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 걸린 부엉이 빛그린 동심집 1
이묘신 지음 / 브로콜리숲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5.11.

노래책시렁 310


《마법 걸린 부엉이》

 이묘신

 브로콜리숲

 2019.9.27.



  새봄을 맞이한 들숲을 적시는 휘파람새 노랫소리는 기쁘면서 우렁차게 온몸을 휘감는 숨결입니다. 봄에도 가을에도 서울(도시) 한복판을 쩌렁쩌렁 울리는 부릉소리는 삶을 밟는 지스러기입니다. 밝게 퍼지는 숨결을 품고서 글 한 자락을 여밀 만하고, 시끄럽게 어지럽히는 지스러기를 달래면서 글 두 자락을 옮길 만합니다. 다만, 무엇을 보거나 느끼든 우리 스스로 풀어낼 노릇입니다. 좋거나 싫다는 금긋기가 아닌, 오늘 이곳에서 맞아들이는 삶이 사랑으로 피어나도록 다독일 수 있다면, 글쓰기는 글짓기·삶짓기·마음짓기로 뻗을 만합니다. 《마법 걸린 부엉이》는 토막노래를 들려줍니다. 살아가며 마주하는 이웃을 문득 느끼면서 단출히 새깁니다. 곰곰이 보면 이 토막노래는 예부터 숱한 어버이가 아이 곁에서 문득문득 들려주는 작은 이야기입니다. 겨울에 눈이 오기에 “이야, 하늘에 눈꽃이 피었구나.” 하고 한줄노래(외마디노래)를 터뜨립니다. 봄에 새가 노래하기에 “오, 봄이 노래로 물드는구나.” 하고 한마디노래(외줄노래)를 읊어요. 어렵다면 글이 아닙니다. 어렵다면 말도 마음도 삶도 아닙니다. 들씌울 일이 없이 스스럼없이 풀어낼 적에 모두 노래로 다시 태어나는 말이자 마음이자 삶인 하루입니다.


ㅅㄴㄹ


지붕 위에 농구공이 / 박처럼 달려있다 (도시의 밤/32쪽)


꾹 찍힌 발자국 / 풀을 담았다 // 풀의 집이 되었다 (발자국/58쪽)


화초에게 / 딱 맞는 신발을 / 신겨주었다 (화분/8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과 깃발
이소리 지음 / 바보새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5.11.

노래책시렁 292


《바람과 깃발》

 이소리

 바보새

 2006.4.20.



  오늘 우리는 ‘한글’을 쓰지만, 아직 ‘한말’은 아닙니다. ‘한국 문자’가 아닌 ‘한글’이라는 이름은 주시경 님이 지어서 알리고 심었습니다. 그러나 주시경 님은 일찍 숨을 거두었고, ‘한말(우리말)’이 싹트는 길까지 일구지는 못 했습니다. ‘우리말·우리글’이듯 ‘한말·한글’인데, 왜 ‘한국어’라는 그물에 갇힐까요? 뿌리를 캐면, ‘한자·훈민정음’을 ‘수클(수글)·암클(암글)’로 가르던 조선 오백 해가 있습니다. 웃사내(남성 가부장권력)는 중국을 섬기면서 한자·한문을 ‘수클’로 삼았고, 애써 태어난 훈민정음을 ‘암클’로 깎아내렸어요. 이 기운은 오늘날에도 아직 가시지 않았습니다. 《바람과 깃발》을 읽으면서 ‘가시나’를 바라보는 모습과 글자락을 볼 때마다 거북했습니다. 무늬는 한글이되 지난날 ‘수클’ 같은 얼개요 눈썰미입니다. 숫놈은 스스로 사랑을 바라보지 않기에 수클을 씁니다. 지난날에는 중국말·중국글이 수클이었다면, 오늘날에는 ‘사랑을 잊고 잃은 메마른 글치레’가 수클입니다. 차분히 살림빛부터 다스린다면, 누구나 글빛을 여밀 수 있는 아름다운 오늘을 어깨동무로 노래하려는 발걸음을 뗀다면, 이쪽도 저쪽에 서지 않는, ‘깃발’을 접고서 두 팔을 활짝 벌린다면, 다 바꿀 수 있습니다.


