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가본드 11
이노우에 다케히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14.

책으로 삶읽기 892


《배가본드 11》

 요시카와 에이지 글

 이노우에 타카히코 그림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1.9.25.



《배가본드 11》(요시카와 에이지·이노우에 타카히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1)를 보았다. 한달음에 죽 읽고서 한참 삭여 보았다. 대단한 칼잡이를 다룬 듯싶으나, 다시 들여다볼수록 ‘대단한 바보’가 얼마나 바보인가를 겉멋스러운 칼부림으로 낱낱이 담아내었을 뿐이로구나 싶다. 칼잡이는 칼을 실컷 휘둘러서 숱하게 쓰러뜨리고 나서도 응어리를 못 푼다. 칼이 하늘땅하고 하나라고 여기지만, 참 우스운 말이다. 칼하고 한몸이 되어서 무엇을 이루겠는가? 누구를 베어서 죽일 수는 있겠지. 그러나 아기를 낳을 수 없고, 아기를 안을 수 없고, 아이한테 살림길을 가르칠 수 없다. 칼잡이는 씨앗을 심지 않고, 풀꽃나무를 돌보지 않고, 숲하고 등진다. 칼하고 한덩이로 흐르기에 사랑을 잊거나 모른다.


ㅅㄴㄹ


“나의 검은, 천지와 하나.” (84쪽)


“천하무적이란, 한낱 말일 뿐이야.” (104쪽)


“너는 무한하지 않느냐?” (106쪽)


“미야모토 무사시에게 졌다 해서 부끄러워할 것 없습니다.” (185쪽)


+


두령의 목만 거두면

→ 꼭두메 목만 거두면

→ 꼭두 목만 거두면

54쪽


무사시에게 졌다 해서 부끄러워할 것 없습니다

→ 무사시에게 졌다 해서 부끄러울 일 없습니다

→ 무사시에게 졌다 해서 부끄럽지 않습니다

18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배가본드 9
이노우에 다케히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14.

책으로 삶읽기 891


《배가본드 9》

 요시카와 에이지 글

 이노우에 타카히코 그림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1.3.25.



《배가본드 9》(요시카와 에이지·이노우에 타카히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1)을 읽으면 이제 갓 겨룸판으로 뛰어드는 앳된 젊은이 몸짓을 하나하나 펼쳐 보인다. 칼로 사람을 베든 넘어뜨리든 대수롭지 않다고 여기는 마음이니, 물도 불도 가리지 않는다. 누구보다 날렵하고 힘차게 칼을 휘두르고 싶은 마음이니, 언제나 거침없이 뛰어오른다. 앳된 젊은이는 멧숲이 스승이라고 내세우지만, 참말로 멧숲이 스승이라면 칼부림이 아닌 푸근히 안는 품놀림을 보여줄 노릇이다. 숲은 어느 누구한테도 칼을 안 휘두르는걸. 풀도 꽃도 나무도 어느 누구를 괴롭히거나 밟지 않는걸. 아무도 안 죽이는 길잡이한테서 배웠다면서, 정작 모든 이를 거꾸러뜨리려고 칼을 쥔다면, 처음 나선 발걸음부터 일그러졌을 테지. 허수아비 같은 이 놈 저 놈 우르르 쓰러뜨릴 수는 있되, 정작 스스로 어떤 넋인지 모르는 채 날뛰기만 하겠지.


ㅅㄴㄹ


“하늘은 비웃지 않아.” (20쪽)


“헤에? 나무 같은 건 어디든지 있잖아.” “아니. 이곳의 나무들은 모두 수령(樹齡)이 오래된 것뿐이야. 그건 이 지방이 전쟁을 겪지 않았다는 증거지. 마구잡이로 베이지 않았다는 뜻이야.” (29쪽)


“이 양쪽 끝이 뭔가 다르다는 얘긴가? 그래, 알아보겠나?” (117쪽)


“내게 유서 있는 스승 따위는 없소. 산하(山河)를 스승 삼은 야인. 귀신의 자식. 짐승으로 불리기도 했지요. 때문에 이 이상 설명할 말이 없소. 정 알고 싶다면, 검을 들고 나를 시험하는 수밖에 없을 거요.” (169쪽)


“그 실체가 의심스럽군. 이런 산골 구석의 인적 없는 도장에 자기들끼리 틀어박혀서, 거창한 도장에 모여 날마다 토론이라도 하는 건가? ‘내 검은 여기가 근사하다’, ‘아니, 그렇지 않다’하며.” (182쪽)


