끄르일로프 우화집 대산세계문학총서 46
이반 끄르일로프 지음, 정막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101 : 파리는 지구를 말끔히 치우는데, 너는?


《끄르일로프 우화집》

 이반 끄르일로프

 정막래 옮김

 문학과지성사

 2006.2.7.



아무래도 폭풍 때문에 더욱 위험해지는 것은 바로 네가 아닐까! 물론 오늘날까지 자연의 악천후가 너를 굴복시키지도 못했고, 너의 고개를 숙이게 하지도 못했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나 아직은 알 수 없잖아! (18쪽)


다른 신부들에게는 보물이 될 만한 신랑감들도 그녀가 보기에는 의젓한 신랑감이 아니라, 풋내 나는 젊은이에 불과했습니다! (30쪽)


불행하게도 사람들은 어떤 유용한 물건이라도, 그 가치를 모르고 자신의 무식을 물건 탓으로만 돌립니다. 그 무식한 사람이 더 높은 직위에 있을수록 그는 그 물건을 못 쓰게 만들어버립니다. (67쪽)


질투 어린 사람들은 무엇을 보든지 간에 끊임없이 악담을 늘어놓습니다. 그래도 당신은 자신의 길을 걸어가십시오. (127쪽)



  옛 그리스 무렵에 숲살림 이야기를 사람살림 이야기에 빗대어 들려준 이솝이란 분이 있습니다. 그냥 사람살림 이야기를 해도 될 터이지만, 사람들 이름이나 집이나 마을을 고스란히 밝히면 싫어하거나 꺼리거나 미워할 수 있습니다. 슬쩍 숲살림으로 돌려서 이 짐승이나 저 새나 그 나무나 요 벌레하고 얽힌 이야기로 엮어서 들려주곤 해요.


  넌지시 알아채도록, 부드러이 깨닫도록, 조용조용 돌아보도록 이끄는 ‘숲살림 이야기’라고 할 만합니다. 이렇게 뭇숨결에 빗대어 사람살림 이야기를 그린 이들이 꽤 많습니다. 가만 보면 이 나라 옛이야기도 하나같이 ‘숲살림 이야기’라 할 수 있어요. 올챙이 이야기도, 풀개구리 이야기도, 참나무하고 대나무 이야기도, 가만히 들여다보면 우리를 둘러싼 숲에서 어떤 하루가 흐르는가를 찬찬히 지켜보고서 이를 사람살림에 견주어서 시나브로 익히도록 이끌었지 싶습니다.


  1769년에 태어나 1844년에 숨을 거든 러시아 분이 쓴 《끄르일로프 우화집》(이반 끄르일로프/정막래 옮김, 문학과지성사, 2006)은 1800년대에 러시아가 어떤 터전이었나를 돌아보도록 하면서 이야기를 엮습니다. 그무렵 러시아는 썩 아름답거나 즐겁거나 사랑스럽지 않았다더군요. 다만 수수한 마을이나 흙지기나 살림꾼 이야기가 아닙니다. 나라지기에 벼슬아치 노릇을 하는 이들이 하나같이 썩거나 비뚤어지거나 못났다지요.


  끄르일로프란 분이 쓴 숲살림 이야기는 모두 러시아 벼슬아치하고 나라지기를 나무라거나 꾸짖을 뜻으로 썼다고 합니다. 그때에 러시아 벼슬아치나 나라지기는 이 이야기를 얼마나 알아차렸을까요. 대놓고 따지지 않은 이야기라서, 슬쩍 눙치듯이 돌려서 밝힌 이야기라서, 숲에서 살아가는 짐승이며 푸나무이며 새를 빗댄 이야기라서 ‘내 이야기가 아니군’ 하고 지나가지는 않았을까요.


  이른바 ‘우화’란 이름으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이름을 까놓고 따지지 않을 테니 찬찬히 깨닫기를 바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를 엮어서 들려줄 적에는 한 가지를 잘 헤아려야지 싶습니다. 이솝이란 분이 남긴 이야기를 읽으면서 숲짐승이나 새나 벌레나 푸나무가 ‘나쁘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습니다. 이솝이란 분은 숲살림을 곰곰이 보고서 알맞게 엮었어요. 누구를 미워하거나 나무라려는 뜻이 아니라, 이야기를 바탕으로 스스로 배우도록 이끌었구나 싶어요.


  이와 달리 끄르일로프라는 분은 엉터리 러시아 정치와 사회와 문화를 나무랄 뜻이 짙다 보니까, 이녁 이야기에 나오는 짐승이며 새이며 푸나무이며 얼결에 ‘나쁜 기운이 있는 숨결’인 듯 나타나곤 합니다. 참나무가 나쁜 나무가 아닐 터인데, 곰이 나쁜 짐승이 아닐 터인데, 혼인을 안 하고 나이를 먹는 분이 나쁜 뜻이 아닐 터인데, 어쩐지 ‘빗대는 이야기’가 좋고 나쁨을 싹 갈라서 매섭게 따지는 목소리가 되고 맙니다.