ㅅㄴㄹ


배 고팠지 / 감꽃 투둑투둑 떨어지는 밤마다 / 뜬 눈으로 지새웠지 // 배 불렀지 / 감꽃 많이 주워 먹은 그날 아침 / 똥구녕이 찢어졌지 // 그 가시나 그 머스마 / 예쁜 주디 / 보푸라진 가슴에 / 보랏빛 피멍 들었지 (감꽃/18쪽)


각시야 각시야 / 니 신랑 배고파 죽것다 / 북 치고 장구 치며 나온나 // 각시야 각시야 / 니 집 깨뜨리지 않을게 / 징치고 꽹과리 치며 나온나 // 각시야 각시야 / 때국넘 동북공정 쏼라대며 고구려사 비튼다 / 남북 가리지 말고 퍼뜩 나온나 / 쏘옥∼ (달팽이 2/2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인보우의 비밀 동시집
강정연 지음, 강혜숙 그림 / 사계절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5.11.

노래책시렁 291


《레인보우 비밀 동시집》

 강정연 글

 강혜숙 그림

 사계절

 2021.10.25.



  어린이는 배움터만 다니지 않습니다. 어린이는 마침종이(졸업장)를 받는 데에 꼬박꼬박 나가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는 배움책(교과서·학습지)을 옆구리에 껴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는 배움수렁(입시지옥)에 끌려가거나 뛰어들어야 하지 않습니다. 어린이는 노래하면 되고, 동무랑 놀면 즐겁고, 스스로 가만히 꿈을 그릴 노릇입니다. 아이는 소꿉을 놀다가 살림을 익히면 아름답고, 천천히 철들면서 찬찬히 참빛으로 물드는 어른으로 자라기에 사랑스럽습니다. 《레인보우 비밀 동시집》을 읽고서 한숨을 쉬었습니다. 어린이를 귀엽게 그리지 않기를 바랍니다. 아이를 배움터에 묶지 않기를 바랍니다. 아니, 어린이가 왜 어릴 적부터 또래 사이에서 휩쓸려야(유행·영향) 할까요? 어린이는 둘레에 휘둘릴 넋이 아닌, 스스로 바람을 타면서 꽃으로 피어날 노릇이요,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이 곁에서 말장난 아닌 말놀이에 말소꿉을 일깨울 노릇이라고 느낍니다. 그러나 오늘날 숱한 사람들은 어릴 적부터 배움터에 길든 나머지, 새로 태어나서 자라는 아이들한테도 ‘고스란히 굴레를 씌우는 배움틀’을 물려주려고 하는군요. 마음에서 비롯하는 말은 ‘남을 쳐다보는 곳(유행)’에서는 자라지 않습니다. 마음과 말은 ‘나를 바라보는 숲’에서 깨어납니다.



요즘엔 썬더가 유행이야 / 모두가 썬더랑 손 잡고 싶어 하거든 / 썬더가 오징어라면 얼마나 좋을까? (유행/10쪽)


우리 반 인기 최고 썬더는 나랑 제일 친하지. 그래서 다른 친구들이 조금 샘을 내기도 해. 근데 썬더는 딱 한 명이잖아? 바로, 그게 문제야. 너네 반에서는 누가 유행이야? (1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받들어 꽃
곽재구 / 미래사 / 1992년 5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5.11.

노래책시렁 306


《전장포 아리랑》

 곽재구

 민음사

 1985.10.15.



  우리나라 글꾼이 예전에 남겼거나 요새 적는 글을 보면 어쩐지 술타령이 잦고, 글돌이(남성작가)는 술어미(작부)를 옆에 끼기 일쑤입니다. 왜 그럴까요? 내로라하는 이름이 있는 노래꾼(시인)이며 얘기꾼(소설가)이 그토록 노닥술집(유흥주점)을 즐기고 좋아하는지 몰랐습니다. 글에 글쓴이 모든 삶을 담아내는 길은 나쁘지 않습니다만, ‘삶이 아닌 굴레’로 굴러가는 모습만 되풀이해서 비춘다면, 이 글은 이 땅에 어떤 씨앗으로 퍼질까요? 《전장포 아리랑》을 되읽었습니다. “받들어 총”을 “받들어 꽃”으로 바꾼다면 얼핏 바뀔 듯싶습니다만, 시늉일 뿐입니다. 총칼(전쟁무기)은 받들어서 우두머리(권력자)를 섬기는 길로 치닫습니다. 풀꽃과 푸나무는 받들지도 섬기지도 않을 이웃입니다. 풀꽃을 보려면 맨발에 맨손으로 흙바닥에 폭 앉거나 무릎을 꿇을 노릇이요, 푸나무를 보려면 맨발에 맨손으로 나무타기를 하고서 새 곁에서 휘파람을 불 노릇입니다. 아이들은 아무것도 모르지 않습니다. 계집애는 돈만 바라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꿈빛을 품고서 이 땅에 태어났으니, 부디 아이 곁에 쪼그려앉아 보셔요. 계집애는 사랑바라기라는 사람길을 일구려고 태어났으니, 모쪼록 ‘꽃돈(상금)’을 흩뿌리려던 철없던 옛짓에서 거듭나셨기를 빕니다.