+


이곳의 나무들은 모두 수령(樹齡)이 오래된 것뿐이야

→ 이곳 나무는 모두 오래되었어

→ 이곳 나무는 모두 오래살았어

29쪽


내게 유서 있는 스승 따위는 없소

→ 내게 뿌리 있는 스승 따위는 없소

169쪽


산하(山河)를 스승 삼은 야인

→ 들숲을 스승 삼은 들사람

→ 숲내들을 스승 삼은 들꽃

169쪽


때문에 이 이상 설명할 말이 없소

→ 그래서 이밖에 할 말이 없소

→ 그러니 더 들려줄 말이 없소

169쪽


그 실체가 의심스럽군

→ 뿌리가 못미덥군

→ 뼈대가 믿을 수 없군

→ 바탕이 궁금하군

182쪽


이런 산골 구석의 인적 없는 도장에 자기들끼리 틀어박혀서

→ 이런 멧골구석 사람 없는 마당에 저희끼리 틀어박혀서

→ 이런 멧골구석 기척 없는 겨룸터에 저희끼리 틀어박혀서

18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구역의 주민 1
미나미 토코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12.

만화책시렁 641


《M구역의 주민 1》

 미나미 토코

 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19.9.15.



  맨땅이란 없습니다. 흙에는 뭇숨결이 흐르고, 흙알갱이 사이로 숱한 숨결이 깃들며, 크고작은 씨앗도 나란합니다. 이미 깃들어 곧 깨어나려는 씨앗이 있고, 새로 날아와 얼른 깨어나려고 하는 씨앗이 있습니다. 얼핏 보면 먼젓씨앗과 나중씨앗이 자리다툼을 하는 듯싶지만, 둘은 나란히 자랍니다. 풀마다 싹트는 철이 다르기도 하고, 풀마다 반기는 흙이 다르기도 합니다. 《M구역의 주민 1》를 읽으면서 두 갈래 씨앗을 떠올립니다. 이미 마을에서 터를 잡고서 두런두런 즐거운 여러 아이가 있고, 낯선 마을로 찾아와서 터를 잡아야 하는 아이가 있습니다. 아이는 마을에서뿐 아니라 배움터에서도 느긋이 설 자리를 찾으려고 싸워야 합니다. 살가이 마음을 여는 또래가 있지만, 사납게 할퀴려는 또래도 있어요. 모든 숨결은 늘 새바람을 쐬고 새햇볕을 누립니다. 바람과 해가 새로 찾아들지 않으면, 모든 목숨은 곧바로 죽습니다. 마을에도 배움터에도 언제나 여러 사람이 갈마들어요. 떠나는 이가 있고, 남는 이가 있으며, 들어오는 이가 있습니다. 먼저 자리를 잡았으니 아무도 이 둘레에 얼씬을 하면 안 될 노릇일까요? 단단히 걸어잠근 채 끼리끼리 논다면, 오히려 스스로 가두는 굴레라고 느낍니다. ‘주민’이 아닌 ‘사람’일 뿐입니다.



“파파는 말이지, 에마. 우리 에마랑 엄마에 대한 애정을 듬뿍 넣었단다.” (37쪽)


“코마 말고도 있네. 열렬하게 환영해 주는 녀석이.” (95쪽)


#南塔子 #テリトリーMの住人


ㅅㄴㄹ


《M구역의 주민 1》(미나미 토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19)


아빠? 과거형……

→ 아빠? 지난일……

→ 아빠? 예전……

39쪽


재회한 것도 기뻤고 친해지고 싶긴 했지만

→ 다시 만나 기쁘고 곰살갑고 싶긴 하지만

→ 다시보니 기쁘고 다가서고 싶긴 하지만

→ 또 보니 기쁘고 가까이하고 싶긴 하지만

103쪽


그런 의미로 좋아하게 된 거야?

→ 그런 뜻으로 좋아하나?

103쪽


날씨도 좋은데 중정이나 옥상에서 점심 먹을까

→ 날씨도 맑은데 안뜰이나 꼭대기서 참 먹을까

→ 날씨도 환한데 마당이나 지붕에서 낮밥 먹을까

12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콘 근크리트 3 - 완결
마츠모토 타이요 지음, 김완 옮김 / 문학동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10.

만화책시렁 640


《철콘 근크리트 3》

 마츠모토 타이요

 김완 옮김

 애니북스

 2007.4.21.



