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것들, 아로마 내가 좋아하는 것들 2
이민희 지음 / 스토리닷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153


《내가 좋아하는 것들, 아로마》

 이민희

 스토리닷

 2020.11.5.



  《내가 좋아하는 것들, 아로마》(이민희, 스토리닷, 2020)를 읽다가 우리 보금자리를 새삼스레 돌아봅니다. 우리는 늘 무엇을 먹으면서 살아가는데, 입으로 밥을 넣기만 할 뿐 아니라, 코하고 살갗으로 냄새를 느끼기도 합니다. 코하고 살갗으로 느끼는 냄새 탓에 배고프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고, 코하고 살갗으로 느끼는 냄새로도 배불러서 굳이 입으로 밥을 안 먹어도 좋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습니다.


  씽씽이가 찻길을 덮은 곳에서는 바람이 매캡합니다. 서울이며 큰고장은 언제 어디에서나 매캐한 기운이 넘실거려요. 돌림앓이가 아니더라도 이런 곳에서는 누구나 쉽게 앓고 아프고 일찌감치 죽기 쉽습니다. 이와 달리 씽씽이가 드물거나 없으며 찻길이 아닌 풀숲이나 풀밭이 있으며, 이 풀밭길을 따라 나무숲으로 이어가는 곳에서는 바람이 맑고 상큼해요. 바람이 맑고 상큼한 곳에서 앓거나 아프거나 괴로운 사람은 없습니다. 앓거나 아프거나 고로울 일이 없다면 죽음이 아닌 삶이 피어납니다.


  요사이에는 ‘허브’를 말하는 사람이 늘고 ‘아로마’를 찾는 사람이 늡니다. 나라가 나라이다 보니 ‘허브·아로마’처럼 영어를 쓰는데, ‘허브·아로마’라는 영어가 없거나, 이런 영어를 모르던 때에도 이 땅에서는 오래오래 두 가지를 넉넉히 누리며 살았어요. 다만, 서울에 높다랗고 커다랗게 올린 임금집에서는 이 두 가지를 안 누렸지요. 으리으리 기와집을 거느리는 벼슬아치도 이 두 가지를 안 누렸어요. 손수 흙을 짓는 사람은 언제나 두 가지를 누립니다.


  첫째, 풀입니다. 둘째, 숲입니다. 모든 풀은 사람을 살립니다. 사람을 살리지 않는 풀은 없습니다. “잡초가 없다”가 아니라 “온풀이 온사람으로 가꾼다”라 해야 어울립니다. 배앓이를 하는 사람을 달래는 풀이 있고, 튼튼한 사람을 더 북돋우는 풀이 있습니다. 아픈 데를 다독이는 풀이 있고, 날마다 기운차게 뛰놀거나 일하도록 살찌우는 풀이 있어요.


  풀은 들풀이나 멧풀로만 있지 않아요. 풀이 잘 자라서 땅(흙)이 살아나면 나무가 차츰 큽니다. 풀 곁에서 자라는 나무는 우람하게 가지를 벌리고, 어느새 숲을 이루지요. 풀꽃나무로 숲을 이룬 데에서는 즐거이 나누는 살림길이 흐드러져요. 풀꽃나무를 밀어낸 서울이며 큰고장에서는 치고받으면서 어렵게 거머쥐는 돈이 흐르고요.


  돌림앓이를 끊어낸다는 물은 무엇일까요? 돌봄터에서 쓰는 모든 물이나 가루는 ‘숲’에서 옵니다. 숲이 스스로 다스리는 길을 낱낱이 파면서 돌봄물이나 돌봄가루를 짓습니다. 숲에서 모든 목숨붙이가 살림빛을 얻고 누리듯, 이 흐름을 샅샅이 알아내려 하면서 돌봄물(약)을 지어요.


  《내가 좋아하는 것들, 아로마》를 지은 글님은 풀물·숲물이며 풀내음·숲내음 곁에 햇볕하고 바람을 두기를 바랍니다. 곰곰이 생각할 노릇이에요. 사람이며 뭇목숨을 살리는 풀하고 숲은 햇볕이랑 비바람이랑 흙을 머금으면서 푸릅니다. 풀꽃물만 곁에 두기보다는 우리 보금자리랑 마을이 언제나 숲이며 비바람이며 흙을 곁에 두는 터전이라면 아프거나 앓을 일이 없이 누구나 즐겁지 않을까요?


  모든 숨은 숲에서 비롯합니다. 숲에서 푸르게 피어나는 숨인 터라, 숲을 가꾸지 않고 뚝딱거리기만 해서는 돌림앓이가 새로 불거질 뿐입니다. 나라지기나 벼슬아치가 숲하고 등지더라도 우리 스스로 숲을 곁에 두고 사랑하면 됩니다. 우리 몸하고 마음은 언제나 우리가 스스로 돌봅니다. 돌봄빛은 우리 마음에서 자라요.