  무엇에 빗대어 이야기를 엮으려 한다면, 나무라거나 따지고 싶은 속내가 있더라도, 빗대어 말하려는 이웃 숨결을 조금 더 따사로이 들여다보면서 참하게 담아내야지 싶습니다. 이렇게 하기 어렵다면 그냥 정치비평 사회비판 문화평론을 하면 됩니다. 이를테면, 파리가 없는 지구를 떠올려 봐요. 매우 끔찍하겠지요. 파리는 사람한테 늘 놀림이나 손가락질을 받지만, 파리가 있기에 지구는 깨끗한 별이 되거든요. 엄청나게 말끔히 치워 주는 일꾼이 바로 파리이니까요. 그래서 “넌 파리만큼도 안 되는구나!”가 아닌 “파리는 지구를 말끔히 치우는데, 넌 사람 주제에 지구를 더럽히네?” 하고 따질 만하겠지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변화를 위한 그림 일기 - 남의 눈치 보지 않고 창조적이고 즐거운 일상 만들기
정은혜 지음 / 샨티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책으로 삶읽기 535


《변화를 위한 그림 일기》

 정은혜

 샨티

 2017.6.26.



인간이 인간인 이유는 창조하고 상상하고 표현하기 때문이다. (24쪽)


그림을 사실적으로 잘 그리지 못한다면 사실적으로 안 그리면 된다. 선을 똑바로 긋지 못한다면 삐뚤빼뚤 그으면 된다. (87쪽)


인간은 이미지로 상상을 하고, 이미지로 기억을 하고, 이미지로 꿈을 꾼다. (176쪽)


당신을 아주아주 사랑하고, 당신을 늘 지지하고 응원하고, 당신의 가능성을 펼쳐 열어 보이는 그러한 존재가 당신 안에도 있다. (195쪽)



  왜 이렇게 안 될까 싶을 적에는 문득 멈추고서 생각을 고쳐 보기로 합니다. ‘스스로 안 되거나 어렵다고 여기니 안 되거나 어렵지는 않을까?’ 하고요. ‘더 그럴듯하거나 보기좋게 되기를 바라는 나머지 안 되거나 어렵지는 않나?’ 하고요.


  아이들이 어떤 일이 안 되거나 어렵다고 할 적마다 곰곰이 생각하고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너는 오늘 이 일을 무척 잘하지 않니? 그런데 저 일이 오늘 안 된다고 그러지? 그런데 네가 더 어릴 적에는 오늘 이렇게 쉽게 하는 이 일이 너무 어렵고 안 된다고 했어. 저 일도 같아. 안 되거나 어렵다는 생각이 아니라, 그저 가볍게 해보기만 하면 돼. 해내려 하지 말고 그저 해봐.”


  《변화를 위한 그림 일기》(정은혜, 샨티, 2017)는 오늘 하루를 언제나 스스로 그리는 길을 들려주려 합니다. 누구보다 이 책을 쓴 분 스스로 ‘될까 안 될까’ 하는 생각을 놓아버리려고 했던 걸음을 들려주려 합니다. 어떤 일을 맞닥뜨릴 적마다 ‘해낸다’는 생각이 아닌 ‘해본다’는 생각으로 나아가려고 그림을 그리는 하루를 들려주려 해요.


  어쩌면 ‘그냥 해도 어려운데 그림까지 그리라니 더 어렵지 않나?’ 하고 여길 수 있습니다. 맞아요. 그림은 붓솜씨가 뛰어난 사람만 그려야 하는 줄 여길 수 있겠지요. 그렇지만 달리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우리가 그림을 왜 그릴까요? 번듯한 곳에서 내보여서 자랑을 해야 하니 그림을 그릴까요? 비싼값에 팔 수 있는 그림을 그려야 할까요? 화가라는 이름을 얻도록 그림을 그려야 할까요?


  우리 스스로 본 대로 그리면 됩니다. 우리 스스로 느낀 대로 그리면 됩니다. 서른 살 쉰 살 일흔 살 나이에 어린이마냥 삐뚤빼뚤하게 그린다면 부끄러울까요? 부끄러울 일이란 무엇일까요? 예순 살이 되도록 자전거를 못 탄대서 부끄럽지 않습니다. 일흔 살이 되도록 운전면허를 안 땄기에 부끄럽지 않습니다. 이웃집은 몇 억에 이르는 집을 장만해서 산다지만 우리 집은 달삯을 겨우 치른대서 부끄럽지 않습니다.


