이 즈음부터 아침을 해서 차리고 아이를 먹이고 치우노라면 어느새 한낮이 됩니다. 이 다음에 빨래를 하고 이불을 털곤 하는데, 기운이 남으면 자전거수레에 아이를 태우고 살짝 마실을 다녀옵니다. 낮나절이 되어도 집일은 그치지 않습니다. 낮나절에는 저녁밥을 헤아려야 하니까요. 이무렵 아이가 살짝 낮잠이라도 자 주면 아빠로서 책읽기를 조금이나마 합니다. 낮잠 없이 저녁까지 놀자고 엉겨붙으면 그만 지쳐떨어져 저녁에 아이한테 그림책 한 권 제대로 읽어 주지 못하기 일쑤입니다.
오늘날이 되어도 여느 아빠들은 집 바깥에서 돈 버는 일만 합니다. 오늘날이 되어도 여느 엄마들은 집순이가 되어 살림만 꾸립니다. 또는 아이를 어린이집이나 할머니한테 맡기고 두 어버이가 돈벌이에 매달립니다. 바깥에서 돈벌이에 바쁜 어버이는 집으로 돌아와서 아이를 씻기거나 먹이거나 재우거나 책을 읽어 주거나 하기 어렵습니다. 바깥에서 온힘을 다 쓰고 돌아왔으니, 이튿날 다시 기운을 차려 돈벌러 나가자면 ‘집순이한테서 다리 주무름을 받으’며 느긋하게 쉬어야 할 테니까요.
엊저녁에는 아이하고 《까만 크레파스》를 함께 읽습니다. 책에 적힌 얄궂은 말은 아빠가 볼펜을 쥐어 하나하나 바로잡습니다. “타닥타닥 뛰어가다가”는 “타닥타닥 달려가다가”로 고칩니다. ‘뛰어가다’는 콩콩 통통 뛰면서 가는 모습이니까, 타닥타닥이든 다다다다이든 ‘달려가다’라 해야 합니다. “와, 기분 최고다!”는 “와, 좋다!”로 고치고, “황토와 갈색이”는 “흙빛이와 밤빛이”로 고치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는 “그림을 그립니다.”로 고칩니다. 아이가 어릴 때부터 즐거이 들으면서 배울 말을 헤아린다면, 아무 말이나 그림책에 적힌 대로 읽을 수 없습니다. 어린이 눈높이에 맞추고, 어린이 말매무새를 살핍니다. 아이는 둘레 어른이 “에이, 젠장!” 하는 말을 고스란히 배워서 따라합니다. 어른이 얄궂게 말하면 아이도 얄궂게 말해요. 줄거리와 엮음새와 그림결 모두 훌륭한 그림책일지라도, 그림책에 담은 ‘말’이 우리 말답거나 참답지 못하다면 슬픈 일이에요.
일본 그림쟁이 ‘다케다 미호’ 님이 있습니다. 한국에는 그리 알려지지 않았고, 이분 그림책 또한 썩 팔리지 않았습니다. 그럭저럭 읽히기는 하는데, 2001년에 《책상 밑의 도깨비》, 2007년에 《짝꿍 바꿔 주세요!》, 2008년에 《우리 엄마 맞아요?》가 한글판으로 나왔습니다. 앙증맞으면서 살가운 그림결에, 그윽하면서 따사로운 이야기를 그림책에 담아 내놓기에 사랑받습니다. 이제 막 서른두 달째 접어든 아이는 《까만 크레파스》이든 다케다 미호 님 그림책이든, 아빠가 한 번 함께 읽어 주면 “내가 읽을게!” 하면서 앙증맞은 손으로 앙증맞은 그림책을 넘깁니다.
곰곰이 생각합니다. 오늘날 어버이들이 자가용을 버리며 ‘자가용 값’과 ‘자가용 굴릴 기름값’으로 아이들 그림책을 장만해서 아이랑 함께 읽으면 우리 누리가 얼마나 아름답거나 사랑스레 탈바꿈할까요. 한 아이 한 해 어린이집 배움삯 500만 원을 그림책 값으로 바꾼다면 아이들은 얼마나 좋아할까요. (4344.1.15.흙.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