ㅅㄴㄹ


몇 개월 동안 페퍼민트 오일을 사용하면서 매일 먹던 두통약을 먹지 않아도 편안하게 지나가는 날이 하루 이틀 늘기 시작했다. (17쪽)


로즈마리는 나폴레옹이 가장 좋아했던 향으로도 유명하다. 전쟁 중 전략을 짤 때 로즈마리 화분을 곁에 두고 항상 향을 맡았으며, 작은 키 때문에 생긴 열등감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갖는 데도 로즈마리 오일을 이용했다. (36쪽)


왜 이렇게 식물의 향이 사람의 마음을 끌었을까? (76쪽)


우울증의 원인은 코로나로 갑자기 생긴 게 아니라 아마도 이전부터 갖고 있던 문제가 코로나로 인해 수면 위로 올라온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93쪽)


낮에 햇빛을 쬐는 것도 중요하다. 햇빛을 쬐며 가벼운 산책을 하는 것만으로도 세로토닌 같은 행복 호르몬이 나온다. (11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랑한 은둔자
캐럴라인 냅 지음, 김명남 옮김 / 바다출판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책으로 삶읽기 653


《명랑한 은둔자》

 캐럴라인 냅

 김명남 옮김

 바다출판사

 2020.9.4.



한동안 숨어 있어도 괜찮은 걸까? 이 안전한 공간에 매일 밤 안락하게 웅크리고 있어도 괜찮을까? 아니면 더 활기차게 사교 생활에 몸을 던져야 하나? (24쪽)


수줍음이 많은 사람들은 종종 암호로 말한다. 내 어머니는 대단히 과묵하고 뼛속까지 수줍어하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어머니에게는 엷은 온기가 있었고, 어머니의 인생에서 중요한 사람들은 다들 그 온기를 알아차리는 법을 익혔다. (30쪽)



  숨어서 산다고들 말하지만, 막상 숨는 사람이란 없다. ‘그 사람’ 마음으로 바라보지 않으니 ‘숨는다’고 말한다만, 그 사람은 늘 그 삶자리에서 그대로 살아간다. 보라. ‘숨는’ 사람은 하늘이 부끄러운 짓을 했다. 조용히 살아가기에 숨는 사람이지 않다. 떠들썩하기 싫으니 떠들썩쟁이 곁에 안 갈 뿐이다. 숲에서 살거나 시골에 있기에 숨은이가 되지 않는다. 보금자리에서 하루를 보내기에 숨은삶이지 않다. 삶을 가장 즐겁게 지낼 만한 터전이라고 여기는 데에서 아늑히 하루를 보낼 뿐이다. 누가 쳐다보면 싫고, 다른 이가 다가오면 꺼릴 뿐이다. 그대가 사는 보금자리에 아무나 아무 때나 쳐들어오면 즐거운가? 호젓하게 바람을 쐬고 볕바라기를 하는 데에 누가 불쑥 들어와서 시끄럽게 굴면 좋은가? 《명랑한 은둔자》(캐럴라인 냅/김명남 옮김, 바다출판사, 2020)를 읽으며 ‘숨다’라는 말을 새삼스레 떠올린다. 억지로 웃어야 하고, 뭔가 번쩍거리거나 잘생겨 보여야 하고, 있는 척해야 하며, 아는 척해야 하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다른 눈치를 보면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쳇바퀴를 돌아야 하는 자리라면, 얼마나 고될까? 지치지 않나? 오늘날 서울살이란, 오늘날 숱한 일터란, 다 ‘눈치를 봐야 하고, 눈치를 느껴야 하는’ 흐름이지 싶다. 이 책을 읽으며 ‘서울을 못 떠나는 지친 마음’을 달래어도 좋겠지. 그러나 호젓하게 보금자리를 조용한 숲터로 옮긴다면 가장 좋으리라. 멧새랑 이웃을 하고, 우람나무하고 벗삼을 만한 데에서 홀가분하고 조용히 지내는 이웃이 늘면 좋겠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살던 북한은 - 노동자 출신의 여성이 말하는 남북한 문화
경화 지음 / 미디어일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삶책

인문책시렁 152


《나의 살던 북한은》

 경화

 미디어 일다

 2019.8.5.