  남하고 대어서 더 나아야 하기 때문에 그림을 그리지 않습니다. 이웃하고 견주어서 더 좋아야 하기 때문에 돈을 벌어야 하지 않습니다. 오늘 하루를 스스로 즐겁게 짓고 싶기에 그림을 그려요. 오늘 이 보금자리를 알쓸살뜰 가꾸는 기쁨을 맛보려고 돈을 벌어요.


  달라지고 싶으니 말을 톡 내놓습니다. 바뀌고 싶으니 글 한 줄 슬쩍 씁니다. 거듭나고 싶으니 그림 한 자락 가만히 빚습니다. 《변화를 위한 그림 일기》라는 이름이란 “달라지고 싶은 마음을 그리기”요 “스스로 바꾸려는 생각을 그리기”요 “사랑으로 거듭나려는 길을 그리기”입니다.


  우리 그림이 어린이스럽다면, 어린이 곁에 앉아서 같이 그림을 누려 봐요. 우리 그림결이 엉성하다면 우리 곁에서 그림을 그리는 어린이가 오히려 기운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림질이 서툰 어린이는 ‘어른이어도 그림을 잘 그리지 않는다면, 어린이인 나는 나대로 그려도 되겠구나!’ 하고 생각할 수 있답니다. 잘 해내어도 좋으나, 그저 즐거이 해보기만 해도 더없이 좋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의 발견 : 시베리아의 숲에서
실뱅 테송 지음, 임호경 옮김 / 까치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책으로 삶읽기 515


《희망의 발견, 시베리아의 숲에서》

 실뱅 테송

 임호경 옮김

 까치

 2012.12.10.



가장 가까운 마을은 100킬로미터 떨어져 있고, 이웃도 없고, 접근도로도 없으며, 때로는 방문하는 사람조차 없는 곳이다. 밤에는 기온이 영하 30도로 떨어지고, 여름에는 호숫가의 둔치에 곰들이 돌아다닌다. 한마디로 내게는 낙원이다. (11쪽)


자유로운 인간은 시간을 소유한다. 공간을 지배하는 인간은 단순히 강할 뿐이다. (75쪽)


도시에서 인간 무리는 법이 질서를 부과하여 혼란을 막고, 그들의 욕구를 규제해 주어야만 생존할 수 있다. (99쪽)


러시아인들은 설사 일이 잘못되더라도 숲이 자신을 기다리고 있음을 안다. (191쪽)


자연도감을 보고 알게 된 동물이나 식물의 이름을 부를 수 있다는 것은, 연예잡지들 덕분에 거리에서 마주친 스타들을 알아볼 수 있는 것만큼이나 굉장한 일이다. (225쪽)



《희망의 발견, 시베리아의 숲에서》(실뱅 테송/임호경 옮김, 까치, 2012)를 처음에는 설레는 마음으로 골랐다. 러시아 시베리아 깊은 숲에 홀로 깃들어 보낸 여섯 달을 적바림했다고 해서, 여섯 달이란 나날을 얼마나 눈부시게 그려냈으려나 하고 생각했는데, 막상 책을 펼치니 아니었다. 시베리아 여섯 달 이야기가 아닌, ‘여행작가로 살며 못 읽은 책’을 잔뜩 챙겨서 숲오두막에 들어갔고, ‘책보다 더 잔뜩 꾸린 술병’이 있으니, 시베리아 숲오두막에서 여섯 달 동안 날마다 술을 잔뜩 마시면서 책읽기로 보낸 셈이더라. 숲을 느끼고 얼음을 느끼고 풀을 느끼고 바람을 느끼는 이야기는 얼마 없고, 왜 이렇게 술 마시고 책 읽고 하는 이야기만 줄줄이 적었을까. 숲오두막에 들어갈 적에 책은 꼭 한 자락만, 술은 한 병도 없이, 굳이 가져간다면 아직 아무것도 적지 않은 공책만 한 꾸러미를 챙기면 얼마나 다르고 새로운 이야기를 길어올릴 수 있었을까. 게다가 여섯 달치 먹을거리까지 바리바리 싸서 들어갔으니, 어떤 “희망의 발견”을 했다는 셈인지 도무지 모르겠더라. 그래도 다섯 군데에는 밑줄을 그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조금 바꾼다 - 삶을 가꾸는 히데코의 소중한 레시피
나카가와 히데코 지음, 강진주 사진 / 마음산책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88


《나를 조금 바꾼다》

 나카가와 히데코

 마음산책

 2019.1.10.