ㅅㄴㄹ


부동자세로 받들어 총을 한다 / 아이들 전쟁의 클라이막스가 / 받들어 총에 있음을 우리가 알지 못했듯이 / 아버지의 슬픔의 클라이막스가 / 받들어 총에 있음을 아이들은 알지 못한다 / 떠들면서 따라오는 아이들에게 / 아이스크림과 학용품 한 아름을 골라 주며 /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들 앞에서 (받들어 꽃/20쪽)


문학복권 상금을 타고 / 제일 먼저 옛 거리의 골목에 돌아가고 싶었다 / 주머니에는 오천원 지폐 80장이 들어 있고 / 그래 가능하다면 바퀴벌레처럼 / 바라크 틈 속에 숨어 사는 계집애들의 출입구에 / 오천원 지폐 한 장씩 걸어 주고 / 종을 울리고 싶었다 / 야 계집애들아 나와라 / 나와서 군밤도 사 먹고 호박죽도 사 먹고 / 주간지 생리대 바둑껌 콘돔 다 사가라 사가라 (그해 겨울/13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재 창비시선 18
신경림 지음 / 창비 / 197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5.11.

노래책시렁 309


《새재》

 신경림

 창작과비평사

 1979.3.30.



  늘 그렇습니다만, 미움을 마음에 담으면 언제나 미움이 일어납니다. 미움씻이를 마음에 담으면 늘 미움씻이가 퍼집니다. 미움씻이는 미움보다 나을까요? 그런데 미움을 마음에 담든, 미움씻이를 마음에 담든, 우리 마음에는 고스란히 미움 한 자락이 떠오릅니다. 《새재》를 서른 해 만에 되읽어 보니, 이 글자락이 품은 말씨앗은 처음부터 끝까지 ‘미움’이었구나 싶습니다. 예전에 읽을 적에는 속이 께름했다면, 새로 읽으면서 어쩐지 글쓴이가 딱합니다. 냇물 건너에서 구경하는 팔짱짓으로 슥슥 옮긴 글에 심은 미움씨앗은 참으로 들불처럼 일어났습니다만, 이 미움씨앗을 등에 업고서 글힘(문단권력)과 벼슬힘(정치권력)을 거머쥔 이들은 오늘날 무엇을 할까요? 힘을 거머쥔 이들한테서 비롯한 저지레가 들통이 나도 어쩐지 이들은 핑계가 넘칠 뿐, 뉘우치는 일도 힘(권력)을 내려놓고서 시골로 가겠다는 몸짓도 없습니다. 시골은, 서울내기가 놀러다니는 구경터가 아닙니다. 시골은 시골내기가 시골빛을 일구면서 조용히 풀노래를 듣고 숲노래를 맞이하면서 별노래를 심는 살림터입니다. 신경림 님이 구경글이 아닌 삶글을 여미었다면 스스로 빛났을 텐데, 스스로 빛나기보다는, 그러니까 ‘심기(씨앗심기)’보다는 ‘심(글힘)’을 바란 듯싶습니다.


ㅅㄴㄹ


펄럭이는 쾌자자락 새파란 무당 / 분 먹인 얼굴에 서슬 세웠네 / 둥두 둥두둥 둥두 둥두둥 / 갈대밭에 얼굴 박고 잠든 아이야 / 여울물에 머리 풀고 우는 아이야 / 아낙네들 메밀밭서 제 설움에 겨운데 / 둥두 둥두둥 둥두 둥두둥 / 대낮에도 강 건너엔 아우성 소리 (白畵/10쪽)


어차피 우리는 형제라고 / 아가씨야 너는 그렇게 말하는구나 / 가난과 설움을 함께 타고난 / 아무것도 잃을 것이 없는 형제라고 // 역앞 장터 골목은 누렇게 녹이 슬고 / 덜컹대는 판장들이 허옇게 바랬는데 (君子에서/29쪽)


우리는 밟혀도 분노할 줄 모른다 / 우리는 찢겨도 일어설 줄 모른다. // 그러나 한 아낙네 / 왜놈 기사가 희롱할 때, / 홑적삼이 찢기고 무명치마 뜯어질 때, / 야윈 젖가슴에 더러운 손 들어갈 때, / 내 살점은 떨리고 / 몸에 소름이 돋았다. (새재/108∼10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