한국에서는 병든 짐승을 잡아먹으면 당장 죽을 것처럼 난리인데, 북한사람들은 병든 짐승의 고기라도 배불리 먹어 보고 싶을 정도로 고기에 굶주려 있다. (79쪽)


북한에서 좀 배웠다는 사람들은 한국에 와서도 좋은 곳에 취직을 하곤 한다. 당시 난 이런 생각을 했다. 북한에서 잘 먹고 잘살고 좋은 직장을 가졌던 사람들은 한국에 와서도 같은 길을 가고 있구나, 라고. (112쪽)


북한에서는 아무리 재능이 있어도 출신 성분이 좋지 않으면 좋은 직장, 좋은 대학, 좋은 학벌을 가진다는 것은 꿈도 꿀 수 없다. 그러한 사람과 결혼도 할 수 없다. (134쪽)


남자들보다 여자들이 더 많은 일을 하고, 더 힘든 일을 해도, 남자들의 월급만큼 탈 수가 없다. 이유는 모른다. 다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아무리 일을 많이 해봤자 남자의 절반도 받을 수 없다는 것뿐, 이유를 들어 본 적은 없다. (141쪽)


오빠의 사범대 시험 결과 합격통지가 내려왔으나, 애당초 오빠는 시험만 봤을 뿐 시험지 이름은 위조되어 오빠 대신 교장 딸이 대학에 가게 되었다는 것이다. 처음부터 짜인 각본이었던 것이다. (157쪽)



  우리나라에서 모든 사람한테 고르게 자리를 주는 일이 있을까요? 우리나라에서 누구나 고르게 자리를 누리면서 생각을 펴고 만나고 일하고 놀고 어울리고 이야기하고 살림하고 사랑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얼마나 “네, 우리나라는 고른(평등) 길입니다!” 하고 말할 만할까요? “아니요! 우리나라는 안 고른(불평등) 길입니다!” 하고 말할 사람이 훨씬 많지 않을까요? 《나의 살던 북한은》(경화, 미디어 일다, 2019)을 읽으며, 남북녘 모두 ‘안 고른 길’을 가는 나라이겠구나 하고 느낍니다. 두 나라 모두 참으로 오래도록 배움길·삶길·살림길·나라길·벼슬길·글길·책길·노래길…… 모두 ‘있는 이 차지’로 흘렀습니다. 돈·이름·힘·벼슬 가운데 하나를 거머쥘 노릇이요, 이 가운데 하나라도 없으면 어느 길에도 안 끼워 주지요.


  생각해 보면 구태여 돈·이름·힘·벼슬이란 길을 갈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는 우리 삶길을 가면 돼요. 우리 살림을 손수 짓는 길을 가고, 우리 사랑을 스스로 꽃피우는 길을 가면 됩니다.


  북녘사람에서 남녘사람으로 길을 틀어 지내는 분이 가슴을 후비듯 적바림한 이야기는 북녘 민낯만 보여준다고 하기 어렵습니다. 남녘 민낯을 함께 보여줍니다. 둘이 썩 안 다르거든요. 이제라도 생각해야지요. 두 나라가 돈길·이름길·힘길·벼슬길로 나뒹군 모습을 멈춰세우고서 앞으로 어떤 길을 가야 앞으로 아름길이며 사랑길이 될 만할까요? 우리는 어떤 몸짓을 그만두거나 버리면서 스스로 거듭나야 할까요?

.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가란 무엇인가 1 - 소설가들의 소설가를 인터뷰하다 파리 리뷰 인터뷰 1
파리 리뷰 지음, 권승혁.김진아 옮김 / 다른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숲노래 책읽기

책으로 삶읽기 640


《작가란 무엇인가 1》

 파리 리뷰 엮음

 김진아·권승혁 옮김

 다른

 2014.1.31.



하지만 독창적이지 않은 생각에서 소설을 만들어냄으로써 그 생각을 독창적인 것으로 만들 수가 있습니다. (37쪽/움베르트 에코)


일단 그의 의식이 속한 공동체의 의식과 달라지면 그는 국외자, 외로운 사람이 됩니다. 텍스트의 풍요로움은 국외자의 관음증적인 시선으로부터 옵니다. (90쪽/오르한 파묵)


잃어버리고 찾아다니고, 발견하기. 그러고 나면 세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인 실망이 기다리고 있지요. (129쪽/무라카미 하루키)


나이가 들어가면서 과거로부터 더 많은 것들을 기억해내면 낼수록, 점점 더 문학과 저널리즘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370쪽/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작가란 무엇인가 1》(파리 리뷰 엮음/김진아·권승혁 옮김, 다른, 2014)를 읽는다. 글님이란 글을 쓰는 님이요, 삶을 글로 얹어서 나누는 님이고, 살아가는 길을 사랑스레 갈무리해서 글로 들려주는 님이고, 즐겁게 어우러져 살아가는 길을 스스로 지으면서 사랑스레 갈무리해서 누구나 누리도록 글로 들려주는 노래를 펴는 님이라고 본다. 글로 노래할 줄 아는 사람, 글로 사랑할 줄 아는 사람, 글로 이야기를 씨앗처럼 심어서 푸른별을 새롭게 가꾸려는 꿈을 키우는 사람, 이이가 모두 글님이라고 본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네 헌책방에서 이반 일리치를 읽다 - 2018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 선정도서
윤성근 지음 / 산지니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인문책시렁 148


《동네 헌책방에서 이반 일리치를 읽다》

 윤성근

 산지니

 2018.6.20.