내가 나와의 관계에서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내 마음을 읽는 일이다. (26쪽)


살림을 시작하는 사람에게 당부하고 싶은 건 냄비나 식기 도구를 세트로 사지 말라는 것이다. (90쪽)


가족 사이에 대화가 줄어드는 건 서로를 향한 관심사를 텔레비전에게 빼앗기기 때문 아닐까. (97쪽)


잘 먹고 잘사는 일도 물질적 풍족함이 아니라 끊임없이 배우고 싶어 하는 마음과 도전 정신을 잃지 않는 데서 비롯되는 것 아닐까. (155쪽)



  꾸러미가 나쁠 일이 없습니다. 알차게 엮은 꾸러미가 많습니다. 다만, 꾸러미로 한꺼번에 장만할 적에는 하나씩 다 다른 결을 누리거나 느끼기보다는 어느새 무게에 눌려서 슬쩍 등질 수 있어요. 이른바 ‘어린이책 전집’이나 ‘그림책 전집’이 그렇지요. 쉰 자락이나 백 자락짜리 꾸러미를 한꺼번에 들여놓으면서 ‘이 책을 다 보자’하기보다는 한두 자락씩 사서 차근차근 읽자고 할 적에 어깨가 가볍겠지요.


  워낙 바쁜 살림이라 여기기에 손쉽게 꾸러미에 손을 대곤 해요. 꾸준하게 한두 자락씩 장만한다든지, 틈틈이 한두 자락을 살피기 어렵다고 여기면서 한몫에 장만하곤 하지요. 그런데 한두 자락씩 들이든, 한꾸러미로 들이든, ‘한꾸러미에 있는 것’도 낱낱이 모여서 이룬 덩이입니다.


  《나를 조금 바꾼다》(나카가와 히데코, 마음산책, 2019)는 일본에서 한국으로 삶터를 바꾼 분이 한국에서 ‘밥짓기 배움자리’를 마련해서 차곡차곡 길어올린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언뜻 보자면 와락 바꾼 삶인 듯하지만, 가만히 보자면 언제나 “나를 조금씩 바꾸며 걸어온 길”이란 무엇인가 하고 돌아본 이야기예요.


  ‘전집 책’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았는데, 그릇이나 수저도 매한가지입니다. 똑같은 꾸밈새로 한꾸러미를 장만하더라도 ‘이 살림을 쓰는 사람에 따라’ 손길이 묻어나기에 다 다른 살림이 되기 마련입니다. 다 다른 꾸밈새를 차곡차곡 장만했어도 ‘다 다른 꾸밈새가 우리 보금자리에서 새삼스레 한꾸러미가 되’곤 합니다.


  처음에는 이런저런 겉모습이 눈에 뜨이기 마련이라지요. 그러나 살림이란 이름으로 곁에 두노라면, 어느새 속마음을 차근차근 느끼지 싶습니다. 책 한 줄도, 밥 한 그릇도, 수저 한 벌도, 언제나 따사로운 손길로 마주할 적에 아름다운 빛을 누립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칸 명작 동화집 모두를 위한 그림책 4
로익 곰 지음, 나선희 옮김 / 책빛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으로 삶읽기 451


《네 칸 명작 동화집》

 로익 곰

 나선희 옮김

 책빛

 2018.1.30.



㉠ 라푼젤은 탑에 갇혔어요. 라푼젤 엄마가 마녀의 라푼젤 꽃을 훔쳤기 때문이에요 ㉡ 어느 날 한 왕자가 마녀가 긴 머리카락을 타고 탑에 올라가는 것을 보았어요. 왕자는 라푼젤을 사랑하게 되었어요 ㉢ 라푼젤이 왕자와 만나는 것을 알게 된 마녀가 라푼젤의 머리카락을 잘라 버렸어요. 왕자는 가시덤불로 떨어져 눈이 멀었어요 ㉣ 장님이 되어 떠돌아다니던 왕자는 목소리만으로 라푼젤을 알아보았어요. 라푼젤이 흘린 눈물이 눈에 닿자 왕자는 눈을 떴어요 (73쪽)


 

《네 칸 명작 동화집》(로익 곰/나선희 옮김, 책빛, 2018)을 훅 읽고서 덮는다. 뜻밖에 매우 재미없었다. 서양 오랜이야기를 네 칸에 맞추어 ‘봄 여름 가을 겨울’처럼 간추려 보여주는 얼거리인데, 줄거리만 툭툭 끊다 보니 어쩐지 힘알이가 없다. 이야기를 간추리고 그림을 빚은 분 나름대로 오랜이야기를 어떻게 바라보면서 속뜻을 새긴다고 하는 대목이 하나도 없으니 힘이 없을 수밖에. 서양 오랜이야기를 다 읽거나 새긴 어른이라면 이 책을 그런대로 읽을는지 모르나, 그렇더라도 참 재미없다. 서양이든 동양이든 오랜이야기는 ‘줄거리’로만 헤아리지 않는다. 이솝 이야기도 줄거리로만 읽지 않는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