  열네 살 작은아이가 부엌에서 뭘 하다가 물그릇을 떨어뜨려서 톡 깹니다. 그릇을 떨어뜨려서 깨면 어떡해야 하는가를 여태 보여주었으나, 작은아이는 어떻게 치워야 하는지 잘 떠올리지 못 합니다. 큰아이하고 다르구나 하고 여기는데, 앞으로 작은아이 손놀림이 바뀔 수 있으려나 헤아려 봅니다. 서두르면 늘 미끄러지거나 넘어집니다. 안 서두르는데 미끄러지거나 넘어지지 않습니다. 서둘러서 잘 되는 일이란 있지 않다고 느낍니다. 느긋해서 안 되는 일이란 없어요. 빨리 먹어야 하지 않고, 빨리 커야 하지 않고, 빨리 해야 하지 않고, 빨리 알아야 하지 않습니다. 《철콘 근크리트》는 철들지 않은 아이가 어떤 마음으로 뛰노는가를 보여주는 듯하지만, “철들지 않은”보다는 “철들기 싫은” 몸부림 같습니다. 그런데 누가 빨리 철들라 하지 않을 테고, 굳이 일찍 철들어야 하지 않습니다. 느긋이 놀아도 되고, 천천히 꿈을 그리면 됩니다. 하루를 바라볼 일이고, 남을 쳐다보거나 흉내내는 몸짓을 멈추면 돼요. 이녁 어머니 ‘구도 나오코’ 님이 쓴 글꽃처럼 천천히 바다를 품고 찬찬히 하늘을 안고 가만히 속빛을 사랑하면 됩니다. 주먹을 뽐내거나 흔드는 짓이란 더없이 부질없고 철없는 줄 알아보면 됩니다.


ㅅㄴㄹ


“하느님이 사람 만들었지?” “하느님?” “응. 왜 다 똑같이 안 만들었어?” (33쪽)


“그래, 어둠 속에야말로 진실이 있지. 빛은 어둠이 만들어내는 거야. 알겠어?” “하하하, 뭔 소리야?” (142쪽)


“시로가 심은 사과씨에서 오늘 아침 싹이 났어. 이런 거리에서 어떻게 싹이 나냐고 난 비웃었는데” (179쪽)


#松本大洋 #?コン筋クリ?ト


+


《철콘 근크리트 3》(마츠모토 타이요/김완 옮김, 애니북스, 2007)


이번 달만 벌써 여덟 건째야

→ 이달만 벌써 여덟째야

→ 이달만 벌써 여덟 판째야

9쪽


관중처럼 말하는군. 자네도 불펜에 대기중이라는 사실 잊지 마

→ 들러리로 말하는군. 자네도 옆뜰서 기다리는 줄 잊지 마

→ 구경하듯 말하는군. 자네도 옆자리인 줄 잊지 마

13쪽


난 위선을 증오해

→ 난 거짓이 미워

→ 난 눈가림 싫어

14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칸무리씨의 시계공방 4
히와타리 린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10.

책으로 삶읽기 922


《칸무리 씨의 시계공방 4》

 히와타리 린

 원성민 옮김

 대원씨아이

 2022.4.30.



《칸무리 씨의 시계공방 4》(히와타리 린/원성민 옮김, 대원씨아이, 2022)을 읽고서 허전했다. 손목에 차는 때바늘을 다루는 줄거리를 고스란히 이으면 될 텐데, 어쩐지 “아가씨 얼굴과 몸과 키”를 더 이쁘장하게 다듬는 데에 힘을 잔뜩 쓴 듯싶다. 첫걸음부터 넉걸음에 이르도록 그림결이 다 다르다. 그리면서 붓솜씨가 늘었다기보다는 ‘줄거리 아닌 붓질’에 마음을 빼앗긴 듯하다. 그림은 이쁘더라도 줄거리가 사라지면 허울스럽다. 더구나 ‘이쁜’ 그림이 아닌 ‘이쁜 척’하는 그림으로 몸을 길쭉하게 늘려놓으니 오히려 보기에 나쁘다. 하루가 지나는 길을 살피는 조그마한 바늘과 판에 마음을 쏟는 줄거리를 살리지 않는다면, 하루란 무엇이라는 셈일까? 안타까울 뿐이다.


ㅅㄴㄹ


“그러고 보니 이 시계는 제 부주의로 한 번 침수된 적이 있는데, 그때 생긴 얼룩도 이 문자판에 희미하게 남아 있답니다.” (85쪽)


“엄마 시계이긴 하지만, 이렇게 네 추억도 잔뜩 담겨 있어.” (128쪽)


#冠さんの時計工房

#?渡りん


+


그게 일단 일본 기후는 고온다습하니까, 녹슬기 쉬운 조건이긴 해요

→ 아무래도 일본 날씨는 따뜻축축하니까, 삭기 쉽긴 해요

→ 다만 일본은 후덥지근하니까, 쇠곰팡이 쉽게 끼긴 해요

42쪽


다음 호에 소개가 실릴 거예요

→ 다음 자락에 글이 실려요

→ 다음에 글월이 실려요

50쪽


마침 출출하던 차인데

→ 마침 출출하던 참인데

→ 마침 출출한데

71쪽


윤활유가 마른 채 작동하면

→ 부들기름이 마른 채 구르면

→ 매끈기름이 마른 채 가면

8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