그 책들을 통해서 나는 삶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에 앞서는 생활의 중요함을 알았다. (10쪽)


출근이라는 전쟁을 겪고 나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나를 포함해서 많은 직장인들이 출근을 하는 즉시 에너지의 대부분을 소비해 버리게 된다. (73쪽)


월급은 내 노동력을 회사에 제공하고 받는 정당한 대가이기보다는 한 달 동안 이어진 노예 생활을 참고 견딘 것에 대한 보상이라고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102쪽)


책으로 쌓은 100년 역사는 곧 그 나라 문화의 힘을 말한다. (213쪽)


진정한 자립이란 무얼까? 가게를 운영하며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버텨낸다는 것이 갖는 의미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254쪽)



  몇 해 앞서 미국에서 ‘트럼프’란 사람이 꼭두자리에 설 무렵, 온나라 붓판에서는 ‘돈만 아는 저 사나운 놈팡이 때문에 이 푸른별은 싸움불구덩이가 된다’고 호들갑이었습니다. 그런데 트럼프가 꼭두자리에 선 동안 싸움불구덩이는 커녕 총칼이 춤추는 싸움을 일으킨 적이 없어요.


  2020년에 미국에서 꼭두자리를 새로 뽑는 일을 꾀하면서 여러모로 드러납니다만, 총칼질을 앞세운 쪽은 따로 있고, 총칼장사로 떼돈을 거두어들이던 쪽도 따로 있습니다. 이들은 푸른별에서 트럼프 미국이 싸움판을 벌이지 않는 바람에(?) 떼돈을 벌던 길이 크게 막힙니다.


  이반 일리치 님은 ‘총칼질·싸움불구덩이’가 벼락꾼(억만장자)이 더 벼락꾼이 되도록 가는 길이라고 밝힌 적 있습니다. 《동네 헌책방에서 이반 일리치를 읽다》(윤성근, 산지니, 2018)를 읽으며 그 대목이 떠오르고, 요즈막 미국에서 왜 ‘뒷짓(부정선거)’이 말썽이 되는가도 찬찬히 알아차릴 만하구나 싶어요.


  새는 틀림없이 두 날개로 납니다. 왼날개나 오른날개 하나만으로는 못 날아요. 게다가 한쪽 날개만으로는 걷기도 벅찹니다. 우리는 어느 한켠으로 기울 수 있지만, 어느 한켠으로 기울든 말든 대수롭지 않아요. 이웃이나 동무가 왼날개이건 오른날개이건 무슨 대수이겠습니까. 이웃이나 동무가 ‘착하냐 참하냐’를 볼 노릇일 뿐이요, ‘슬기롭고 아름다운 길을 사랑이란 살림으로 다스리느냐’를 볼 뿐입니다.


  왼날개가 옳지도 오른날개가 틀리지도 않습니다. 그저 날개일 뿐입니다. 왼날개가 아니면 안 된다면서 사납게 구는 이들이 꽤 많습니다만, 오늘날 숱한 왼날개를 보면 돈·이름·힘을 거머쥔 이들(기득권)이기 일쑤입니다. 책 좀 읽고 글 좀 쓴다면서 왼날개 자리를 자랑하는 이들이 대단히 많아요. 그런데 그들 삶은 어떤 모습인가요? 수수하게 숲을 사랑하는 살림길인 왼날개는 얼마나 있는가요? 불나방처럼 서울이란 단물을 빨아들이려고 서울바라기로 흐르는 왼날개 글꾼 붓쟁이 몸짓이지 않을까요?


  서울 한켠에서 헌책집을 꾸리는 윤성근 님은 그 책집에서 이반 일리치를 읽으며 ‘달삯쟁이(회사원)를 그만둔 일’이 아름다운 길이었다고 되새깁니다. 달삯쟁이가 나쁘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 나라는 사람들을 달삯쟁이로만 내몰면서 스스로 삶을 짓고 살림을 사랑하는 길을 꽁꽁 감추거나 짓밟는다는 뜻입니다. 달삯을 벌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서, 스스로 아이들하고 어깨동무하며 노래하는 살림길을 못 볼 만큼 바빠맞도록 내몬다는 뜻입니다.


  우리는 왼날개도 오른날개도 아닌 ‘그저 날개’를 달면서 날면 됩니다. 이쪽으로 가야 하지 않습니다. 저쪽으로 가야 맞지 않습니다. 그저 ‘삶길·살림길·사랑길’을 봐야지요. 우리는 왼길이나 오른길로 가려고 태어나지 않았어요. 우리는 ‘우리 길’을 가려고 태어났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